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돌연변이 콕 집어 자르고 교정…'유전자 가위' 진화는 계속된다 2020-09-18 17:16:54
등장한 지 20여 년이 흘렀다. 가위의 절단 성능(정확도)도 차츰 진화하고 있다. 유전자 가위는 미생물로부터 분리한 천연 가위(제한효소)와 생명공학 기술로 만들어낸 인공 가위 두 가지가 있다. 인공 가위는 1세대 ZFN(징크 핑거 뉴클레아제)과 2세대 탈렌을 거쳐 현재 3세대 ‘크리스퍼-카스9’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로슈, 난소암 치료제 '티센트릭+아바스틴' 임상 3상 실패 2020-07-14 14:38:20
쪽으로 기울고 있다. PARP는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효소다. DNA를 수선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기전이 있다. 난소암의 원인 중 하나이자 유방암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BRCA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DNA 수선의 일부 기전이 작동하지 않는다. PARP는 나머지 수선 기전을 억제해 결국 DNA가 절단되며 암세포가 사멸하도록...
지플러스생명과학, 유전자가위 신규물질 특허 2020-03-11 17:07:04
사용되는 유전자가위인 Cas9처럼 이중나선 DNA 절단 기능을 수행하지만 목표 서열을 더욱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사는 Cas12a 단백질의 산업적 생산 과정에서 분리·정제 효율 개선을 위해 단백질 서열 최적화를 진행하고 고기능성 효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도 함께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희귀 유전병 90% 치료하는 '프라임에디팅'…못 고칠 병이 없어진다 2020-03-11 15:23:58
교정한다. 원하는 DNA 서열을 인식해 정확히 절단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한 크리스퍼도 한계가 있다. 결함 있는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답안지 DNA)로 대체하는 과정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점이다. 성공률이 대부분 10%에도 미치지 못하며 1% 이하인 경우도 많다. 낮은 효율을 극복하기 위해 베이스에디팅 기술이 개발됐다....
"`코로나19` 세포결합 능력, 사스의 1000배" 2020-02-27 14:30:45
`절단`이 필요하다.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변이를 통해 스파이크 단백질에 `분할지점`(cleavage site)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사스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것이다. 이 분할지점 때문에 `퓨린`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절단`해 활성화시키고, 바이러스와 세포막이 `직접 결합`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코로나19, HIV와 유사한 변이…'세포결합' 사스의 최대 1천배" 2020-02-27 12:14:15
당시 비활성이나 휴면상태이며,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정 지점에 대한 '절단'이 필요하다.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변이를 통해 스파이크 단백질에 '분할지점'(cleavage site)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사스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것이다. 이 분할지점 때문에 '퓨린'이 스파이크 단백...
툴젠 "프라임 에디터는 유전자가위 대체하지 않아...각 기술이 독자적으로 시장 점유할 것" 2019-11-06 11:09:25
붙은 특정 효소가 페그RNA에 맞춰 새로운 DNA를 삽입한다. 크리스퍼 카스9은 가이드RNA가 교정이 필요한 염기서열 부분에 도달하면 카스9 단백질이 DNA 염기서열 두 가닥을 모두 절단한다. 이후 세포가 절단된 DNA를 자연적으로 복구하는 기전인 '상동재조합'을 활용해 변이가 생긴 유전자를 교정한다. 그러나 그...
한국외대, 종로구청·덕성여고와 함께 하는 ‘생화학 꿈나무 강좌’ 개설 2019-10-07 17:59:00
실험을 진행했다. 프로그램은 총 6회(화학 및 생명공학 실험 각 3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생명공학의 경우 11월 9일 이후 세균의 Genomic DNA 추출,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에 의한 DNA 절단 등의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jinho2323@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유전자가위 이용 유전자치료연구 문 열린다 2019-08-22 06:00:02
부위(DNA)를 실제로 잘라내는 절단 효소 부분으로 구성됐다. 유전자가위로 DNA를 잘라내면 세포가 스스로 이 부분을 다시 메우는데 이때 유전자가 교정된다. 그러나 원하지 않게 돌연변이가 생기는 한계도 있는데, 최근에는 DNA를 자르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유전자를 넣어주는 교정 기술도 개발됐다. 미국 컬럼비아대...
"암세포에 대한 면역세포 공격력 높이는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 2019-07-18 12:00:09
절단효소 부분으로 구성됐다. 작년 KIST 연구진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가 외부 전달체 없이 세포막을 뚫고 세포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개량한 바 있다. 이번에는 이 유전자가위에 혈액암 세포가 면역세포인 '세포독성 T세포'(Cytotoxic T Lymphocyte·CTL)의 공격에 저항하지 못하게 만드는 기능을 추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