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지방식 섭취하면 장의 생리 신호 몇 시간 끊긴다" 2019-12-18 17:08:28
2형 당뇨병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더 중요한 메커니즘은, 제브라피시의 반응 과정을 더 세분해 관찰한 후속 실험에서 드러났다. 제브라피시가 처음 먹이를 감지하면, 장의 내분비 세포는 몇 초(秒) 안에 '칼슘 폭발(calcium burst)'을 촉발해 신호 전달 과정에 시동을 걸었다. 그러나 최초 신호가 나은 뒤에는...
"따갑지 않고 염증까지 잡았다…6兆 안구건조증 치료제 시장 정조준" 2019-11-07 15:23:48
장비도 갖추고 있다. 물고기 모델도 확보했다. 열대어 제브라피시를 활용한다. 그는 “제브라피시는 6일 만에 알을 낳는 데다 눈이 앞으로 톡 튀어나와 있어 안과 약물 효과를 단기간에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다양한 동물 모델 등에 힘입어 약효 분석 시간을 크게 줄였다. 그는 “안과 약물...
아이바이오코리아 "약효·편의성·가성비 3박자 갖춘 안구건조증·황반변성 치료제 개발 중" 2019-11-01 11:28:39
갖추고 있다. 물고기 모델도 확보했다. 열대어 제브라피시를 활용한다. 그는 “제브라피시는 6일만에 알을 낳는데다 눈이 앞으로 톡 튀어나와 있어 안과 약물 효과를 단기간에 분석하는데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다양한 동물모델 등에 힘입어 약효 분석 시간을 크게 줄였다. 그는 “안과 약물 분석에는...
혈액 줄기세포 발달 메커니즘 밝혀냈다 2019-05-21 15:06:58
번째를 발견한 것이다. 연구팀이 제브라피시 실험을 통해 알아낸 혈액 줄기세포의 발달 메커니즘은 이렇다. 먼저 Wnt9a 분자가 혈액 줄기세포 표면의 '프리즐드 수용체(Frizzled receptor)', 정확히 말하면 fzd9b와 결합하면서 EGFR이라는 표피 생장 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를 fzd9b 곁으로...
될성부른 DGIST 학생창업 스타트업…글로벌 시장서도 주목 2019-05-15 17:46:11
사용하는 실험용 생쥐 대신 물고기인 ‘제브라피시’를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개발했다. 제브라피시는 인간과 70%가량의 유전적 특성을 공유한다. 각종 신경계와 체내 기관 형성 과정이 인간과 비슷하다. 이런 특성 때문에 제브라피시는 기존 동물실험체를 대체할 만한 차세대 동물로 인정돼 최근 연구가 활발하게...
비스페놀 A 대체물질에서도 호르몬 교란 가능성 확인 2019-04-04 15:00:01
구조 유사체 물질이 대두되고 있다. 연구팀은 제브라 피시를 활용해 신체 발달·성장·대사 등에 필수적인 갑상선 호르몬 변화를 관찰했다. 제브라 피시는 줄무늬를 가진 열대어로, 인간과 유사한 기관을 갖고 있다. 연구결과 대체재 물질에 노출된 제브라 피시 유생(성체 전 형태)한테서 갑상선 호르몬(T3·T4) 증가 현상...
유전자변형 어류 무허가 반입 차단체계 강화 2019-03-11 11:00:02
대서양 연어, 고속 성장 잉어, 형광 제브라피시 등 해양수산용 LMO의 상업화가 활발히 추진되면서 이들의 국내 반입 가능성이 커진 데 따른 조치다. 해수부는 ▲ 유전자변형 대서양 연어 수입검사 검출 키트와 유전자변형 미세조류에 대한 위해성 평가기술 개발 ▲ 미승인 해양수산용 LMO 생산·유통 가능성 모니터링 ▲...
불면증은 `뇌 질환`…`잠 못 드는 밤` 뇌에서 벌어지는 일들 2019-03-08 22:19:02
실험 대상은 제브라피시다. 이 물고기는 치어일 때 뼛속까지 들여다보일 만큼 투명하고, 잠도 인간처럼 밤에 잔다. 인간과 일부 동물의 적혈구는 예외지만 그 밖의 모든 세포에는 DNA가 있다. DNA는 생기는 시점부터 바로 손상되기 시작한다. 손상의 원인은 각종 산화물, 태양광 등 부지기수며 심지어 뉴런의 활동도 그중...
'불면의 밤' 보내면 뇌에 무슨 일이? 2019-03-08 15:25:46
실험 대상은 제브라피시다. 이 물고기는 치어일 때 뼛속까지 들여다보일 만큼 투명하고, 잠도 인간처럼 밤에 잔다. 인간과 일부 동물의 적혈구는 예외지만 그 밖의 모든 세포에는 DNA가 있다. DNA는 생기는 시점부터 바로 손상되기 시작한다. 손상의 원인은 각종 산화물, 태양광 등 부지기수며 심지어 뉴런의 활동도 그중...
[사이테크 플러스] 동물은 왜 잠을 잘까…"수면 중 신경세포 DNA 손상 수리" 2019-03-06 01:00:00
이용해 살아 있는 제브라피시의 신경세포 핵 안에 있는 염색체가 깨어있을 때와 잠자는 동안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그 결과 제브라피시가 잠잘 때 신경세포의 활동성은 깨어있을 때의 반으로 감소하는 반면 신경세포 내 염색체 활동성은 2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