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테샛 공부합시다] 대규모 재정지출을 의미하는 '뉴딜'···정부의 역할과 범위는? 2021-05-17 09:00:08
이때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제시한 ‘유효수요 이론’이 대공황에 대응하는 학문적 토대가 되었다. 이전 경제학에서는 ‘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는 ‘세이의 법칙(Say’s law)’이 주된 이론적 토대였다. 기업이 투자 및 생산을 늘리면 고용과 소득이 늘어 수요 또한 늘어난다는 것이다. 하지만...
패스트푸드 도입한 맥형제? 프랜차이즈 주도한 레이?…햄버거왕국 맥도날드의 '진정한 창업자'는 누구일까 2021-04-26 09:01:38
포인트① 자유방임주의의 근거가 되는 ‘공급이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는 세이의 법칙과 ‘유효수요가 부족해 불황과 실업이 발생하니만치 유효수요를 늘리기 위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케인스의 유효수요이론 가운데 어느 쪽이 더 현실적일까. ② 혁신적 기술을 개발하는 것과 그 기술을 실제 사업화로 연결하는...
'큰 정부·증세' 꺼낸 바이든…신자유주의 탈피 시대정신 반영? 2021-04-06 01:38:25
이념인 신자유주의 퇴조를 가속할까. 워싱턴포스트(WP)는 5일(현지시간) '바이든과 신자유주의 시대의 쇠퇴'라는 기사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 후 행보는 서구 사회에서 새로운 정치적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이런 흐름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혼돈스러운 시기에 등장하고 있었고,...
[테샛 공부합시다] 인플레이션의 다양한 원인을 분석·탐구해야 2021-03-01 09:00:53
요인으로 분석된다. 케인스 학파에서는 정부의 경기부양책이나 기업의 투자 증가 등을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본다. 반면, 통화주의 학파는 통화량의 증가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완화정책을 인플레이션 원인으로 보는 것은 통화주의 학파의 관점이다. 앞선 두 학파의 인플레이션에 관한...
[다시 읽는 명저] "노조의 정책참여가 경제를 정치로 변질시킨다" 2020-12-14 09:01:18
질서자유주의독일 질서자유주의의 이론적 틀을 제공한 경제학자가 발터 오이켄(1891~1950)이다. 2차 대전 종전 후 정부 역할을 중시하는 케인스경제학이 득세하던 시기에 독일은 오이켄 등이 주창한 프라이부르크학파의 질서자유주의를 채택했다. 결과는 ‘라인강의 기적’이었다. 오이켄 사후 2년 뒤 발간된 《경제정책의...
무서운 개미들…에어비앤비가 '112%' 급등한 이유는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2020-12-11 08:08:10
때문에 IPO 시장으로 빨려 들어가는 돈은 올해 2000억 달러가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닷컴버블 때 나왔던 '야성적 본능'(Animal Spirit)이 되살아나고 있다는 말이 조금씩 나옵니다. 물론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지적했듯이 경제 성장에는 이런 야성적 본능이 필요하기도 하지요. 김현석 기자...
[뉴스의 맥] "현대화폐이론은 경제이론이 아닌 정치사상이다" 2020-10-27 18:01:21
화폐국정론의 좌파 버전이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화폐는 물질(금화, 지폐)이 아니라 계산단위라는 점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국가의 예산과 조세수입은 ‘원’으로 표현하는데, 그것은 m와 ㎏ 같은 도량형이다. 진시황 이래 도량형은 민간이 아니라 국가가 관리한다. 그런 점에서 MMT는 포스트 케인스주의에 속한다.
[다산 칼럼] 국가는 그렇게 신뢰할 만한가? 2020-10-22 18:02:26
주의적 국가관을 너무 쉽게 믿어 왔다. 우리만이 아니라 개인의 자유를 높이 사는 유럽에서도 한때 그랬다. 1945년 이후 30년 동안 케인스 경제학이 주류로 행세하고 사회민주주의 정부가 곳곳에 들어서 있을 때 국가는 선(善) 그 자체로 받들어졌다. 국가는 개인을 초월한 거룩한 존재라는 믿음,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을...
[이 아침의 인물] 루트비히 폰 미제스…현대 자유주의 창시자 2020-10-09 17:49:08
모르겐슈테른 등 걸출한 후학을 길러냈다. 《개입주의》, 《인간행동론》, 《자유를 위한 계획》 등 저작들은 그러나 대공황 이후 국가 개입을 강조한 케인스주의 유행 앞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1945년 미국으로 이주한 뒤 변변한 정교수 자리 없이도 연구에 정진한 그는 1973년 오늘 92세를 일기로 뉴욕에서 잠들었다....
[책마을] 스미스가 살아있다면…경제사상가에게 듣는 '위기 해법' 2020-08-27 17:32:20
시대를 케인스가 봤다면 어떤 해답을 내놨을까. 1930년대와 마찬가지로 경제 성장과 완전 고용의 중요 동력인 공공 투자를 다시 한번 제안했을까. 저자는 “케인스는 분명 당시와 마찬가지로 공공 투자의 증가가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을 것”이라며 “정부가 광섬유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회기반시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