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현대제철, 전기차 철강재 개발…철강 경쟁력 다진다 2023-03-27 08:33:16
철스크랩(고철)을 사용해 쇳물 생산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을 줄였다. 1.0GPa급 이상의 고강도 제품의 생산 및 부품 제작에 성공한 것은 현대제철이 유일하다. 지난해에는 중국 완성차 9개사를 대상으로 핫스탬핑재 소재 인증을 완료했다. 핫스탬핑은 가열된 강판을 금형에 넣고 성형한 다음 급랭시켜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
포스코·포스코이앤씨 합성기둥 공법, 녹색기술 인증 획득 2023-03-26 16:44:25
합성기둥 공법은 포스코의 고성능 강재를 '냉간 성형'(상온에서 성형)해 제작하는 합성기둥으로, 콘크리트와 강재의 합성 효과에 의해 압축 강도를 두 배가량 향상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2019년 건설신기술 제868호로 지정돼 우수성을 이미 인정받은 공법으로, 이번 녹색기술 인증을 통해 기술 우수성뿐 아니라 ...
덕양산업, 대유플러스와 '차량용 면상발열체·기능성 융복합 기술 개발' MOU 체결 2023-03-20 14:37:03
심포지엄 융합전시회에서 '에너지 절감 탄소 나노 면상 발열체'를 출품해 산업기술 부문에서 입상하는 등, 해당 분야의 신기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향후 양사는 이번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계기로 대유플러스가 '면상발열체를 개발할 전망이다. 개발된 소재로 차량용 복사 워머 기술이 적용된 내장 부품을...
경북도, 탄소산업 3대 핵심소재,기술개발 및 상용화 본격 추진 2023-03-10 09:01:09
위촉직 11)의 탄소 관련 전문가로 구성됐다. 경북도는 영천·경산의 1300여개 자동차 부품기업, 구미·칠곡의 520여개 스마트기기 기업, 포항·경주의 900여개 철강기업 등 탄소 소재 수요산업군의 최대 분포지다. 탄소산업을 통해 지역 주력산업의 새로운 동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해왔다....
포스코, 호주 저탄소 철강원료 선제 확보 추진 2023-02-13 15:10:08
저탄소 철강원료 HBI(Hot Briquetted Iron)는 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해 환원시킨 직접환원철(DRI, Direct Reduced Iron)을 조개탄 모양으로 성형한 제품으로, 전기로 조업 시 고급강 생산을 위한 필수 원료다. 포스코는 2050 탄소중립 생산체제로의 단계적 전환을 위해 전기로 도입을 추진 중으로, 고품위 HBI의 안정적인...
"청년 합숙교육으로 협력사 취업"…포스코 등 5개사 '12월 상생볼' 2023-02-09 12:00:09
동반성장과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글로벌 기후 위기 개선과 먹거리 분야 탄소중립 ESG 실천, ‘김치의 날’ 제정 지원 등의 협력을 약속했다. 또, 금형·성형 협력사들과 협업해 최적화된 경량화 포장재 개발을 통해 폐기물을 연간 약 300톤 저감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해 6월부터 6개월간...
메디센텍, 초소형 수질측정기 개발 2023-02-01 18:47:11
가이드 역할을 하고 성형외과에서 혈관을 피해 필러를 주입할 때 유용하다. 공 대표는 “미국산 제품이 대당 1200만원이지만 800만원대에 출시했다”고 밝혔다. 물산업과 환경 분야에서 주목받는 메디센텍의 또 다른 핵심 제품은 실시간 다중수질측정기다. 가로세로 폭 1~3m 크기의 기존 수질측정기를 대체할 수 있는 30㎝...
삼성물산 '수소' 현대중공업 '군함'…韓-UAE 기업들, 61억달러 공동사업 2023-01-16 23:48:03
짓는 ‘탄소 제로 도시’인 마스다르시티에 수소와 신재생 인프라를 구축한다. 또 아부다비 국영 에너지공사(TAQA)와는 송전과 가스 발전사업을 함께하기로 했다. 대한이앤씨는 UAE의 폐기물관리청과 협력하기로 했다. 폐기물을 활용해 전기를 만드는 공장을 건설하는 사업에 2000만달러(약 250억원)가 투자될 예정이다....
"물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콘크리트…탄소 흡수하게 만들어 지구 지킨다" 2022-12-30 17:40:54
생산 공장이 이 기술을 도입하면 연간 2만t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고, 4400㎥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카비크리트 CMU의 단점은 이산화탄소 흡수가 특수 챔버에서만 이뤄지기 때문에 사전 주조 형태로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믹서 트럭에 실을 수 없고, 건설 현장에서 바로 타설할 수 없다는 것...
LG전자-코닝, 차량용 커브드 디스플레이 협력…전장 강화 2022-12-14 10:08:33
열성형 커브드(Curved) 대비 탄소 배출량이 최소 25% 더 낮았다. 또 생산된 유리 백만 평방피트 당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저감 규모가 1,450만 kg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석현 LG전자 VS사업본부장(부사장)은 "최첨단 내부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친화적인 차량 내 커넥티비티에 대한 열망은 혁신 제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