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崔 대행 울주군 폭발사고에 "장비·인원 총동원 화재 진압" 지시 2025-02-10 12:22:41
만전을 기하라"며 "경찰청 및 울산광역시는 현장 통제, 주민대피 등 안전조치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 탱크로리 폭발 사고는 이날 오전 11시 15분께 울산 울주군 온산읍 처용리 유나이티드터미널코리아 공장에서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장비 23대, 인력 58명을 동원해 진화에 나섰으며 인명피해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이복현 "올해 대형 금융사고 무관용 원칙"…금감원 업무계획 발표 2025-02-10 10:00:06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권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책무구조도 안착을 지원한다. 책무구조도는 금융회사 주요 업무 최종 책임자를 사전에 특정해, 내부통제 책임을 하부조직에 떠넘길 수 없도록 하는 제도다. 올해 7월부터 대형 금융투자·보험사 책무구조도 2단계를 시행할 예정으로 조기 도입과 운영을 유도하기 위해 올...
금감원, 금융사고 책임자 무관용…편법·우회여신 점검 강화 2025-02-10 10:00:04
개선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금감원은 이날 2층 대강당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런 내용의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모두발언에서 "대규모 소비자 피해 유발, 내부통제 미흡에 따른 금융상품 불완전 판매, 대형 금융사고 등은 엄중히 조치하는 등 무관용 원칙을 견지하고 책무구조도의...
AI 가격 혁명의 방아쇠인가 vs 버블론 점화할 기폭제인가 [딥시크, 딥쇼크⑤] 2025-02-10 09:10:44
반도체 및 AI 기술 발전을 견제하기 위해 시행한 수출통제 조치가 과연 실효성이 있었는지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AI 분야에서 미국의 우위를 지키기 위해 시행된 반도체 수출통제 조치의 효과에 대한 기존의 보편적인 견해를 뒤집었다”고 평가했다. 첫 번째 의문은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재...
“두더지 게임…미국이 때릴수록 제2 딥시크 더 나온다” [딥시크, 딥쇼크③] 2025-02-10 08:50:18
수출통제를 우회하기 위해 만든 저사양의 H800과 A800 칩의 수출도 중단됐다. 열악한 상황에서 딥시크는 기술 개선을 통해 고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기 시작했다. 한 애널리스트는 “딥시크의 최신 모델은 GPU 리소스를 극한으로 활용한다”며 “미국의 대중 압박 조치로 인한 ‘GPU 부족...
中, 대미 보복관세 부과 개시...협상 물 건너갔나 2025-02-10 06:43:22
통제 펜타닐 문제에 대한 중국의 대응 부족 등을 들어 지난 4일 오전 0시(미국 동부 시간)를 기점으로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 부과를 강행하자 중국은 즉각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 관세,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에는 10% 관세를 더 물리겠다며 맞대응 조치를 발표했다. 같은 날 중국은...
美 이어 첨단장비 수출통제 강화한 日·네덜란드…"한국엔 기회" 2025-02-10 06:00:10
등 신흥기술에 대한 수출통제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 개정안은 내달 1일까지 의견수렴을 거쳐 이르면 5월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조치로 일본 정부는 반도체 장비 22종, AI 2종, 양자컴퓨터 6종 등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를 추가했다. 반도체 장비의 경우 첨단반도체 제조를 위한 노광, 식각, 증착, 세정, 검사 등 장비가...
결국 시작된 2차 美中무역전쟁…협상 기조 속 '전선확대' 우려도 2025-02-10 01:16:08
이 조치를 한 달 유예했는데 중국에 대해서는 별다른 말미 없이 관세를 올렸다. 트럼프 1기에 이은 무역전쟁 2라운드를 일찌감치 예상해온 중국은 미국 조치보다 범위는 좁지만 '표적'에 집중한 관세 인상과 '전략 물자'로 분류되는 자원을 틀어쥐며 반격에 나섰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 인상이 개시된 당일...
中, 대미 보복관세 부과 시작…'무역전쟁 2라운드' 본격화 2025-02-10 01:08:11
통제 펜타닐 문제에 대한 중국의 대응 부족 등을 이유로 지난 4일 오전 0시(미국 동부 시간)를 기해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 부과를 강행하자 즉각 맞대응 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 관세,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에는 10% 관세를 더 물리겠다는 것이다. 중국은 같은...
에너지 무기화 우려에 러 전력 끊은 발트3국 2025-02-09 18:51:58
EU와의 결속 및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이들은 그동안 우크라이나와 발트 3국 전력망에 사이버 공격을 가하는 러시아 때문에 대규모 정전 사태를 여러 차례 겪었다. 지기만타스 바이시우나스 리투아니아 에너지부 장관은 “이 순간을 오랫동안 기다려왔다”며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을 끝내고, 앞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