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홈플러스 "PB 브랜드 '심플러스' 온라인 매출 40% 증가" 2025-02-16 11:22:21
16일 밝혔다. 품목별 매출은 최대 11배로 늘었다. 심플러스는 20대부터 60대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구매 고객 수가 최소 24% 이상 늘었다고 홈플러스는 전했다. 심플러스 비식품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96% 증가한 점도 눈에 띈다. 홈플러스는 최근 비식품군을 재단장하고 신규 상품을 대거 출시했다. 청소용품인 제습제와...
소상공인 냉장고·에어컨 바꾸면 40% 지원…올해 379억원 2025-02-16 11:00:00
제품을 사업장에 새로 설치할 경우 구입비의 40%를 품목별 한도에서 지원받을 수 있다. 품목별 한도는 냉난방기 160만원, 냉장고 160만원, 세탁기 80만원, 건조기 80만원이다. 지원을 원하는 사업자는 소상공인 확인서, 사업자 등록증 등 서류를 갖춰 신청하면 된다. 한도는 품목별로 작년과 올해를 합산해 적용한다. 가령...
삼성바이오에피스, 골질환 치료제 2종 미국·유럽 품목허가 획득 2025-02-16 10:30:23
적응증 별로 각각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는 미국에서 ‘오스포미브’, 유럽에서 ‘오보덴스’로, 엑스지바 바이오시밀러는 미국과 유럽 동일하게 ‘엑스브릭’의 제품명으로 승인 받았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에서 10종, 유럽에서 11종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확보하며 기존 자가면역·종양질환...
日외무상, 美국무장관에 '트럼프 관세' 日제외 요청 2025-02-16 10:27:44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미국에 대한 수출액은 21조2천951억엔(약 202조원)으로, 이 가운데 자동차(6조261억엔)가 수출 최고 품목으로 전체의 28.3%를 차지했다. 자동차 부품(1조2천312억엔)까지 합치면 비중이 34.0%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관세 우려' 이겨 낸 코스피, 상승 랠리 이어간다 [주간전망] 2025-02-16 08:00:01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의 품목에서 무관세를 유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상호 관세 도입 지연에 따른 모멘텀은 커질 전망"이라며 "특히 자동차는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커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자동차는 미국 소비자 부담, 의약품은 국민 건강 문제를 고려해 관세 부과 대상에서 ...
[트럼프 스톰 한달] 동맹도 예외 없다…'관세 폭탄'에 한국 산업계도 비상 2025-02-16 07:11:06
국가와 품목을 가리지 않는 '관세 폭탄'이 현실화하면서 한국 산업계도 비상에 걸렸다.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 수출 비중이 크고 특히 미국이 최대 수출 시장 중 하나인 한국 경제에는 상당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업계와 정부는 트럼프 시대에 생존하기 위한 대책...
[트럼프 스톰 한달] 글로벌 관세전쟁·신팽창주의로 국제질서 지각변동 2025-02-16 07:11:01
자동차와 반도체는 한국의 지난해 대미 수출에서 나란히 1, 2위를 차지한 주력 품목이어서 향후 관세가 부과되면 수출 전선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 캐나다·그린란드·파나마 운하에 가자지구까지…노골적 영토 야욕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전쟁을 통한 고립주의에 그치지 않고 영토 확장 욕심도 부리고 있다. 그린란드...
이상기후에 과일 수입 늘어…작년 수입액 2조원 '최대' 2025-02-16 06:15:00
폭염 여파에 유통할 수 있는 배와 귤 물량이 감소했고, 이에 일부 과일 가격은 높은 수준을 보였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작년 소비자물가 조사 품목 458개 중 전년 대비 물가 상승 폭이 가장 큰 품목은 배(71.9%)였고, 귤(46.2%)이 그 뒤를 이었다. 감(36.6%), 사과(30.2%)도 높은 물가 상승률을 보였다....
프롤리아·졸레어 올해 특허 만료…바이오시밀러 경쟁 격화 전망 2025-02-16 06:00:02
작년 EC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이는 졸레어 바이오시밀러로는 처음으로 유럽에서 허가받은 것이다. 옴리클로는 이어 영국과 캐나다에서도 품목허가됐다. 올해는 미국, 일본 등에도 졸레어 바이오시밀러를 론칭할 계획이라고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지난달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밝혔다. 국내 기업들은...
트럼프, '동맹' 캐나다·프랑스에도 '테크 과세' 딴지 2025-02-15 12:34:14
품목에 최고 100%의 추가 관세를 물리는 보복을 위협했다. 이후 프랑스는 미국과 협상을 통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차원의 글로벌 디지털세 논의를 마칠 때까지 부과를 유예하기로 했다가, OECD 합의가 지연되면서 2020년부터 다시 징수하기 시작했다. 도미닉 르블랑 캐나다 재무장관은 백악관의 명령과 설명 자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