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첨단센서 생태계 구축...DGIST, 센소리움연구소 개소 2024-04-05 08:08:36
총장을 비롯해 신경호 연구부총장, 서광석 한국나노기술원장, 서경현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정책관 등 정부·지자체 및 관련 업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건우 DGIST 총장은 “센소리움연구소의 설립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기술적 역량 확보와 제조 인프라 구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며 “4차 산업의 핵심 ...
국가 나노팹 서비스 한 곳에서…모아팹 정식 서비스 개시 2024-03-25 12:00:11
나노종합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 나노융합기술원 등 3개 기관 대상 시범운영을 실시했다. 시범 기간 중 서비스 신청 건수는 3천337건으로 나타났다. 정식 운영도 세 기관에서 우선 시작하며, 올해 하반기에는 서비스 지원기관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ISRC),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으로...
인간 뇌 모방해 초저전력으로 LLM 처리…AI반도체 기술 첫 개발 2024-03-06 12:00:02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PIM반도체 연구센터와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유회준 교수 연구팀이 상보형 트랜스포머를 삼성전자[005930] 28나노 공정을 통해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상보형 트랜스포머란 인간 뇌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해 설계한 뉴로모픽 컴퓨팅 시스템의 일종인...
국가 R&D 참여 대학원생 지원 '연구생활장학금' 도입(종합) 2024-02-16 14:19:39
지급하는 구조를 만들기로 했다. 국내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에서 2018년부터 이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KAIST의 경우 석사 과정 80만원, 박사 과정 110만원을 보장하고 있는데 정부는 이 기준을 반영해 전 대학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번 민생토론회를 통해...
이공계 대학원생에 월 일정액 지원 '한국형 스타이펜드' 도입 2024-02-16 11:13:39
따라 추가로 지급하는 구조를 만들기로 했다. 국내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에서 2018년부터 이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KAIST의 경우 석사 과정 80만원, 박사 과정 110만원을 보장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민생토론회를 통해 현장 의견을 반영해 세부 추진방안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제...
삼성전자, 일본 대표 AI 스타트업 PFN서 2나노 반도체 수주 2024-02-15 19:27:58
등 2나노 경쟁에서 앞서 나가고 있다. 그러나 삼성전자도 차세대 트랜지스터인 GAA(Gate-All-Around)를 적용한 3나노 공정을 2022년 6월 세계 최초로 시작하는 등 그간 축적한 기술력을 토대로 2나노 경쟁에서 기술적 우위를 점한다는 각오를 보인다. 경계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사장)은 작년 5월 대전...
'글로벌 톱 50' 팹리스 10곳 육성…반도체 밸류체인 완성 2024-01-15 18:45:23
대학과 한국나노기술원(화합물 반도체 특화 인프라)이 있는 수원은 화합물 반도체 기술 거점으로 키운다. 평택에는 5000억원을 투자해 KAIST 평택캠퍼스를 2029년까지 설립하고 첨단 패키징 등 반도체 핵심 기술 인력을 매년 1000명 양성하기로 했다. 규제 철폐도 제도화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규제 강도와 수준을...
"TSMC 게 섰거라"…반도체 메가클러스터에 622조 쏟아붓는다 2024-01-15 15:13:06
평택에는 총 5000억원을 투자해 2029년까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평택캠퍼스 및 차세대 설계 연구센터, 소자 연구센터를 구축한다. 신개념 반도체, 첨단 패키징 등을 연구하는 거점이 된다. 한국나노기술원이 소재한 수원은 화합물 반도체 기술 거점으로 육성한다. 화합물 반도체는 전력 효율과 내구성이 뛰어나 우주 및...
"AI반도체 1등"…판교 R&D 허브 조성·연구인력 2배 이상 확충 2024-01-15 10:35:51
전국의 나노팹을 가상공간에서 연계함으로써 연구자가 24시간 안전하게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서비스다. 올해 안에 한국나노기술원, 나노종합기술원, 나노융합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등 6개 팹을 연계하고, 내년 이후에는 민간 대학과 연구기관 팹으로 통합...
622조 투입 반도체클러스터 '세계 최대·최고'로…정부 총력지원 2024-01-15 10:32:51
중 10개를 한국 기업으로 채운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 차원에서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 속한 판교, 수원, 평택을 중심으로 연구개발과 교육 거점을 구축하고, 국내외 반도체 연구 인프라와 협력 체계를 세운다. 평택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평택 캠퍼스와 KAIST 차세대 설계 연구센터, 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