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나노 디스플레이 석학 김종민, 英 케임브리지 첫 韓 명예교수 2023-11-19 06:30:01
뒤 삼성종합연구소에 입사했다. 이곳에서 1999년 카본 나노 튜브 디스플레이 개발로 세계적 주목을 받았다.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디스플레이, 폴더블 디스플레이 등이 2000년대 초반 김 교수가 연구를 선도한 분야다. 지난해에는 발광다이오드(LED) 46인치 스마트 직물 디스플레이를 세계 최초로 구현해서 '네이처...
[고침] 국제('한국 알리는 복합공간' 러 모스크바에 '한국…) 2023-11-02 16:56:21
"한국학 학자와 학생뿐 아니라 한국 역사와 문화에 관심 있는 모든 러시아인에게 열린 복합 문화공간으로 성장하고 번성하기를 희망한다"고 기대했다. 한국코너 실무를 총괄하는 박벨라 실장은 동방학연구소 한국역사문화자료실의 다양한 한국학 도서들을 한국코너에 배치할 계획이라면서 "우리의 목표는 이곳이 한국학...
'한국 알리는 복합공간' 러 모스크바에 '한국코너' 개관 2023-11-02 02:33:54
"한국학 학자와 학생뿐 아니라 한국 역사와 문화에 관심 있는 모든 러시아인에게 열린 복합 문화공간으로 성장하고 번성하기를 희망한다"고 기대했다. 한국코너 실무를 총괄하는 박벨라 실장은 동방학연구소 한국역사문화자료실의 다양한 한국학 도서들을 한국코너에 배치할 계획이라면서 "우리의 목표는 이곳이 한국학...
다이렉트미디어렙, LA서 K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서밋 2023-10-17 10:35:45
= 미디어 연구소 다이렉트미디어렙은 오는 20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인디애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부경대학교와 함께 '2023 K-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서밋'을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미국, 영국 등 글로벌 마켓에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한국 콘텐츠와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엔터테크 기업의...
AI가 가르치면 한글 학습 다를까…美 공략 나선 스타트업들 [긱스] 2023-09-25 09:27:50
미국 최초로 한국학 연구소가 생기는 등 한국어 교육이 강세였다. 클리어는 이런 분위기 속에서 한국 미국 영국 등 각 국가의 50여 명 상당 한국어 교수와 언어학자가 참여해 만들어졌다. 현재는 하버드대, 프리스턴대 등을 포함한 180개 대학에서 쓰이고 있다. 클리어에 삽입될 대표적인 기능은 AI가 생성해 주는 ‘스피킹...
"MZ세대 직원에 귀 기울이는 게 超기업 되는 첫발" 2023-08-22 18:32:46
하버드대 한국학연구소 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했다. 2011년 삼성과 애플의 소송이 한국에 대해 본격적으로 공부해야겠다고 마음먹는 계기가 됐다. “당시 미국에서는 삼성 LG 현대자동차와 같은 대기업 브랜드의 제품이 값싼 제품에서 명품 디자인 아이템으로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이것이 한국학의...
김준엽 전 고려대 총장 탄생 100주년 행사 2023-08-14 20:49:08
해방 후 고려대 사학과 교수 및 아세아문제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1982년 고려대 총장 재임 때는 군사정권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학생들을 보호하다가 강압에 의해 사임했다. 이후 사회과학원을 설립해 중국 내 한국학 연구를 진흥시키고, 1987년 개정된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경기도, 미국 미시간대학교 등 '경기청년 사다리 프로그램' 146명이 연수생 귀국 완료 2023-08-07 14:44:33
방문지인 해치(현대·기아차 미국 기술연구소)를 찾아가 자동차 관련 진로를 고민하는 청년에게 도움을 줬다. 미시간대 경기청년사다리즈 프로그램 책임자인 유영주 미시간대 한국학센터장은 “사다리는 과거 세습을 깨고 개개인에게 기회를 주고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우리 시대의 화두와 맞닿아 있...
美친한파 의원들, 정전 70주년 기념…"불가분 한미관계의 시작" 2023-07-28 11:27:53
미주한인위원회(CKA), 한미경제연구소(KEI)는 이날 연방 하원 레이번빌딩에서 '한국전쟁 참전용사와 정전의 날 기념 리셉션'을 공동 개최했다.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전쟁의 아픔을 기억하고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자리에는 한국계인 앤디 김(민주·뉴저지), 영 김(공화·캘리포니아) 의원이 참석했다....
[진달용의 한류 이야기]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한류 연구와 교육…제도화 필요하다 2023-06-14 18:24:32
미디어, 한국학, 아시아학, 사회학, 철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한류 연구의 초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류는 이미 그 자체로 어느 특정 학문 분야에 속하지 않는다. 인문사회 분야의 많은 학과가 주요 연구 주제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 분야와 한국학의 교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