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주목! 이 책] 좋은 엄마 학교 2023-10-06 18:40:13
저자를 단숨에 주목받는 소설가로 만든 장편소설. 아동보호법 위반을 저지른 엄마들을 가둬놓고 교육하는 가상의 ‘엄마 학교’를 배경으로 ‘좋은 엄마’에 대한 환상을 말한다. 뉴요커 등 20여 매체가 ‘올해의 책’으로 선정했다. (정해영 옮김, 허블, 492쪽, 1만8000원)
"우주 가속팽창 암흑에너지, 아인슈타인 우주상수 아니다" 2023-08-07 19:40:02
구한 암흑에너지의 상태방정식 값을 가지면서 동시에 허블상수 관측값 불일치도 해결할 가능성이 있는 이론도 여럿 존재한다"며 "지난 수십년간 ∧CDM 표준 우주모형이 일궈낸 성과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이번 연구결과도 잘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우주모형을 만드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ao@yna.co.kr (끝)...
고체·액체·기체·플라즈마 이어…'제5원소' 발견 2023-08-07 18:12:02
나눈 값이다. 최근 초신성 등을 이용해 허블상수를 잰 값과 우주배경복사를 통해 얻은 값이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허블상수 불일치 문제라고 한다. 이번 연구엔 고등과학원 박사후연구원을 지낸 동 푸유 중국윈난대 교수, 홍성욱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황호성 서울대 교수, 박현배 미국 로런스버클리국립연...
"지구방어 소행성 충돌실험 때 수m 암석 수십개 튕겨 나와" 2023-07-24 07:14:12
연구팀 "허블망원경, 소행성 주변서 1~6.7m 바위 37개 포착"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지난해 인류 최초의 지구방어 전략 모색을 위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실시한 '쌍(雙)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에서 충돌 충격으로 수 미터 크기 암석 37개가 튕겨 나와 주변에 떠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NASA...
어센트코리아, 리스닝마인드 허블 '일본 버전' 론칭 2023-07-18 10:45:18
론칭했다고 18일 밝혔다. '리스닝마인드 허블' 일본 버전은 1억3천만 일본 전 국민이 구글 재팬과 야후 재팬에서 입력한 3억개의 검색어 빅데이터를 수집해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일본 소비자 인식’과 ‘일본 시장 내에서의 제품간 브랜드간 경쟁상황’ 등을 몇번의 검색만으...
"인류의 눈 바꿨다" 제임스웹 1주년…'별의 탄생' 사진 공개 2023-07-13 12:06:08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영역을 관측하는 허블망원경과 달리 파장이 길어 우주의 먼지와 가스구름을 뚫고 더 멀리 가는 근적외선, 중적외선 파장까지 포착한다는 설명이다. NASA는 지난해 7월 12일 JWST 발사 후 처음으로 이 망원경이 촬영한 사진 5장을 공개한 바 있다. hanj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암흑우주 비밀을 찾아서'…유클리드 망원경 우주로 2023-07-02 00:30:01
지녔다. 하지만 유클리드가 수행할 임무는 JWST나 허블우주망원경(HST)보다 절대 작지 않다. 유클리드는 우주 탄생과 발전의 비밀을 밝혀줄 암흑 에너지와 암흑 물질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유클리드는 제2 라그랑주점 도착 후 7개월간 시험가동 후 2029년까지 두 가지 관측 장비를 이용해 하늘의...
어센트코리아, 인텐트 마케팅 솔루션 리스닝마인드 허블에 'GPT분석' 기능 도입 2023-05-31 14:57:08
빅데이터 기반 마케팅 솔루션 '리스닝마인드 허블'을 제공하고 있는 어센트코리아(대표 박세용)가 GPT 기반의 분석 기능을 새롭게 추가했다고 밝혔다. 어센트코리아의 인텐트 마케팅 솔루션 '리스닝마인드 허블'은 검색어와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수집한 다양한 검색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의도를...
초기 은하서 태양 질량 5천~1만배 가설속 초대형 별 흔적 포착 2023-05-18 15:34:36
GN-z11에서 찾아냈다. 이 은하는 지난 2015년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처음 관측돼 한때 가장 오래된 은하 기록을 갖고 있기도 했다. 연구팀은 웹 망원경 관측을 통해 GN-z11 은하 내 구상성단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별이 모여있는 밀도를 갖고있고, 질소도 많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질소를 만들려면 초고온에서...
'포말하우트' 웹망원경으로 봤더니 행성잔해 고리 두 개 더 존재 2023-05-09 11:28:38
"허블과 ALMA를 통해 카이퍼벨트와 같은 많은 외곽 고리를 포착해 어떻게 형성되고 진화하는지를 알게 됐지만 안쪽에 있는 소행성대를 찾아내는데는 웹 망원경이 필요하다"면서 "허블과 ALMA가 기온이 낮은 외곽에 관해 가르쳐준 것만큼 좀 더 기온이 높은 영역에 있는 안쪽 고리에 관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