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슈퍼AI, 인간을 지배종서 끌어내릴 수도" 2024-01-01 18:23:05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는 약 3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처음 등장했다. 특출날 것 없는 신체적 능력을 지녔지만 약 3만~4만 년 전부터 지구의 지배종으로 군림하는 데 성공했다. 도구의 사용과 기술의 발달이 비결이었다. 농업혁명으로 인간의 수가 급격하게 늘었고, 산업혁명으로 물질적 생활 수준이 높아졌다....
"일찍 일어나는 아침형 인간은…" 깜짝 연구결과 나왔다 2023-12-15 12:53:48
호모 사피엔스는 기원전 30만년전 아프리카에서 진화했다. 1년 내내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비슷했다. 반면 네안데르탈인은 낮이 여름엔 길고 겨울엔 짧아지는 고위도로 이주했다. 기원전 40만년부터 생체 시계를 새로운 환경에 맞췄다. 아침형 인간의 특징이다. 이후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 대륙을 벗어나 유라시아로...
"아침형 인간,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덕분" 2023-12-14 17:45:45
전 아프리카에서 출현한 최초의 호모 사피엔스 중 일부가 약 7만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 대륙으로 진출, 그곳에서 살던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과 혼혈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유럽인·아시아인 유전자의 약 2%가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찍 자고 일찍...
"아침형 인간, 네안데르탈이 물려준 유전자 때문일 수도" 2023-12-14 17:27:39
전 최초의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에서 출현했다. 이들 중 일부가 약 7만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 대륙으로 진출, 그곳에서 살던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과 혼혈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오늘날 유럽인·아시아인 유전자의 약 2%가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온 것으로 추정된다. 카프라 교수는 이전 연구...
D2SF, 모션캡처 스타트업에 투자…크리에이트립, 투어메이트 출시[Geeks' Briefing] 2023-12-13 17:02:27
네오사피엔스가 동참했다. 지피터스는 소규모 챗GPT 스터디에서 시작해 AI 관련 국내 최대 방문자를 자랑하는 커뮤니티로 성장했다. 멤버십 재구매율이 30%를 넘는 등 커뮤니티는 수익을 내기 어렵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있다는 평가다. 크리에이트립, 투어 메이트 출시 글로벌 K-관광 인바운드 여행 플랫폼 크리에이트립이...
[한경에세이] 인류애는 어디로 갔는가? 2023-11-01 19:22:31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다. 세계 곳곳에서 전쟁으로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우리도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 네덜란드 저널리스트 뤼트허르 브레흐만은 저서 에서 “호모 사피엔스의 20만 년 역사상 19만 년은 전쟁도 압제자도 없는 평화 시대였다”고 말했다. 모두가 살기 좋은 평화 행성을 꿈꾸며, 국제적십자운동...
[이·팔 전쟁] 유발 하라리 "하마스, 평화 영구파괴 의도…全진영 나서야" 2023-10-20 11:31:22
위해 모든 관련국이 행동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사피엔스', '호모데우스' 등의 저자로 잘 알려진 하라리 교수는 19일(현지 시각)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 기고문에서 하마스가 평화를 막기 위한 정치적 목적을 갖고 이번 전쟁을 시작했다며 그 근거로 공격 당시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역사적...
[사이테크+] "4만8천년 전 동굴사자 갈비뼈에 구멍…네안데르탈인 사냥 증거" 2023-10-13 05:00:01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공존하다가 멸종한 네안데르탈인이 맹수를 사냥하고 그 가죽을 이용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증거가 발견됐다. 독일 튀빙겐 에버하르트칼스대학 가브리엘 루소 박사팀은 13일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지그스도르프에서 발견된 동굴사자(cave...
코로나19 초기 직격탄 이탈리아,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때문? 2023-09-18 10:19:17
4만년 전에 멸종됐지만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의 혼종 교배 영향으로 유럽과 아시아계의 게놈 가운데 2% 정도가 네안데르탈인에게서 물려받은 유전자이다. 네안데르탈인 유전자와 코로나19 중증화 간 연관성은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스반테 페보 박사가 공동 집필한 2020년 네이처 연구논문에서 처음...
[사이테크+] "인류 90만년 전 멸종위기 겪었다…번식가능 인구 1천280명뿐" 2023-09-01 03:00:01
제안한 병목 현상은 데니소바인, 네안데르탈인, 호모 사피엔스의 공통 조상이 산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와 일치하지만 이 이론은 인류의 고고학 및 화석 증거와 비교해 검증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류가 90만~80만년 전 아프리카 안팎에 퍼져 있었다면 연구팀이 제안한 병목 현상의 원인이 무엇이든 그 영향이 더 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