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난소암 가족력 관련 새로운 위험인자 국내 연구진이 규명 2021-02-25 10:34:50
의미 있게 증가했다. 특정 유전자의 메틸화는 DNA 염기서열에서 사이토신 염기에 나타나는 후성학적 변이다. DNA에서의 메틸화는 유전자 발현에 관여해 암세포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 교수는 "난소암 환자의 75%는 병이 상당히 진행된 3기 이후에 진단된다"며 "BRCA1/2 유전자 변이가 없더라도 암...
류마티스관절염 발병 기전 국내 연구진이 밝혀 2021-01-13 14:27:57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유전체연구기술개발과)과 배상철 한양대학교 류마티스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김광우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교수가 공동으로 주도하고, 하은지 경희대 박사과정생과 방소영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가 공동 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팀은 류마티스관절염 발병에 유전변이로 ...
"조산으로 태어난 부모 자녀, 자폐증 위험↑" 2021-01-11 10:10:00
설명했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환경적 자극으로 인한 유전자 발현의 변화는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도 대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추측했다. 이러한 현상을 후성적 유전(epigenetic inheritance)이라고 한다. 한편 부모의 교육 수준, 정신건강, 임신 연령 등이 자녀의 ASD 발생...
신종 코로나, 세포의 에너지 생성 경로 망가뜨린다 2020-12-09 17:05:03
망가뜨렸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관련 유전자들에 후성유전 변이를 일으켜 유전자의 발현 교란 효과가 장기간 지속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신종 코로나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중에는 바이러스를 퇴치한 후에도 수주부터 수개월까지 증상이 사라지지 않는 사례가 종종 있는데 그 원인이 이런 후성유전 변이에...
크리스탈지노믹스, ‘아이발티노스타트’ 췌장암 1차 희귀의약품 신청 2020-10-19 11:07:31
아이발티노스타트는 후성유전 조절제로 다른 분자표적항암제들과의 병용투약 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종양미세환경’(TME) 인자들을 억제하고 면역 T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 투여를 통해 고형암에서 약효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질환동물모델 실험으로 증명했다는...
[한경에세이] 기억의 기록 2020-10-14 17:19:04
부모에게 물려받은 유전자를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를 후성 유전학이라고 부르는데, 놀라운 점은 후성 유전 상태가 부모에게서 자손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뉴욕의 한 대학병원 연구에 의하면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인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후손은 트라우마...
DNA 검사도 못 잡는 후성유전 변이, 생각보다 훨씬 많다 2020-09-16 16:45:10
다수는 유전 질환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발견된 후성유전 변이의 일부는, 유전자 발현 조절을 교란하는 염기서열의 드문 변이에서 기인했다. 하지만 약 3분의 1은 유전자를 건드리지 않고 세포 표현 등을 건드리는 신체적 변이였다. 이런 후성유전 변이는 후손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전...
암세포의 T세포 따돌리기, 아미노산 봉쇄로 끊는다 2020-09-03 17:28:10
안에서 뉴클레오솜을 구성하는 기본 단백질로서 후성 유전 기제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염색질의 기본 단위인 뉴클레오솜은, 146개의 염기쌍 DNA가 4종의 히스톤 팔량체를 감싼 구조로 돼 있다. 히스톤 단백질에는 메틸화 외에 아세틸화, 인산화, 유비퀴틴화 등 여러 가지 번역 후 변형이 일어난다. 암세포가 메티오닌...
인간 X염색체 유전체 조립, 사상 처음 완성했다 2020-07-15 16:02:40
공동 설립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완결판에 가까운 이번 유전체 조립도 100%엔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극히 일부지만 동원체(centromere)에 풀지 못한 복합 단절이 있다는 것이다. 동원체는 세포 분열기에 염색체가 방추사와 결합하는 부위로, 반복 DNA 해독이 어렵기로 유명하다. 실제로 연구팀이 들여다본 X염색체 동원...
"줄기세포가 분화해 무엇이 될지, 사실상 RNA가 결정한다" 2020-07-08 15:55:12
유전자 스위치를 온·오프 하는 후성유전 기제(epigenetic machinery)다. 그런데 전령RNA(messenger RNA)가 후성유전 기제와 유전자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한다는 걸 미국 콜로라도대 볼더 캠퍼스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사실상 후성유전적 유전자 온·오프를 제어하는 건 전령RNA였다. 전령RNA의 이런 작용에 문제가 생기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