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베트남, 3년 연속 중국·미국 이어 '한국의 3대 교역국' 자리 2025-01-06 06:00:11
23억달러 커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한국의 최대 흑자국인 미국(557억달러)에 이어 2번째로 큰 것이다. 앞서 베트남은 2022년 한국에 342억달러의 흑자를 안기며 미국을 제치고 최대 무역흑자 국으로 부상한 바 있다. 이후 2년 연속 2위 흑자국에 올랐다. 지난해 베트남과의 교역 증가 및 무역수지 확대는 전년 주춤했던...
[마켓칼럼] 트럼프 2.0 시대에 달러환율은 어디로 향할까 2025-01-03 09:29:10
이미 공공연하게 대중국 관세와 대미 무역 흑자국에 대한 보편적 관세 등을 천명하고 나선 상태다. 관세 부과는 수입을 억제하면서 순 수출을 늘리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고 이는 미국의 경상 수지를 개선해 달러 강세를 유발하게 된다. 미국은 세계 최대 소비국이기도 하다. 관세 부과는 수입 물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오태민 교수 “비트코인이 달러 질서 바꾼다… 불장 중반부, 섣부른 투자 금물” 2025-01-02 06:00:44
대한 수요가 없는 상황이다. 미국에 대한 무역흑자국 1위는 중국, 2위는 멕시코, 3위는 베트남이다. 따라서 미 장기채 수요는 가장 큰 무역흑자국인 중국이 소화해줘야 하지만 중국은 나서지 않고 있다. 최근 미 중앙은행(Fed)이 빅스텝을 밟는다며 이자율을 낮췄는데도 장기채에 대한 수요가 늘지 않으니 장기 이자율이 안...
트럼프 복귀 앞 역대 최대 대미흑자…무역수지 관리 필요성 커져(종합) 2025-01-01 17:48:36
2기 정부는 취임 초반부터 주요 무역 흑자국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밀어붙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면서 "한국의 경우 자동차 등 품목에 대한 압박과 함께 그동안 혜택을 누리던 배터리 등에 대한 보조금 삭감 내지 축소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장 원장은 "통상 측면에서 미국이 원하는 무역적자 축소를 위해...
[사설] 내우외환 속에서도 수출 사상 최대…새해도 총력전이다 2025-01-01 17:36:10
흑자국 앞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은 정교한 대응 없인 직격탄을 맞을 수도 있는데 작금의 리더십 공백이 뼈아프다. 그렇다고 지레 겁먹을 필요는 없다. 인공지능(AI) 시대 필수 반도체인 HBM은 한국 기업이 압도적인 경쟁력으로 주도하고 있고 트럼프가 ‘러브콜’을 보낸 K조선도 있다. 통상·외교당국은 물론 정치권도...
트럼프 복귀 앞 역대 최대 대미흑자…무역수지 관리 필요성 커져 2025-01-01 13:58:06
2기 정부는 취임 초반부터 주요 무역 흑자국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밀어붙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면서 "한국의 경우 자동차 등 품목에 대한 압박과 함께 그동안 혜택을 누리던 배터리 등에 대한 보조금 삭감 내지 축소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장 원장은 "통상 측면에서 미국이 원하는 무역적자 축소를 위해...
[사설] 파나마운하 운영권까지 돌려달라는 트럼프 억지 2024-12-23 17:45:40
다목적용이다. 트럼프의 거친 방식은 먹혀드는 모양새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트럼프 맞춤형’으로, 일본은 소프트뱅크 등 대규모 민간 투자로 미국 달래기에 총력전이다. 대미 무역흑자국에다 트럼프에게 ‘돈 많은 나라’로 지목된 한국은 탄핵 사태까지 겹쳐 첩첩산중이다. 해군력 강화를 위해 트럼프가 한국 조선에...
日 경제, '엔고의 저주' 다시 닥치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12-23 07:33:53
중국, 일본, 한국과 같은 대미국 무역 흑자국의 통화 가치가 지나치게 약세지 않느냐는 미국의 입장도 엔·달러 환율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발언을 계기로 미국이 일본과는 제2 플라자 협정을 체결하지 않겠느냐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엔·달러 환율은 260엔대에서 79엔대로...
[시론]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한다면… 2024-12-15 17:35:17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에 미국은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이고 미국에 한국은 무역 적자 상위 7위 국가다. 이는 앞으로 한국에 통상 압박 근거로 작용할 것이고, 이 과정에서 관세 및 방위비 분담금 인상은 주요 타깃이 될 가능성이 대단히 크다. 우리 정부는 다음과 같은 대응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 첫째, 방위비 분담금 협...
다가온 '킹달러' 시대…환율 1400원대가 뉴노멀 2024-12-02 06:04:10
무역수지 흑자국에 대한 통상 압박 여부에 따라 변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이 무역수지 흑자 축소와 국제수지 불균형 조정에 집중할 경우 일본과 중국 등 주요 교역 상위국의 통화 약세를 견제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며 원·달러 환율은 1400원에서 등락하거나 안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