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루신화 "21세기의 상흔은 바로 '돈'…분배 통해 상처 치유해야" 2013-08-01 16:58:54
동·서양 역사에 대한 고찰과 개인의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철학을 담았다. 1960~1970년대 상흔은 ‘이념’이었지만 21세기의 새로운 상흔은 ‘돈’이고, 돈의 성질을 잘 알아야 상처받지 않고 주체적으로 살 수 있다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돈의 성질’은 어떤 것일까. 상하이에서 로스앤젤레스(la)로 가는 비행 중...
[화제의 책] 프랑스 대혁명 등 2013-07-04 17:32:45
역할 ◇길은 달라도 같은 산을 오른다=동·서양 종교와 철학, 신학을 넘나드는 폭넓은 연구로 존경받아 온 원로 학자가 종교의 본질적 역할과 존재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그는 현실사회에서 종교가 가지는 한계를 인정하고, 도그마적 종교 이후 세상을 이끌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종교 간의 벽을 넘어야 할 뿐 아니라...
토마토 농사에 IT 접목…'스마트 아그리'로 100년 먹거리 만든다 2013-07-04 15:30:06
문호 개방이 본격화되면서 일본엔 갖가지 서양 채소 종자들이 유입됐는데, 그중 하나가 토마토였다. 가니에는 첫 토마토 수확 후 토마토 판매 가게를 차렸다. 가고메의 시작이다. 불행히도 토마토를 처음 접한 일본인들은 토마토 특유의 향내를 싫어했다. 수확한 토마토는 창고에 가득했지만 판로 개척이 매우 어려웠다....
[한 문장의 교양] (10) '데우스 엑스 마키나, 기계장치의 신' 2013-06-21 14:42:41
아리스토텔레스는 서양 역사에서 한 손에 꼽히는 철학자입니다. 그는 특별한 사제관계로도 유명합니다. 위대한 철학자 플라톤이 그의 스승이고, 대제국을 건설한 젊은 황제 알렉산더가 그의 제자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을 공부하기 위해 플라톤이 세운 서양 최초의 학교인 아카데미아에 17살에 들어갔습니다....
[책꽂이] 북한에 대한 불편한 진실 등 2013-05-30 17:08:57
교육철학 이야기=국내외 명문대 진학 실적으로 유명한 청심국제중·고등학교의 교육 철학을 담았다. 이타적 품성 교육, 창의적 지식 교육, 글로벌 리더십 교육을 통해 사교육 없이도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한다.(한현수 지음, acg에듀, 308쪽, 1만5000원) ◇맛보다 이야기=일본 태생의 귀화 한국인인 저자가...
[인터뷰]서양화가 조범제 "겸재의 진경산수, 기필코 서양화체로 완성할 터" 2013-05-20 09:39:16
“서양미술에서 최고의 경지는 필력(筆力) 곧 붓의 힘이라고 봅니다. 그러나 동양미술에는 그보다 한 가지가 더 있죠. 그것이 바로 기운생동입니다. 그림공부를 해보면 정신세계의 완성이나 해탈이 와야 합니다. 그림이란 정의하기를 조물주가 모든 우주를 창조했지만 화가는 신이 창조한 창조물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한 문장의 교양] (3) 플라톤, 동굴의 비유 2013-05-03 14:53:48
생각은 그리 허황된 것만은 아닙니다. 철학자 남경희 님의 말을 들어볼까요? “플라톤이 말한 형상계는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으나 언젠가는 실현될 수 있으리라 우리가 믿는 완전한 실현태를 의미한다. 철학이나 학문의 목표, 나아가 윤리적 실천의 목표는 이런 실재자들에로 나아가는 것이며, 실재계로 나아가지 못하는...
[2013 대학총장 인터뷰 (8)] 대통령 배출 서강대 확 달라졌네… 유기풍 총장 "시끌벅적한 대학 만들겠다" 2013-05-03 10:12:24
교육을 받은 서양 신부들에 의해 설립됐습니다. 반 세기 동안 엄격한 학사관리로 서구형 대학교육의 전형을 세웠다고 자부합니다. 당시엔 국내 명문이란 대학들도 학사관리가 엄격하지 않은 분위기였죠. 이제 또 다른 50년, 서강대가 대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 리더가 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어요."- 취임...
[한 문장의 교양] (2) 소크라테스 "너 자신을 알라" 2013-04-26 14:43:07
것이에요. 너무나도 유명한 철학자죠. 서양 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하고요. ‘철학’이라는 말이 나오니까 바로 머리가 아프다고요? 아이고, 그럴 만도 해요. 철학자들이란 쉬운 말도 어렵게 꼬아서 하는 데 특별한 재능을 가진 별난 사람들이니까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오늘 공부할 문장은 이미 여러 번 들어본...
[한 문장의 교양] (1) 함석헌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2013-04-19 14:53:12
수 있는 좋은 방법은 없어요. 조금 어렵지만 철학자 레비나스의 말을 한번 들어볼까요. “필립 네모_ 생각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어떤 사건을 겪으면서 자기 자신에게 생기는 또는 자기 자신으로부터 생기는 물음에서 시작되는가? 아니면 먼저 어떤 책이나 사상을 만나 시작되는가? 엠마누엘 레비나스_ 정확히 말로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