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해외 석학들 KAIST서 기업가 정신 논의 2013-08-19 10:43:16
Entrepreneurship)'를 공동으로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는 미국경제의 핵심 두뇌집단인 미국경제연구소(NBER,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를 비롯해 중국 칭화대, 일본 도쿄대, KAIST 경영과학과및 기술경영대학원 등 세계적 연구소와 대학들이 참여한다. 미국경제연구소에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정부 "이산상봉, 금강산 관광 재개와 별개 문제" 2013-08-19 10:04:32
이번 주부터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구성 논의와 공단의 설비 점검도 본격화할 전망이다.정부는 금명간 '공동위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합의서' 우리측 안을 확정한 뒤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북측과 본격적인 협의에 나설 방침이다.정부는 지난 17일에 이어 이날도 개성공단 내 시설을 사전에 점검하기 위해 우리...
[심층진단] 개성공단 앞으로 과제는? 2013-08-16 18:49:53
이번에 합의문에 남북은 공동위원회를 구성해서 개성공단의 정상화를 논의한다고 했는데, 기업들은 이 공동위원회에 기업들도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죠. 어떤 이유에서입니까. 질문> 오늘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이 통일부로 찾아가셔서 남북회담 수석대표였던 김기웅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을 만났다고 들었습니다....
세계물포럼 조직위 본격 활동 2013-08-16 17:08:31
위원회가 16일 서울 방배동에 마련된 사무국에서 현판 제막식을 열고 ‘2015 세계물포럼’ 준비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지난 4월 창립총회를 연 조직위는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지난달 재단법인 인가를 받고 공식 출범했다. 세계물포럼은 물 부족 문제 등에 대한 해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3년마다 열리는 국제행사다....
새누리, 8월 국회 단독 소집…野 압박 2013-08-16 16:54:34
특별위원회 진행 결과를 보고 임시국회에 참여할지를 결정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강은희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민주당에 임시국회 소집 요구서를 공동으로 제출할지를 오늘 내로 답변주길 요청했지만 답변이 없어 단독으로 집회요구를 하게 됐다”며 “국회법에 의한 결산 심의기한을 지키기 위해서는...
[특징주]개성공단주, 남북한 정상화 합의에 '강세' 2013-08-16 09:01:31
주초부터 합의사항을 이행할 기구인 개성공단 공동위원회의 구성에 관한 협의를 시작할 예정이다.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복절 기념식에서 남북 이산가족 상봉 실시와 비무장지대(dmz) 내 세계평화공원 건립을 북한에 공식 제안하는 등 남북한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
개성공단 정상화‥남은 과제는 2013-08-15 18:34:14
남북공동위원회를 구성한다는 것 외에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명시되지 않은 것도 불안요소입니다. 공단을 다시 여는 날짜 역시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은 만큼, 정상화 시일을 최대한 앞당기기 위한 남북 당국과 기업들의 추가 협의도 이뤄져야 합니다. <스탠딩> 신인규 기자 130일 넘는 기다림 끝에...
서울 도심 물대포까지…시위대-경찰 충돌 2013-08-15 17:41:59
물대포를 동원했다.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는 이날 오전 11시께 서울역광장에서 “68년 전 맞이한 광복의 참된 의미는 분단과 갈등이 아니었다”며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을 촉구하며 ‘8·15평화통일대회’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민주노총, 시민단체, 야당 관계자 등 주최 측 추산 5000여명(경찰...
[朴대통령 8·15 경축사] "개성공단 국제화 걸림돌은 '대북제재'…고부가 전략산업 유치 쉽지 않아" 2013-08-15 17:35:14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설치를 위한 협의를 시작할 계획”이라며 “먼저 서면 합의 방식으로 공동위원회 구성 합의서 체결을 추진할 것”이라고 15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공동위원회는 7차례 당국회담의 연장선으로 당국회담의 상설화 의미로 보면 된다”며 “공동위원회의 위원장 사무처와 분과위 구성은 추후 남북...
[사설] 개성공단 재가동, 앞으로의 협상이 더 중요하다 2013-08-15 17:21:24
남북공동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지만 피해산정과 책임소재가 분명히 정리될 수 있을지부터 적지 않은 의문이 드는 게 사실이다. 신변안전 보장과 통행·통신·통관 문제도 두루뭉술하게 언급했을 뿐이어서 남북이 각각 누가, 어떻게 보장한다는 명시적 합의는 없는 상태다. 합의서의 5개 조항이 모두 이런 식이다.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