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꽂이] '창조산업' 등 2015-12-03 18:06:46
생각하기 예술·과학·철학·문학에 걸친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의 취향을 엿보며 그의 영감과 철학이 어디서 비롯됐는지 탐구한다.(다니엘 스미스 지음, 허수빈 옮김, 도도, 228쪽, 1만4800원)●부자들의 냅킨 재테크 미국 유명 재무설계사의 재테크 가이드북. 그림 한 장으로 재정 상태를 점검하고...
매력과 마력의 유럽여행 가보자 2015-11-13 15:16:07
인문학 관심 성인들에게 부담 없이 떠날 수 있는 가장 값진 인문학 여행의 첫 경험이 될 것이다. 여행의 재미에만 추구하는 단순 유럽관광에서 벗어나 직접 보고, 체험하고 토론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발전하는 아카데믹 투어로서 과거 17세기 영국을 시작으로 18세기 유럽 귀족 자녀들이 스승과 함께 글로 배운 공부를...
내년 한-불 수교 130주년, 근대 언어-문화 교류의 흔적을 찾다 2015-11-05 14:44:10
근대 동아시아라는 시공간적 맥락에서 갖는 의미를 평가하고, 지금?여기?우리의 한국학과 국어학 그리고 프랑스학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그 의미를 강조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한불자전이 국어사전의 탄생을 촉발했던 한국어사전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근대의...
`노래하는 교수` 장유정은 누구?…음반까지 발표 2015-11-02 09:01:36
등 근대가요를 탐구하는 저서 등을 펴냈다. 특히 지난 2013년에는 `장유정이 부르는 모던 조선, 1930년대 재즈송` 음반도 발매해 화제를 모았다. 장유정 교수는 과거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가수를 꿈꿨었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장유정 교수는 당시 인터뷰에서 "힘들 때마다 가요로부터 위로받았고 저 역시 남들을...
[한국사 공부] 정조의 꿈은 무엇이었을까 2015-10-09 17:51:06
(34) 왕의 아버지가 정치를 대신하다 (35) 최초로 근대 국가를 시도하다 올해는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1795년(을묘년)에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수원 화성으로 행차한 지 22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래서 수원화성박물관 등에서 특별 기획전을 개최하고 있지요. 1795년 당시, 윤2월 2일부터 8일 동안 치러진 이...
키스를 부르는 카를교…스머프들이 살 것 같은 동화 속 마을…체코 프라하·체스키 크룸로프 2015-10-05 07:10:00
중심 도시였다. 중세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우아하고 화려한 예술적 건축물이 그대로 남아 있는 프라하는 긴 시간을 이동한 여행자의 피곤마저 흥분으로 바꿔놓는 도시다. 먼저 도시를 내려다보고 있는 프라하 성(prague castle)으로 향했다. 유럽에서 가장 큰 중세 성인 프라하 성은 9세기부터 건설을 시작해 14세기 즈음...
천고마비의 계절…책 속에 빠져 문향(文香)에 취해볼까 2015-10-01 19:00:27
문학 강연이 열린다. 출판도시 내 한옥 앞마당에서 열리는 강연은 문학, 대중음악, 미술, 역사, 자연 등 분야도 다양하다. 출판도시 입주 출판사들이 차린 야외 북마켓과 공예 예술가들이 참여하는 아트마켓에선 책과 함께 작품을 살 수 있다. 방재석 파주북소리 집행위원장은 “부모와 함께하는 독서캠프, 낭독회 등...
[책마을] 독창성·시대성·자기탐구…모더니즘 이해하는 키워드 2015-09-03 18:57:41
‘모더니즘’이란 개념 자체가 쉽지 않다. 문학 미술 건축 음악 연극 무용 등 거의 모든 예술 장르에서 광범위하게 언급돼 친숙하기는 한데 막상 누군가 ‘모더니즘이 뭐냐’고 묻는다면 난감해질 법하다. 관심을 갖고 파고들어도 개념이 명확하게 잡히지 않는다. 우리말인 ‘근대주의’나...
[책꽂이] '시장의 미래' 등 2015-08-27 18:55:15
문학의 거장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가 1967년과 1980년에 한 인터뷰를 모은 책. 문학, 창작, 죽음에 대한 그의 견해가 솔직하게 담겼다.(윌리스 반스톤 엮음, 서창렬 옮김, 마음산책, 360쪽, 1만6800원) ● 조선은 이렇게 망했다 1, 2 중국 근대 소설가가 조선 멸망의 전말을 역사적 사실과 허구로 엮어 1920년에 내놓은...
[월요인터뷰] 페스트라이쉬 교수 "선비는 현대사회 이상적 지식인상(像)…한국의 상징으로 키워야" 2015-08-23 18:58:17
허우적거리는 조선을 일본이 해방시켜 근대화했다는 논리죠. 저는 인정하지 않지만 해방 이후에도 그런 논리가 남아서 조선시대와 현대 대한민국을 단절시켜 과거를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현대사회에 도움이 될 만한 퓔▤?문화유산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도 잘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