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별그대' 종방1달 3월 27일 출현 혜성 '홈즈'… 혹시 '또민준'이? 2014-03-26 11:38:01
조차도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측은 특히 “홈즈의 경우 근일점이 어마어마한 거리인 2au (약 3억km)나 떨어져 있어 아이손 혜성과 달리 태양의 영향을 받아 소멸되는 것 같은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혜성을 관측하길 기대한 이들에겐 실망감을 주는 정보인 셈입니다. 홈즈의 현재...
'홈즈' 혜성 27일 태양에 가장 가까워져 2014-03-26 09:50:15
방출로 밝아지는 현상 때문에 맨눈으로도관측할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받았다. Holmes 혜성은 1892년 11월 6일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홈즈(Edwin Holmes)에의해 발견됐다.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 거리는 5.2AU이며 태양에 가장 가까워졌을때의 거리는 2.1AU이다. 최근 방문은 2007년 10월에...
진주운석 `귀중한 국가 연구자산` 결론··운석 발견자 보상은? 2014-03-25 14:40:31
처음이다. 천문연과 관계 전문가들은 "일반적인 운석 낙하 현상의 특징을 고려할 때, 진주 일원 이외의 지역에서 발견된 암석은 3월9일 유성에서 나온 낙하운석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미래부는 진주운석의 보존·확보 및 대국민 전시·연구용 시료 배포 등 학술적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국가적 차원의 운석...
진주운석 유성 파편 "유성에서 온 운석 맞다"…가치는? 2014-03-24 17:00:43
미래부는 연세대 천문우주연구진 변용익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영상관측자료를 통해 유성의 궤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운석이 수도권 인근 상공에서 대기권으로 진입해 남하했으며 1개의 화구가 경남 함양·산청 인근 상공에서 폭발·분리돼 진주 일원에 낙하한 것으로 결론내렸다. 이와 함께...
자성 양자 소자를 스마트폰·양자컴퓨터에 활용 2014-03-23 21:45:36
박영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사진)가 참여한 한국·스웨덴 탄소기반나노구조 연구센터 공동 연구팀이 스마트폰과 양자컴퓨터에 활용할 수 있는 스핀-역학적(spintro-mechanical) 셔틀 소자 구현 가능성을 규명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나노 크기의 자성체 전극들 사이에 움직이는 양자점이 있을 때, 이...
한강대교 경관 조명 22일 오후 6시 59분 55초에 켠다? 2014-03-21 16:15:26
더 긴 것으로 드러나고요. 한국천문연구원측은 춘분의 실제 밤낮 길이가 다른 것과 관련, “춘분점의 경우 태양의 중심을 위치 기준으로 삼는데 비해 일출과 일몰을 판정할 때는 태양의 가장 높은 곳을 기준점으로 두는데서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대기의 밀도 등에 따른 빛의 굴절로 태양이 실제 보다 더 높이 뜬...
오늘 '춘분' 낮의 길이 12시간 9분 21초 …왜? 2014-03-21 11:03:09
21초로 나타납니다.천문연 홈페이지에서 오히려 거의 정확하게 반으로 나눠지는 때는 나흘 전인 3월 17일이 꼽힙니다. 이날 낮의 길이는 11시간 59분 24초로 밤낮 길이가 엇비슷합니다.이처럼 춘분에서 시간의 오차가 생기는 것은 춘분의 위치 기준 (태양의 중심)과 일출과 일몰의 측정 기준 (태양의 가장 높은...
'별에서 온 그대' 운석, 진주 외서도 발견할 가능성은? 2014-03-13 12:27:33
4등급의 유성체를 지칭합니다. 천문연구원측은 무엇보다 “이날 전국에서 목격된 화구들은 단일한 게 아니다”고 지적했습니다. 진주 서울 목포 등에서 촬영된 것은 서로 다른 별똥별이라는 얘깁니다. 다시 말해 이날 밤 유성과 화구가 적게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백 개에 이르렀을 거란 추정입니다.천문연 관계자는 “이날...
진주 운석 진위 논란··"진짜일 경우 가치는 수십억원?" 2014-03-11 07:29:49
한국천문연구원 이서구 홍보팀장은 "운석은 총알보다 10배 이상 빠른 초속 10~100㎞의 속도로 떨어진다"며 "비닐하우스에서 발견된 크기의 운석이 떨어진다면 최소 지름 10m 이상의 구덩이와 구덩이 주변이 불에 타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운석은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타버리기 때문에 지구...
"수원 별똥별"과 "하늘서 떨어진 진주 운석" 관련성은? 2014-03-10 16:39:26
오늘 10일 사이 국내에서 나타난 천문 관련 특이 현상을 두고 인터넷이 불덩어리처럼 타오르고 있습니다. 간밤 온라인 사이트에 우리나라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물체’가 빠른 속도로 낙하하는 모습이 자동차의 블랙박스에 찍혀 (경기도 수원 인근) 공개됐습니다. 이 물체에 대해선 전국 여러 곳에서 목격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