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표준연-국보연, 양자정보 보안기술 융합연구 시작 2016-02-17 12:00:06
총 175억원이 투입되며 서강대, 아태이론물리센터도 협동기관으로 참여한다. 양자정보는 원자, 초전도, 단일광자 등의 기초과학과 수학적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최첨단 융합 정보기술로 최근 양자정보를 활용한 보안 기술이 세계적인 화두다. 이 기술은 큐비트 신호를 더 작게 나누거나 여러 개로 복제할...
아인슈타인 중력파 직접 탐지 성공…한국 연구진 상당한 기여에도 울상 왜? 2016-02-13 00:01:01
아인슈타인이 1916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그 존재를 예견했으나 지금까지 직접 검출되지 않았다. 미국 과학재단(NSF)이 단독 투자하는 과학프로젝트로는 규모가 가장 큰 라이고는 2000년부터 10년간 건설과 가동에 6억2천만 달러를 투입하고 세계 80여개 기관 1천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연구에도 중력파 검출에 실패했다....
아인슈타인 "100년 앞섰다" 중력파 확인.."이런 과학 쾌거 처음이야" 2016-02-13 00:00:00
이르렀다. 관측의 통계적 신뢰도는 5.1 시그마(σ) 이상으로, 잡음에 의해 우연히 이런 가짜 신호가 잡힐 확률은 500만분의 1 이하에 해당한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논문은 미국 물리학회에서 발행하는 물리학계의 최고 권위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실릴 예정이며 기자회견과 동시에 온라인으로...
아인슈타인 `중력파` 직접 탐지 성공, 우주 비밀 풀렸다? 2016-02-12 09:18:45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구성해 라이고 실험 자료를 분석하는 소프트웨어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중력파의 간접 증거가 발견된 적은 있었으나 직접 검출이 이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인슈타인은 중력의 정체를 `시간과 공간이 일체가 돼 이루는 물리적 실체인 시공간의 뒤틀림`으로 파악하는 관점에서...
중력파 직접 탐지 성공, 한국 연구진 기여 어느정도? 아인슈타인 가설 100년만에 검증 2016-02-12 09:09:50
아인슈타인이 1916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그 존재를 예견했으나 지금까지 직접 검출되지 않았다. 미국 과학재단(NSF)이 단독 투자하는 과학프로젝트로는 규모가 가장 큰 라이고는 2000년부터 10년간 건설과 가동에 6억2천만 달러를 투입하고 세계 80여개 기관 1천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연구에도 중력파 검출에 실패했다....
중력파 직접 탐지 성공, 한국 연구진 아인슈타인 중력파 검출 기여? 2016-02-12 08:27:57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구성해 라이고 실험 자료를 분석하는 소프트웨어에 일부 기여했다. 중력파의 간접 증거가 발견된 적은 있었으나 직접 검출이 이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인슈타인은 중력의 정체를 `시간과 공간이 일체가 돼 이루는 물리적 실체인 시공간의 뒤틀림`으로 파악하는 관점에서 일반상대성이론을...
아인슈타인 '중력파' 탐지 성공, 우주 비밀 풀 '마스터키' 찾았다 2016-02-12 07:49:41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구성해 라이고 실험 자료를 분석하는 소프트웨어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전해졌다.앞서 중력파의 간접 증거가 발견된 적은 있었으나 직접 검출이 이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인슈타인은 중력의 정체를 '시간과 공간이 일체가 돼 이루는 물리적 실체인 시공간의 뒤틀림'으로...
아인슈타인 가설 ‘중력파’ 확인됐다…블랙홀·빅뱅의 비밀 풀리나 2016-02-12 01:40:50
과학사상 처음이다. 아인슈타인이 1915년에 이론으로 예측한 바를 입증한 이 발견은 우주 탄생을 이해하는데 큰 구멍을 메워 줄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학 발견 중 하나로 꼽힐 전망이다. 라이고 연구팀은 1차 관측을 시작한 작년 9월 12일부터 약 16일간 가동 기간 중에 수집한 데이터로 이를 발견했다. 이 중력파는...
DGIST, 꿈의 극고속 전자공학 시대를 열다 2016-02-04 09:44:18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물리학회에서 발행하는 물리학 분야 세계 최고의 권위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강력 천연접착제' 홍합 접착단백질 작동원리 풀었다 2016-02-04 07:01:11
포스텍 황동수 교수·아태이론물리센터 조용석 교수팀, PNAS에 논문 게재 국내 연구진이 파도 치는 바닷물 속에서 분비돼바위에 강하게 달라붙는 홍합의 접착단백질이 작동하는 원리를 처음으로 밝혀냈다. 포항공대 환경공학부 황동수 교수와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조용석 교수 연구팀은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