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베트남과 중국, 끊임없이 반복됐던 전쟁의 역사 2017-04-13 16:29:54
전쟁사에 초점을 맞춰 베트남의 역사를 소개하는 책이다. 방콕 특파원을 지내며 동남아시아 등을 취재하다 베트남 역사를 깊게 접하게 됐다는 저자는 5년 넘게 자료를 수집한 끝에 책을 펴냈다. 저자는 "베트남의 역사는 중국 통일왕조들과의 생존 투쟁이 무엇보다 가장 큰 줄기를 이룬다"면서 "승패의 결과도 극적이었지만...
日지바현, 2차대전 수용소·사망자 문서 폐기 논란 2017-04-07 11:38:51
유족대장, 울란바토르 지구 수용소, 전몰자(전쟁사망자)조사표, 전몰자명부 등 2차대전과 직접 관련돼 사료 가치가 높은 것들도 적지 않았다. 이는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서나 기록의 보존·활용법을 연구하는 '일본아카이브학회' 등이 현측에 사료 폐기 가능성이 있다며 확인을 요청하면서 알려졌다. 문서관측은...
"조선에도 가부장제 거부한 여성 있지 않았을까요" 2017-03-28 13:39:57
교수(명지대 사학과)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일본 고서점을 뒤져 찾아낸 대항해 시대 관련 서적을 참고했다. 한 교수는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평설 병자호란' 등의 책을 쓴 조선전쟁사 전문가다. 작가는 "다음에는 해방정국 여성 혁명가의 사랑과 그 불가능성에 대한 소설을 쓰고 싶다"고 말했다....
터키정부, 韓컨소시엄과 '세계최장' 현수교 계약체결 2017-03-17 04:52:09
맞는 2023년 개통할 예정이다. 이달 18일은 세계 전쟁사의 격전으로 꼽히는 갈리폴리전투(터키명, 차나칼레전쟁)에서 터키가 승리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착공식에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과 비날리 이을드름 터키 총리, 터키 정관계 실력자들이 대거 참석한다. tree@yna.co.kr (끝) <저작권자(c)...
해남 명량대첩 해전사 기념 전시관 17일 개관 2017-03-16 14:16:25
조선 수군의 전력과 전술, 지형 등 승전 요소도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당시 전쟁에서 사용했다는 총통류와 도검류,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의 하사품 등도 전시돼 있다. 또 세계해전사 7대 전쟁사, 명량대첩 승리의 숨은 주역들의 이야기도 접할 수 있다. 해남군은 개관에 맞춰 해남관광사진전시회, 페이스페인팅,...
[ 사진 송고 LIST ] 2017-03-13 10:00:01
이상학 긴장감 흐르는 청와대 03/12 18:26 서울 한상균 중국 지린성이 발간한 고구려 전쟁사 서적 03/12 18:36 서울 한상균 봄 야생화 얼레지의 아름다운 자태 03/12 18:55 서울 사진부 친박, 삼성동 사저 도착 03/12 18:55 서울 사진부 삼성동 사저 도착한 친박 03/12 19:20 서울 백승렬 청와대 떠나는 박...
[연합이매진] "우리 의지와 관계없이 외환(外患)이 왔다" 2017-03-13 08:01:00
많지 않습니다. 미국을 보면 역사책 중에서 전쟁사 분야만도 성인이 읽을 만한 대중 서적이 아주 많아요. 우리는 대중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이순신 장군만 해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연구한 평전이 아직 나오지 않았죠. 이순신 평전이 객관성을 갖고 사람들에게 그럴듯하다는 인상을 주려면 일본사, 일본 수군사, 일본 전...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문화 2017-03-12 15:00:03
발자취를 찾아서 170312-0142 문화-0007 08:02 "고구려 전쟁사가 중국사?…中, 동북공정 후에도 역사왜곡 계속" 170312-0162 문화-0008 08:31 대전시 지원 단편영화 프랑스 '칸 영화제' 초청받아 170312-0184 문화-0009 09:05 연극·뮤지컬 온라인 생중계했더니…공연장 관객도 늘었네 170312-0203 문화-0011 09:20...
"고구려 전쟁사가 중국사?…中, 동북공정 후에도 역사왜곡 계속" 2017-03-12 08:02:01
2010), '고구려전쟁사'(高句麗戰爭史, 2015) 등 5권으로, 모두 중국 지린(吉林)성에 있는 출판사들이 펴냈다. 동북공정은 중국 중앙정부 최고 학술기관인 중국사회과학원과 한반도 접경 지역인 헤이룽장(黑龍江)성, 랴오닝(遼寧)성, 지린(吉林)성 등 동북 3성(省)이 2002년 2월부터 공식 추진했다. 현재의 중국...
"전쟁에 대한 경계가 동아시아 지식 유통 촉발했다" 2017-03-07 08:00:05
"17세기 말기 이후 조선 왕조를 지배한 비(非) 무사적 집단이, 무사 집단이 국가를 방어한다는 명분을 발휘하고 있던 대청제국과 도쿠가와(德川) 일본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우리나라에서는 지금도 군사학과 전쟁사가 비주류적 학문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560쪽. 2만8천원. psh59@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