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아베 한국말 인사 "만나서 반갑습니다"··인사 받은 朴대통령 표정은? 2014-03-26 14:43:09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고 고노담화의 수정시도를 하며 한일관계는 파탄 수준으로 악화됐고 박 대통령의 아베 총리와의 만남을 피해왔다. 그런 가운데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중재로 이날 첫 대면한 자리에서 아베 총리는 `한국말 인사`라는 나름의 성의를 표시하며 관계개선의 의욕을 보인 것으로 외교가는 풀이했다....
한미일 3국 정상회담, 네티즌 반등 봤더니 … 2014-03-21 11:21:15
"고노담화를 계승 하겠다는 아베의 한마디에 한국 정부가 굴복 한다면, 앞으로 한일관계에 있어 한국의 위치는 영원한 '을' 이 되겠지요. 미일 두 나라에게 한국이 결코 쉬운 나라가 되어선 안 됩니다"(sean****)며 자주적인 외교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네티즌은 "결국 하게 되는군. 원칙이고 뭐고 미국...
`헤이그에서 만나자" 다음주 한미일 정상회담··"아베 각오해!" 2014-03-21 09:49:55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 담화의 계승 입장을 거듭 밝히는 등 `성의 표시`를 한게 우리 측 기류변화에 영향을 줬다. 또 일본 정부가 당초 오는 26일로 예정된 교과서 검정결과 발표를 4월초로 연기한 것도 우리 측 부담을 덜어준 요인으로 꼽힌다. 오바마 대통령이 중재하는 형식의 3국 정상의...
"위안부 문제 해결 선행돼야"…정부, 한·일정상회담 '선긋기' 2014-03-18 20:59:06
사과한 고노 담화를 계승하는 것만으로는 진정성 있는 조치로 볼 수 없다는 뜻을 재확인한 것이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 브리핑에서 “위안부 문제는 대단히 중대한 인권 침해 문제이고 피해자 분들이 납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기에 해결돼야 한다”며 “일본이 과거사 현안에 대해 진정성 있는 조치를...
한일 정상회담 열릴까 , "박근혜 대통령 검토 시작",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 2014-03-16 09:33:54
일본군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최근 국회 답변을 통해 '수정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을 평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박근혜 대통령은 일본 측의 정상회담 요청을 수용하는 문제를 검토하기 시작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아베 "위안부 인정 '고노 담화' 수정할 생각 없다" 2014-03-14 21:29:30
14일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수정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의 발언을 총리가 직접 재확인한 것이다. 아베 총리가 공개석상에서 고노 담화를 수정할 의사가 없음을 밝히기는 처음이다. 아베 총리는 이날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아베 총리 "고노담화 수정할 생각 없어" 입장 재확인 2014-03-14 09:44:02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역사인식을 담은 담화로 고노담화가 있다고 밝히고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회견에서 밝힌 것처럼 아베 내각은 그것의 수정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고노담화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조사 결과에 따라 1993년 8월4일 고노 당시 관방장관이 발표한 담화로,...
日 관방장관 "위안부 문제, 유엔서 설명하겠다" 2014-03-06 13:26:03
유엔인권이사회(unhrc)에서 아베 정권의 고노담화 검증 방침을 비판한 것과 관련해 일본의 입장을 설명하고 반론하겠다고 밝혔다.스가 장관은 6일 오전 정례 회견에서 윤 장관이 국제무대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직접 제기하고 강한 어조로 비판한 데 대해 "지극히 유감"이라며 "오늘 밤 유엔인권이사회에서 일본의 입...
윤병세 외교 유엔 참석…위안부 문제 직접 제기 2014-03-04 21:13:23
제25차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에 참석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직접 제기한다. 한국 외교 수장이 인권과 관련된 특정 현안을 이유로 인권이사회에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이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한 고노 담화의 수정을 요구하고 망언을 일삼는 등 역사를 부정하는 태도에 변화가 없다고 판단했기...
[전문] 박근혜 대통령 95주년 3·1절 기념사 2014-03-01 12:18:01
선린우호 관계를 증진하고,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 등을 통해 식민 지배와 침략을 반성하면서 미래로 나아가고자 했던 역사인식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한 나라의 역사인식은 그 나라가 나아갈 미래를 가리키는 나침반입니다. 과거의 잘못을 돌아보지 못하면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없고, 과오를 인정하지 못하는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