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조신 연세대 융합기술연구원장 "융합인재 위해 대학이 바뀌어야" 2013-09-11 16:47:15
sk텔레콤 부사장, sk브로드밴드 사장을 거쳐 지난 4월부터 연세대 미래융합기술연구원을 맡고 있는 조 원장은 “융합 교육이란 게 생각처럼 쉽지 않다”고 그동안의 소감을 털어놓았다. 학부 과정인 ‘글로벌융합공학부’에 입학하는 학생은 똑똑한 아이들이지만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소재소자를 골고루 다 배워야 하는...
['전력대란' LED가 답이다] LED를 '제2의 D램'으로…손발 묶인 대기업을 뛰게 하라 2013-07-31 17:08:22
소공동 롯데호텔. 중국의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1위 업체인 킹선(kingsun)이 한국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윌리엄 리 회장은 “한국에서 연간 1500만달러 매출을 올리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킹선은 국내 중소기업과 협력해 공공조달 시장에도 뛰어들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회사는 중국 실외조명 시장에서 점유율 23%를...
김흥남 ETRI 원장 "IT가 이끄는 선박 혁신…中의 추격 따돌린다" 2013-07-23 17:22:10
수입 대체는 물론 기술 자립이 가능해졌다”며 “다만 소자칩의 신뢰 확보 등 품질 측면에선 아직 할 일이 많다”고 했다. etri의 고출력 반도체 증폭기(sspa) 기술은 세계 최고로 꼽히는 미국 크리(cree)사와 성능은 동등하지만 경제적 관점에서 칩 제조공정의 수율이 50%로 크리사의 90%에 못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레이저로 초고속 나노물질 생산 < KAIST> 2013-07-17 10:41:40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판 위에 나노물질 전구체(전(前)단계 물질)를 올려놓은 뒤 녹색파장대역의 연속파형 레이저를 조명해 원하는 위치에 나노와이어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레이저 조명만으로도 나노 물질을 합성, 패터닝 할 수 있어단 한 번의 공정으로...
삼성코닝 등 中기업 상대 영업비밀 침해訴 승소(종합) 2013-06-26 14:01:43
업체가 앞으로 10년간 원고 업체들이 개발한 액정표시소자(LCD)기판유리 제조기술 일부를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전달하지 말 것과 원고 업체에 각20억원씩을 배상할 것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원고 업체들이 26년간 8천300억원을 투자해 개발한 기술 가운데 일부가 피고 업체로 누출된 정황이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그래핀 반도체' 난제 해결… 속도 100배 빨라진다 2013-05-22 09:00:00
100배나 빨라진다.kaist는 김형준 교수와 윌리엄 고다드 교수(이상 eews대학원)가 공동으로 그래핀을 이용해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스위칭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해외 권위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지난 13일자 게재됐다.그래핀은 전자이동 속도가 실리콘에...
[월요인터뷰] 취임 석달 맞는 강성모 KAIST 총장 "KAIST 10대 핵심기술로 美 실리콘밸리서 벤처 키울 것" 2013-05-19 16:53:50
수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칩에 집어넣기 위해 소자 연구에 집중하지만 각 소자를 연결하는 라인이 더 중요할 때가 많습니다. 연결선에 문제가 생기면 칩의 속도가 떨어지고 고장도 자주 일어나죠. 인간 사회에서 사람과 사람의 연결(소통)이 안 되면 일이 느려지고 실수도 많아지는 것과 똑같습니다.” ▷알면서도 잘 못하...
KAIST 이건재 교수팀, 휘어지는 고집적 반도체 구현 2013-05-07 17:20:54
발표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이용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소재 등은 이미 개발됐지만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메모리, 무선통신칩 등은 휘어지는 소자로 만들지 못해 휘어지는 스마트폰이나 입는 컴퓨터 등의 개발이 미뤄져 왔다. 연구팀은 고집적 소자를 단결정 실리콘에 형성한...
'입는 컴퓨터' 앞당기는 나노선 프린팅 기술 개발 2013-05-07 17:16:00
특성과 유연성이 뛰어나 차세대 전자소자를 만드는 데 필요한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워낙 작은 단위에서 제조가 이뤄지다 보니 넓은 면적에서 나노선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점이 문제로 꼽혔다. 연구팀은 전기장을 이용하면 고분자 용액이 고무줄이 늘어나듯 가늘고 길게 떨어지면서 순간적으로 기판...
컴퓨터와 오감소통 가능해진다 2013-03-27 16:39:18
수 있는 ‘양방향 촉각교감패드’(사진)를 개발했다고 27일 발표했다.이번에 개발한 촉각 패드는 사람이 손끝의 압력과 움직이는 속도, 방향, 체온, 혈류량 등을 이용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컴퓨터 등에서는 점자와 같은 패턴 형태와 질감, 진동 등을 통해 사람 손끝에 각종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연구팀은 손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