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분석플러스]2차전지 소재주 급등, 공장 증설로 '꽃길' 예약 2017-07-17 15:15:10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이충재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작년 세계 전기차 생산량은 약 75만대로, 이 중 45%인 33만6000대의 전기차가 중국에서 생산됐다"며 "중국 전기차 의무판매제 시행에 따른 전기차 시장 확대로 2차전지 소재인 양극재·음극재 등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정규재 칼럼] 소득 불평등: 장하성 vs 이병태 2017-07-10 18:54:50
정도로 양극화 문제를 집요하게(?) 탐구해왔고 이것이 그를 청와대로 이끌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소득 통계를 일방적으로 오독한 것이며 오류가 많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문재인 대통령과 장 실장이 ‘재난적 양극화’를 경고하자 이병태 kaist 교수가 즉각 발표한 반론도 그런 비판 논리의 하나다. 이...
[R&D가 힘이다] 포스코, "제2 기가스틸 찾아라" 매출 2% R&D에 2017-07-03 17:23:49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한 끝에 2016년 10월 세계 최초로 고용량 양극재 ‘pg(posco gradient)-ncm(nickel cobalt manganese)’을 개발하고, lg화학에 공급을 시작했다.포스코가 상용화에 성공한 그래디언트 기술은 구(球)형인 양극재의 중심부와 표면부의 니켈 함량을 각각 다르게 설계하는 것이...
하나금투 "삼성SDI 2분기부터 실적 개선세 지속" 2017-06-30 08:44:03
것"이라며 "고용량 배터리 공급 업체들의 수혜 폭이 한층 더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최근 리튬, 코발트 등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우려는 있다"면서도 "양극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니켈 가격은 하락하고 있고 망간 가격도 하락세에 진입해 리튬·코발트 가격 상승 폭을 일부 상쇄할...
"전기차 판매, 꾸준히 성장…2차전지 관심 높아져"-삼성 2017-05-08 08:10:13
최선호 종목으로 제시했다. 음극재에서 포스코켐텍과 양극재 엘앤에프, 일렉포일 업체인 일진머티리얼즈에 대한 긍정적 입장 유지했다.지난 4월 한 달간 미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1만3151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로는 25% 증가했다. 올들어 누적 판매량은 5만4387대로 전년 동기간에 비해서는 42% 늘었다.장정훈 삼성증권...
버린 유리병으로 배터리 전극 만든다?…美연구진 "재활용 가능" 2017-04-23 07:00:04
캘리포니아대(UC리버사이드) 연구진에 따르면 전지의 양극을 만들 수 있는 소재를 폐유리병에서 추출하는 화학 공정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온라인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공개됐다. 현재 분리수거한 유리병을 재활용하고는 있지만, 버리는 유리병의 수도 매년 수십억 개에...
권오준 "음극재 생산 스마트공장 구축" 2017-04-14 20:25:06
진출했다. 2011년 천연 흑연계 음극재 사업에 진출해 국내 최초로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용 음극재를 양산하는 데 성공했다. 음극재는 2차전지를 충전할 때 양극에서 나오는 리튬이온을 음극에서 받아들이는 소재로 양극재와 함께 2차전지의 핵심 소재다. 포스코켐텍의 음극재 생산량은 연간 6000t 규모다. 포스코는...
권오준 포스코 회장 "2차전지 음극재 스마트공장 구축" 2017-04-14 13:00:01
소재 분야에서 기술력과 경험을 쌓아 왔다. 2011년에는 천연 흑연계 음극재 사업에 진출해 고용량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음극재를 양산하는 데 성공했다. 음극재는 2차전지를 충전할 때 양극에서 나오는 리튬이온을 음극에서 받아들이는 소재로, 양극재와 함께 배터리의 핵심 구성요소다. 포스코켐텍은 2020년까지 3만t...
SK이노베이션 "2020년까지 500㎞ 달리는 배터리 개발" 2017-04-09 07:07:00
이용우 SK이노베이션 B&I(배터리&정보전자소재)사업 경영기획실장은 "회사가 독자적으로 보유한 양극재와 분리막 등 핵심기술의 적용과 업그레이드, 신소재를 활용한 신공법 개발로 주행거리 500㎞를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터리 에너지 밀도란 똑같은 부피 안에 얼마나 많은 전기량을 넣을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척도...
삼성 "갤노트7 배터리 불량 묵인, 사실 아니다" 2017-02-22 19:07:40
발화는 양극재, 분리막, 음극재 등을 층층이 쌓은 ‘젤리롤’ 부분이 원인이었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이어 “갤노트7은 앞서 출시한 갤s7보다도 배터리 기준을 더욱 강화했다”며 “배터리의 규격과 안전성은 지난해 5월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인증을 받았다”고 설명했다.안정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