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南 길들이고 美 협상력 극대화 '다중 포석' 2013-03-08 17:10:48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안 결의에 대해 북한이 갈수록 대응 강도를 높이고 있다. 핵 선제타격권, 전쟁 불사 발언에 이어 8일 남북간 불가침 합의 전면 폐기, 남북 직통전화를 비롯한 판문점 연락통로 단절 등을 선언했다. 군 최고사령부, 외무성, 대남업무를 책임지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등의 기구를 총동원해 전방위적...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中 "관련국, 긴장 심화 행동 말라" 독일 "EU 차원 대북 추가 제재 검토" 2013-03-08 17:06:41
독일은 유럽연합(eu) 차원에서 추가적인 대북 제재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도 베스터벨레 독일 외무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북한 정권에 압력을 가하는 데 eu가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11일 브뤼셀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수위를 넘는 새로운 대북 제재를 ...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개성공단 위축되는 일 없어야" 2013-03-08 17:05:48
입주기업들 원만한 해결 촉구 배해동 태성산업 회장을 비롯한 역대 개성공단입주기업협회 회장단은 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빌딩에서 긴급 회동을 갖고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개성공단은 지난 9년간 천안함 침몰, 연평도 피폭, 김정일 사망 등 여러 문제가 있었지만 한번도 생산을 멈춘 적이...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北 '선물정치' 끝나나 2013-03-08 17:04:14
유엔 안보리가 대북제재 결의 1718호에서 ‘사치품의 대북수출 중단’에 합의했기 때문이다. 이후 북한은 사치품 유입 통로를 중국에 집중했다. 결의안에서 ‘사치품’ 항목을 특정하지 않은 점을 근거로 중국이 특정 제품의 수출이 유엔 결의에 위배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해외 주재 외교관을 통한 밀수도...
[마감시황] 코스피 2006 `강보합`‥북한 리스크 `부각` 2013-03-08 17:03:31
대북 제재안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고요. <기자> 코스피가 북한 리스크와 엔화 약세 영향으로 조정 국면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어제보다 1.61포인트 0.08% 오른 2006.01로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미국 다우지수가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지만 우리 증시는 북한의 정전협정 백지화 선언...
북 리스크 `학습효과` 증시영향 `제한적` 2013-03-08 17:02:45
북한 핵실험으로 국제연합(UN) 안보리에서 대북 제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는 등 대북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반면 일본과 홍콩 등 아시아 주요 증시는 미국발 호재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투자자와 국내 투자자들이 북한 리스크에 대한 학습효과를 가지고 있는 ...
[사설] 북한, '레짐 체인지'말고는 방법이 없다 2013-03-08 17:00:59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 2094호 채택에 반발하는 의도적인 행동이다. 미국을 협상테이블로 끌어들이려는 목적도 있다. 그러나 결코 용납할 수 없다. 지금 북한 정권의 상황은 최악이다. 중국조차 이번 안보리 결의안에 찬성했다. 북한을 포기하고 한반도 통일을 추진해야 한다는 소리가 중국 고위층에서도 흘러나온다....
[시진핑 10년, 기로에 선 한국] "한국에 美전술핵 재배치…中 압박해야 북핵 막는다" 2013-03-08 16:56:17
없다는 건가.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한국만 대북 원조를 했던 게 아니다. 미국도 역사적으로 북한에 많은 지원을 했다. 그러나 북한이 변한 건 없다.△함 원장=햇볕정책은 좋은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원조를 하는 것만으로는 북한의 옷(핵)을 벗길 수 없다는 걸 분명히 배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그럼, 박근혜 정부는 ...
[시진핑 10년, 기로에 선 한국] "시진핑 정부가 한국에 바라는 1순위는 韓·中 FTA 조기타결" 2013-03-08 16:55:12
안보리의 대북제재에 동의했지만 북한의 안정을 위해 식량·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대북정책을 바꾸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한국경제신문과 아산정책연구원이 8일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42%가 “시진핑 정부가 박근혜 정부에 가장 우선적으로 원하는 것은 fta를 통한 경제협력”이라고 답했다....
개성공단 "남북 긴장 고조 불구 성장 유지돼야" 2013-03-08 16:39:06
UN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가 미칠 영향에 국내 산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당장 피해가 예상되는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은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대책 마련에 착수했습니다. 한창율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이 UN 안보리 대북제재결의 파장을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당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