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홍진태 충북대교수 싸이토카인 암 억제 기능 규명…세계 최초 2017-03-06 10:11:56
도입 세포를 이용해 암과 염증성질환, 혈관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특히 뇌졸중, 심장마비, 동맥경화 등 뇌심혈관질환 발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혈관내피세포 염증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의과학 연구센터사업'...
[그래픽] 유전자 짜깁기로 시력 잃게 하는 '노인 망막질환' 치료한다 2017-02-21 19:00:05
=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 김진수(서울대 화학부 겸임교수) 단장과 서울대병원 안과 김정훈 교수 연구팀은 21일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눈에 직접 주입해 노인성 황반변성을 일으키는 혈관내피성장인자(VEGFA) 유전자를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yoon2@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유전자 짜깁기로 시력 잃게 하는 '노인 망막질환' 치료한다 2017-02-21 13:36:32
안구 내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가 병적으로 증가, 혈관이 없어야 할 황반에서 신생혈관이 자라면서 실명을 초래한다. 눈 안으로 혈관내피성장인자를 중화시키는 약제를 주사하는 기존 치료법은 치료제 약효가 짧아 반복적인 투약이 불가피하며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 연구진은 유전자가위 수술법은...
서울성모병원, 3D 프린팅 심근경색 줄기세포 치료 기술 개발 2017-02-09 11:28:23
환자의 심기능 회복을 위한 혈관화된 심근패치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이번 기술은 심장에서 유래한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를 이용해 심장줄기세포와 중간엽 줄기세포를 3D 세포프린팅으로 이중 배열하고 내부에 혈관내피성장인자를 봉입하여 세포간 상호작용을 극대화시킨 융합 플랫폼입니다.박훈준...
암 키우는 혈관을 정상으로 만들어 항암 치료 2016-12-12 15:32:00
최근 10년 사이 임상시험 결과를 보면, 암 혈관을 억제할 경우 종양의성장은 멈추지만, 환자의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고 효과가 일부 고형암(혈액암을 제외한 덩어리로 이뤄진 모든 암. 유방암·갑상선암 등이 대표적임)에만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 혈관은 정상 혈관과 달리 혈관 주위를 둘러싼 지지세포가...
나노의약품이 암세포 뚫고 항암제 제대로 전달할까 2016-11-16 13:38:54
혈관 내피세포와 암세포를 자라게 한 뒤 전류를흘려 넣어 세포가 갖는 정전용량을 측정했다. 이어 기판 안에 나노물질을 넣고 정전용량을 다시 측정, 시간대별로 정전용량이바뀌는 것을 확인했다. 실험 결과,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 정전용량 기울기가 0.6인 세포에 나노입자를처리해주면 24시간 후에는 0.5까지...
같은 질환이라도 병원 규모·위치 따라 진료비 달라요 2016-08-27 06:16:51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를 맞습니다. 이 주사는 의사가 안구(유리체)에 직접 주사하는 약입니다. 대학병원에서 주사를 맞을 때와 의원에서 치료를 받을 때 병원비가 차이 날 수 있습니다.65세 이상 노인이 의원에서 치료받으면 진료비 부담은 훨씬 줄어듭니다. 진료비가 1만5000원 이하일 때 65세 이상 노인이 부담하는...
"국내 시판 당뇨병치료제, 망막병증 악화 가능성" 2016-07-23 07:00:13
많이 처방하는 약이다.김 교수팀은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한 면역형광염색에서 dpp4 억제제가 세포 사이의 연결 부위를 느슨하게 해 혈관내피세포의 투과성을 높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쥐를 이용한 망막혈관실험에서 dpp4 억제제를 투약받은 쥐는 가짜 약을 투약받은 쥐에 비해 망막 혈관 누수 및 누혈 현상이 3배 증가했고...
IBS, 패혈증 악화 핵심요인 규명…치료용 실험항체 개발 2016-04-20 15:21:57
한다는 사실에 주목, 혈관내피세포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TIE2 수용체와 ANG2 단백질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규명했다. TIE2 수용체는 미세 혈관을 안정시키고 보호하지만 ANG2 단백질은 TIE2 수용체에 결합, 혈관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혈액누출을 일으킨다고 알려졌다. 연구진이 ANG2와 결합하는 실험적...
폐섬유화증, 훈증기치료로 굳은 폐조직의 탄력성 회복이 중요 2016-03-03 08:00:00
폐 간질조직은 폐포벽, 폐포상피세포, 내피세포, 결체조직, 모세혈관 등의 호흡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섬유화가 되어 기능저하가 일어날 경우 산소공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호흡이 힘들어진다. 이러한 증상은 몸이 건조하거나 열이 많은 환자에게서 더욱 빠르게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때의 열은 추위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