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젠 WTI가 벤치마크"…올해 美 원유생산 또 새역사 쓴다 2024-01-21 23:56:39
230만배럴에서 120만배럴로 줄어들 거란 전망이다. 공급량 결정권을 쥐고 국제유가의 흐름을 좌우해 오던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위상이 한층 더 약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OPEC플러스(OPEC과 러시아 등 OPEC 외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의 감산 조치는 국제유가를 부양하는 데 실패했다. WTI와 브렌트유는 작년...
"평택항 車 하루 2400대 선적, 연말까지 야근" 2024-01-01 18:09:37
수출이 플러스로 돌아선 건 지난해 4분기 들어 감산 효과와 수요 회복에 힘입어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상승세를 탄 덕분이다. 산업부는 “메모리 가격이 지난해 4분기부터 상승해 12월엔 반도체 수출이 지난해 월간 기준으로 최대를 기록했다”며 “모바일 제품의 메모리 장착량 증가, 인공지능(AI) 서...
불법 공매도 '역대 최대' 과징금, 그다음은 형사처벌? [신인규의 이슈레이더] 2023-12-26 08:23:11
감산을 할 수 없다며 산유국 연합을 탈퇴했습니다. 아직까진 '찻잔 속의 태풍'과 같은 이러한 사건들이, 불확실성이라는 측면에서 유가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지켜볼 만합니다. ▲또다시 늘어난 빚투…또 정치테마주 빚 내서라도 증시에 투자하자, 이런 현상이 다시 힘을 받고 있습니다. 신용융자잔액은 지난달...
러 "12월 석유 감산량 늘릴 것…곡물협정 재개 관심없어" 2023-12-17 23:29:21
감산량 늘릴 것…곡물협정 재개 관심없어"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알렉산드르 노박 러시아 부총리는 17일(현지시간) 이달 석유 감산량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인테르팍스 통신이 보도했다. 노박 부총리는 이날 기자들에게 "12월 석유 수출 감축량을 늘릴 것"이라며 "추가 감산량은 (현재 감산량에 따른)...
12월 12일 원자재 및 ETF 시황 [글로벌 시황&이슈] 2023-12-12 08:17:23
거래되고 있습니다. OPEC+ 산유국들의 감산 우려에도 불구하고 비 OPEC 국가들의 원유 생산량 증가에 기인해, 원유 시장은 공급과잉 측면에 더 포커스를 맞추는 모습이었습니다. 미국 천연가스 선물은 6% 가깝게 떨어지고 있는데요, 미국 전역의 온화한 날씨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요 곡물 선물들은...
12월 8일 원자재 및 ETF 시황 [글로벌 시황&이슈] 2023-12-08 08:13:42
시장은 실질적인 감산량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죠? 유가는 OPEC+ 정례회의 이후 꾸준히 하방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또, 무디스의 중국 신용등급 하향조정 소식이 전해지며, 중국의 원유 수요 약화가 점쳐졌고요, 해당 소식까지 더해지자 유가는 어제 5개월래 최저치를 찍은 이후, 오늘도 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사우디, 저유가에도 내년도 예산 올해 수준 유지 2023-12-07 17:50:26
적자 재정을 운영했다는 사실은 사우디가 국내 지출에 쓸 재원을 위해 고유가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해설했다. 그러면서 "이는 세계 경제가 침체하고 원유 공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사우디가 원유 감산량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더 감산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전망했다. hskang@yna.co.kr...
12월 6일 원자재 및 ETF 시황 [글로벌 시황&이슈] 2023-12-06 08:21:53
감산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보도했고요,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필요하다면 내년 1분기 이후에도 감산 기조를 ‘절대적으로’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유가 하락에 베팅하는 이들이 더 많습니다. 미국 외환 및 자산중개업체 오안다는 OPEC+ 정례회의의 감산은...
유가 부양 다급한 사우디…"내년 1분기 후에도 감산 가능" 2023-12-05 18:29:17
감산을 ‘절대적으로’ 지속할 수 있다”며 원유 감산 발표를 이행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OPEC+는 지난달 30일 회원국이 내년 1분기까지 하루 총 220만 배럴을 감산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시장은 추가 감산량이 90만 배럴 수준인 데다 공식 합의가 아닌 만큼 실제 감산 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봤다. 30일부터 국제...
12월 5일 원자재 및 ETF 시황 [글로벌 시황&이슈] 2023-12-05 08:22:52
정례회의가 열렸지만, 산유국들의 실질적인 감산량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데다, 감산 기조도 ‘자발적 참여’에 기인해 강제성이 없다는 평가 속에 유가는 오르기는커녕 연일 큰 폭으로 내려가고 있습니다. 다만, 유가에 가해지는 상방압력도 없지는 않은데요, 미국의 주간 원유 시추공 수가 전년 동기 대비 122개 감소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