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全유라시아 연결된 개방성·험난한 장정 이겨낸 탐험정신이 '민족 DNA' 2019-10-11 17:24:59
중국인들은 동이전 등에서 ‘고구려인은 성질이 흉포하고 급하며 노략질하기 좋아한다, 심지어 말투가 천하다’라고 전했다. 일본인들은 우리의 의식을 교란시키고 길들이기 위해 한민족의 본성을 작위적으로 규정하고 세뇌시켰다. 식민사관에 따르면 우리는 늘 사대적이었고, 당파성이 강했고, 주변부적인...
'선녀들', 수업료 0원으로 배우는 경주 역사 (feat. 설민석) 2019-09-16 08:50:00
옛 고구려인, 심지어 말갈족에게까지 똑같은 기회를 준 신문왕의 이야기는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많은 생각거리를 안겼다. 마지막으로 ‘선녀들’은 신라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보물을 직접 보고 만지기까지 했다. 분황사에서 출토된 ‘치미’에는 1300년 전 선덕여왕의 향기를 맡을 수 있었다. 자신을...
완도군 5월 해양치유식품 '미역' 선정…"미세먼지 배출 탁월" 2019-05-01 10:41:47
고구려인들이 산모에게 미역국을 먹였다고 전해진다. 정약전(1758∼1816)의 '자산어보(玆山魚譜)'에서는 '임산부의 여러 가지 병을 고치는 데 이보다 나은 것이 없다'고 미역의 효능을 설명했다. 허준(1539∼1615)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도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을 없애고 기(氣)가 뭉친...
1천400년전 고구려 사신 묘사한 아프라시아브 벽화(종합) 2019-04-20 23:07:14
것이 아니라 고구려인에 대한 이미지 혹은 도상을 그렸다고 생각된다"고 주장했다. 소그드인이 벽화에 고구려인을 그린 과정과 이유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벽화가 1천400년 전 고대 한반도와 중앙아시아 교류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임은 틀림없다. 이에 동북아역사재단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벽화를 디지털로...
1천400년전 고구려 사신 묘사한 아프라시아브 벽화 2019-04-20 22:16:47
것이 아니라 고구려인에 대한 이미지 혹은 도상을 그렸다고 생각된다"고 주장했다. 소그드인이 벽화에 고구려인을 그린 과정과 이유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벽화가 1천400년 전 고대 한반도와 중앙아시아 교류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임은 틀림없다. 이에 동북아역사재단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벽화를 디지털로...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문화 2019-04-16 08:00:06
"메시지는 지금도 유효" 190415-0903 문화-006617:48 우즈베키스탄 고대 궁전벽화에 나온 고구려인 정체는 190415-0907 문화-006717:50 단편영화 네 편에 나눠담은 4인4색 아이유…넷플릭스 '페르소나' 190415-0924 문화-006818:06 [그래픽] '집에서 10분' 체육관·도서관…정부, 생활SOC 30조원 투자...
우즈베키스탄 고대 궁전벽화에 나온 고구려인 정체는 2019-04-15 17:48:07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다"며 강국이 고구려인을 직접 만난 것이 아니라 동쪽에 멀리 떨어진 나라를 관념적이고 상징적으로 표현했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성제 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장도 "고구려 사절은 사마르칸트에 온 것이 아니라 고구려인에 대한 이미지 혹은 도상으로 보인다"면서도 도상 출처는 당이 아니라 돌궐...
조선시대 양반은 하루 몇 끼 먹었을까…최고 별미는 두부 2019-02-11 16:06:52
재배하기 시작했다. 삼국지 위지동이전에 고구려인이 장을 잘 담근다는 기록이 나온다. 중국에서 처음 두부(豆腐)를 만들었고 고려 말 원나라에서 두부 제조법이 들어왔다. 그 뒤 우리 선현들 두부 사랑은 아주 특별했다. 고려 말 목은 이색은 두부를 소재로 많은 시를 지었고, 조선 시대 선비 또한 두부와 관련한 많은...
일본 오쓰에서 만나는 한반도와 일본의 옛 인연 2019-01-22 10:30:54
백제와 고구려인들이 오쓰 일대로 넘어가 우리 문화를 전래했다. 또한 오쓰는 8세기 후반 헤이안 수도 헤이안쿄(平安京·지금의 교토)의 항구로 기능했기에 한반도를 비롯해 많은 외국 유물이 전해졌다. 오쓰를 중심으로 한일 양국의 역사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강연이 24일 오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전호태 교수 고구려발해학회 학술상 2019-01-14 18:04:18
역사문화학과 교수(사진)를 14일 선정했다.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자인 전 교수는 2017년 학회 학술지 ‘고구려발해연구’ 제59집에 게재한 논문 ‘고구려인의 미의식과 고분벽화’로 상을 받았다. 이 학술상은 고구려·발해를 비롯한 북방사 연구를 진흥하고 ‘고구려발해연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