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해리스, 펜실베이니아 위기?…천연가스시추 관련발언이 발목잡나 2024-08-14 05:06:49
천연가스 생산지 중 한 곳인 펜실베이니아에서는 프래킹을 지지하는 유권자가 많기 때문이다. 수압 파쇄법은 암반에 액체를 고압으로 주입해 균열을 일으켜 가스를 분리해 내는 방식인데 이 과정에서 대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해 환경단체들이 반대한다. 이번 대선에서 해리스 선거캠프는...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HD현대미포, 국내 첫 건조 2024-08-09 17:22:46
배를 유지하는 저온·고압 저장 탱크인 ‘바이로브형 이산화탄소 저장탱크’ 3기가 장착된다. HD현대미포는 지난 4월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등과 함께 ‘선박 탄소중립 R&D 실증설비’를 준공해 저장 기술을 고도화했다. 이를 통해 개발한 바이로브형 탱크를 활용하면 LCO2뿐 아니라 액화석유가스(LPG), 암모니아...
HD현대미포, 국내 첫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건조 2024-08-09 15:45:41
또 영하 55도와 대기압의 5배에 달하는 저온·고압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바이로브(Bi-lobe)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 3기가 탑재됐다. 선박은 탱크 탑재로 액화이산화탄소, 액화석유가스(LPG), 암모니아(NH₃) 등 다양한 액화가스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 HD현대미포는 선박에 2,500㎾급 육상 전원공급장치(AMP,...
LG전자, IFA서 친환경 냉매 고효율 히트펌프 신제품 선보여 2024-08-08 10:00:02
합성 냉매보다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도 효과적이다. 공기열원 히트펌프 냉난방 시스템은 최근 유럽 국가들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과 에너지 공급의 불확실성 속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냉난방 시스템에서 액체 냉매는 실외기에 설치된 열교환기(증발기)를 통해 외부 공기 열을 흡수해 기체가 된다. ...
"대형 폭발사고 막아라"…울산, 방폭안전계획 세운다 2024-07-31 18:37:25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고압가스 또는 인화성 물질은 정전기나 작은 스파크에도 대형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방폭은 대형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울산시는 방폭안전계획에 방폭 관련 사고 사례와 방폭 안전 관련 주요 정책을 비롯해 지역 유해·위험물질 사업장 및 취급시설 현황, 방폭...
"국민연금 운용본부라도 공운법서 떼내자" 2024-07-30 17:53:40
한국가스공사는 전국 155곳의 정압관리소(고압 천연가스를 수요자에게 맞는 압력으로 낮추는 관리소)를 623명의 관리인력이 운영한다. 다른 나라들은 이미 정압관리소를 무인화한 것과 대비된다. 국내 발전 공기업이 운영하는 화력발전소의 인력도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통상 200~300명 정도로 민간 기업의 발전소보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송전망 구축 3.7조원 예타 면제 2024-07-29 10:08:39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송전망 구축 3.7조원 예타 면제 고압 송전선로 14개 노선 총연장 1천153㎞, 2036년까지 구축 클러스터 성공 관건…입지선정·환경평가 거쳐 2031년 착공 목표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민간 기업이 600조원대의 천문학적 자금을 투입해 경기 용인을 중심으로 조성할...
가스통의 추억…LPG도 미국산 물량 '지붕 뚫고 하이킥' [원자재 이슈탐구] 2024-07-29 03:42:26
액화천연가스(LNG)의 경우 영하 162도의 저온·고압 대규모 인프라가 필요한 탓에 미국이 아직 카타르와 호주를 못 따라가고 있지만, 프로판(프로페인)과 부탄(뷰테인) 등 석유가스는 상온에서 대기압의 6배 정도 압력만으로 액체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한국에선 도시가스 인프라가 갖춰지기...
한국가스공사, 제주 1MW PEM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성공 2024-07-26 10:01:28
있는 가스공사는 지난 ‘20년, 제주에너지공사가 주관하는 ‘그린수소 생산 및 저장시스템 기술개발사업’ 컨소시엄에 참여했다. 2022년 당시 국내에는 40기압의 고압을 활용하는 PEM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고분자 전해질 막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생산효율이 높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 차세대...
한전, 전기 팔수록 손해…"요금 인상은 불가피" 2024-07-22 17:35:50
지속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액화천연가스(LNG) 등 원재료 가격이 크게 올랐지만, 전기요금엔 이런 원가 상승분을 모두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이런 원재료 부담 등을 고려해 대기업에서 주로 쓰는 산업용(고압용) 요금만 16.6원(17.3%) 올렸지만, 산업용 전기요금은 여전히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