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개미 번데기 '우유'같은 분비물로 발달단계 다른 세대 통합 2022-12-01 11:39:59
대학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 부교수 대니얼 크로나우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개미 번데기가 분비하는 액체를 처음으로 확인하고 집단 내 역할을 분석한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개미 집단에서 애벌레와 번데기, 성체 등 발달 단계가 다른 개미를 격리한 뒤 집단에...
겨울 코앞인데 웽웽…'철없는 모기' 주의보 2022-11-04 18:21:21
곤충연구소 박사는 “비교적 포근한 날씨 탓에 모기의 활동량이 줄지 않았다”며 “월동을 앞두고 번식을 위해 사람에게 달려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모기 퇴치용품 판매량이 전년 대비 급증했다. 지난달 24일부터 1주일간 모기 관련 용품 매출을 분석한 결과 11번가의 모기장 매출은 전년보다 36%...
겨울이 코앞인데도 '웽웽'…철 없는 모기 주의보 2022-11-04 15:30:14
곤충연구소 박사는 “비교적 포근한 날씨 탓에 모기의 활동량이 줄지 않았다”며 “월동을 앞두고 번식을 위해 사람에게 달려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쇼핑몰에는 모기 퇴치용품 판매량이 전년 대비 급증했다. 지난달 24일부터 일주일간 모기 관련 용품 매출을 분석한 결과 11번가에선 모기장 매출이 전년보다 36%...
아타카마 '꽃피는 사막'은 "인간 눈에 안 보이는 진화 실험장" 2022-10-21 15:34:14
꽃피는 사막을 더욱 아름답게 만든다. 칠레 농업연구소(INIA)의 하이메 마르티네스-하름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C. 롱기스카파가 같은 종 내에서 꽃의 색과 패턴에서 고도의 다양성을 갖게 된 점을 화분매개 곤충의 눈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지 '생태 및 진화 프런티어스'(Frontiers in...
삼성디스플레이, 멸종 위기종 '물장군' 살리기 나섰다 2022-09-14 08:51:42
곤충인 물장군은 자기 몸집보다 큰 개구리, 물고기, 올챙이 같은 동물을 먹잇감으로 삼는 물속 최상위 포식자로 알려져 있다. 생태 교란종인 황소개구리까지 잡아먹어 습지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도시화와 수질 오염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개체 수가 급감하며 멸종위기야생생물...
몸길이 6㎝에 태양전지까지 단 '사이보그 바퀴벌레' 2022-09-06 10:56:12
'사이보그 곤충' 실용화의 길을 열어줄 것으로 제시됐다.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에 따르면 '개척연구본부'(CPR) 선임연구원 후쿠다 겐지로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마다가스카르 바퀴벌레 몸에 태양전지 필름과 무선 조정장치를 달아 원격 통제하는 시스템을 개발한 결과를 과학 저널 'npj...
【인사】경북도 5급이하 2022-07-27 17:05:11
동부지소 김효진(행정8급) ▷축산기술연구소 서정민(행정8급) ▷축산기술연구소 김예솔(행정8급) ▷산림환경연구원 북부지원 김채림(행정8급) ▷북부건설사업소 변주영(행정8급) ▷북부건설사업소 송우섭(행정8급) ▷농업기술원 엄희찬(전산8급) ▷농업기술원 류동석(공업8급) ▷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 임윤식(공업8급)...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가평천 상류에 버들치 치어 5000마리 방류 2022-07-19 12:52:23
방류한 버들치 치어는 연구소가 지난 5월부터 종(種) 복원 시험연구를 통해 인공 부화시킨 개체들로 약 2개월의 육성 기간을 거쳐 평균 크기 4cm 정도까지 성장했다. 지난 8일에는 전염병 검사도 마쳤다. 버들치는 주로 깨끗한 산간 계곡의 찬물이나 강 상류에 서식해 생태계 보호 측면에서 보존 가치가 높은 어종이다....
'공격이 최선의 방어'…벌레 먹는 식충식물 출발은 해충 방어 2022-07-12 04:01:01
어쩌다 곤충을 잡아먹게 된 것일까? 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 과학자들이 드디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내놓았다. 솔크연구소에 따르면 '솔크분자세포실험실' 책임자인 조앤 코리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식물이 벌레를 잡아먹는 행위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에서 출발했다는 증거를 찾아냈다고...
곰이면서 대나무만 먹는 대왕판다 식성 600만년 전에도 존재 2022-07-01 10:58:29
논문 공동 저자인 애리조나주립대학 인류기원연구소의 데니스 수 부교수는 "500만∼600만 년이면 판다가 더 긴 가짜 엄지를 갖는데 충분한 시간이지만, 이동할 때 몸무게를 받쳐줘야 하는 진화적 압력이 가짜 엄지를 (걷는데) 방해되지 않으면서 (대나무를 잡을 때) 유용할 수 있게 짧고 강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