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모바일한경] 대학가의 ‘길고양이 보호’ 동아리 등 2019-05-22 18:00:24
모바일 한경은 pc·폰·태블릿에서 만나는 프리미엄 디지털 서비스입니다.구독 mobile.hankyung.com 문의 02) 360-4000 ▶대학가의 ‘길고양이 보호’ 동아리▶사회문제 대안 제시하는 소셜벤처 키운다▶배민라이더스 타겟영업팀의 노하우▶대학생들에게 공강 시간이란?
“운동? 복습? 난 공강에 OO한다” 공강에 대처하는 대학생의 자세 2019-05-17 10:31:00
것보다 매일 수업 중간에 있는 공강을 활용해 미리 공부를 하고 있다. 수업 끝나고 바로바로 복습을 해두면 주말에 몰아서 하는 것보다 공부시간도 훨씬 절약되고, 이해도 잘 된다. 김영현 : 도서관을 갈 때도 있고, 운동을 할 때도 있다. 중·고등학교 때부터 농구를 즐겨해 지금도 취미로 하고 있다. 송수민...
[인터뷰] 김형석 “‘연플리’ 이현승 아닌 내 진짜 이름 기억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 2019-04-03 16:12:00
있어요. 월요일이 공강이라 오늘 같은 촬영은 보통 월요일에 하고 있고 나머지 요일은 수업 열심히 나가고요. 조만간 웹드라마 ‘연애 플레이 리스트 시즌4’ 촬영에 들어갈 예정이라 준비 중이에요. 학교는 후배들과 잘 다니고 있습니다(웃음)” q. 아무래도 ‘연플리’가 대학생들의 이야기를 다뤘잖아요. 학교에서...
"카페 자리도 잡기 힘들어요" 공강에 갈 곳 잃은 대학생들 2019-03-25 17:26:00
공강’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는 대학생들의 공통 고민이다. 대부분의 학생은 간단히 요기를 하고 밀린 과제를 하거나 다음 수업을 위해 휴식을 취한다. 이때 휴게 공간이 부족해서 일부러 커피숍을 찾거나, 빈 강의실을 찾아 헤메는 대학생도 적지 않다. 서경대학교의 경우 휴게 공간의 종류가 카페와 과실,...
'긱사', '우공'… 꼭 알아야 할 대학생 신조어에 담은 대학 생활 꿀팁 2019-03-20 20:40:00
‘탕진’하게 된다. 그러므로 적절한 공강을 만드는 게 좋다. 보통 한 시간에서 한 시간 반 정도를 가장 이상적인 공강이라고 본다.” 긱사 ‘긱사’란 기숙사의 줄임말이다. 단순히 기숙사를 빠르게 발음하여 만들어진 용어다. 집과 학교 간의 거리가 매우 멀다면 기숙사에서 들어가는 것을 고민하게 될텐데, 신청 과정이...
[대학생활가이드] 어서와 대학생활은 처음이지? 2019-03-18 16:19:00
있다. 공강 시간에 서로 밥도 먹고 카페도 가면서 자주 만날 수 있다. 두 번째, 서로 시험 기간이 같다. 서로 시험 기간이 같아서 서로 공부에 몰두해야 할 시간이 같고 공부도 함께하며 의지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학교 도서관에서 같이 공부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세 번째 서로 공감이 잘 된다. 같은 학교에서...
알바 하는 대학생 매년 '증가'···그 이유는? 1위 '용돈 벌기 위해서' 2018-12-26 13:29:00
‘집과 가까운 곳’(26.0%), ‘급여가 높은 일’(19.7%), ‘공강 시간대 근무 가능한 알바’(17.6%), ‘업무 강도가 세지 않은 알바’(13.2%), ‘낮 시간대 근무 가능 알바’(10.6%) 순이었다. kelly7795@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대학생의 연애①] 대학생들이 연애를 시작하는 방법 4가지 2018-12-17 16:29:00
함께 수업을 듣고, 공강 시간이 겹치면 그 시간은 둘만의 데이트가 된다. 서로를 만나기 위해 먼 길을 떠날 필요도 없다. 하지만 헤어지는 순간 CC의 장점들은 단점으로 돌변한다. 헤어진 연인과 어쩔 수 없이 마주쳐야 하는 현실은 가혹하지만 피해 갈 수 없는 CC의 필수 코스이기도 하다. 게다가 주변 지인들의 안타까운...
[1618]박근영 도화기계공고 교사, “학점제로 한국판 빌게이츠나 알파고 제작자 탄생 기대” 2018-12-13 11:05:00
공강 시간이 생기지 않아 생활 지도에 어려운 점 해결 ▲교원의 상담능력 향상과 학교의 실질적 역할 정립 등의 시사점 도출했다. 역량평가 인정 기준 마련 등 추후 과제 수행 필요 박 교사는 추후 과제에 대해 “역량 평가에 대한 인정기준이 마련돼야 한다”며 “기준을 예를 들자면 전문교과의 경우 기능사 자격증 취득...
‘공방부터 박물관까지, 문화 복합소’···파주 헤이리 마을을 가다 2018-10-19 14:03:00
상점 등 볼 것도 많고, 체험할 수 있는 공방의 종류도 다양하다. 공강이나 주말에 과제와 팀플의 무게감은 잠시 벗어던지고 파주 헤이리 마을에서 힐링도 하고, 이색적인 경험을 해보는 건 어떨까? jinho2323@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