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SK㈜, 덴마크 댄포스와 '지속가능 미래' 협력 2023-10-29 18:04:16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 태양광 및 태양광 투과율을 조절하는 스마트글라스, 전기차용 급속 충전기 등 시너지가 뚜렷한 영역을 중심으로 공동 태스크포스(TF)를 꾸릴 예정이다. 장동현 SK㈜ 부회장은 “친환경 사업에서 성장 기회를 창출하고 ESG 성과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형규 기자...
한국전기연구원 창립 47주년, 김남균 원장 ‘큰기술’ 개발 강조 2023-10-26 14:49:40
국산화’ ▲전기차 전비 10% 이상 높이는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기술’ 개발 등을 언급했다. 김 원장은 “올해 이차전지, 3D프린팅, 항공모빌리티, 공작기계 등 분야에서의 연구 성과가 두드러졌고, 시험인증 부문에서도 초고압직류송전(HVDC) 시험 인프라 구축, 시험성적서 통용 국가 확대 등 좋은 결과가...
포스코 최정우 회장 "탄소중립 달성, 기술·정책 양 날개로" 2023-10-17 10:57:18
주성분인 규소(SiO2)를 활용해 만든 비료로, 벼를 재배하는 논에서 메탄 생성균의 활동을 저하시켜 메탄가스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최 회장은 세계철강협회 정기회의에 앞서 지난 15일 상하이 보무엑스포센터에서 열린 중국강철협회(CISA)와 중국 보무그룹 합동 콘퍼런스에 세계철강협회장 자격으로...
부산, 수도권기업 1100억 투자유치 성공 2023-10-12 18:19:27
체결했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보유한 펌프킨,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 기업 아이큐랩, 시험·인증 기업 디티앤씨 등 세 곳이다. 투자유치 총액은 1102억원에 달한다. 이를 통해 200개 넘는 새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부산시는 기대했다. 펌프킨은 전국 전기버스 충전기 시장점유율이 70%에 달하는 국내 1위 기업이다....
일본덴소·미쓰비시 전기, 코히어런트 실리콘 카바이드 사업부 10억달러 투자 2023-10-10 23:56:02
카바이드 사업에 대한 전략적 검토를 검토했던 코히어런트의 재정적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협약은 기존 실리콘으로 만든 칩보다 전기차 범위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되는 탄화규소 웨이퍼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향후 10년간 1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회사의 계획과 맥을 같이 한다. 탄화규소로 만든 칩은...
김회재 의원 "반도체·이차전지 핵심재료 中의존도 절대적" 2023-10-10 09:40:46
크세논(69.9%), 플루오르화수소(65.7%), 이산화규소(61.6%)도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했다. 이차전지 제조용 인조흑연(93.3%), 산화리튬·수산화리튬(82.3%), 니켈코발트망간 산화물의 리튬염(96.7%), 니켈코발트망간수산화물(96.6%) 등의 중국 의존도도 절대적이다. 니켈코발트알루미늄산화물과 코발트산 리튬은 전량...
전기硏 'SiC 전력반도체 이온주입 기술' 헝가리에 이전 2023-09-25 15:53:10
탄화규소(SiC)가 높은 내구성과 전력 효율로 가장 주목받고 있다. SiC 전력반도체를 전기차에 넣으면 배터리 전력 소모가 적어지고 차체 무게와 부피가 줄어 에너지 효율이 높아진다. 전력반도체의 단점은 제조 공정이 까다롭다는 것이다. 통상 웨이퍼에 에피층(단일 결정 반도체 박막층)을 만들고 여기에 전류를 흘려보내...
인피니온 "車 반도체 10년 동안 성장 가속화" 2023-09-24 17:57:27
규소(SiC)·질화갈륨(GaN) 반도체 공장을 짓기로 했다. SiC 반도체는 산업용 전원 공급장치 등에 적합하다. 섀퍼 대표는 “탄화규소·질화갈륨 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에 비해 전력 소모량이 70~90%가량 적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삼성전자 등이 패권을 쥐고 있는 차량용 메모리 반도체 시장 개척에도 공을 들이고...
한국전기硏, 김해에 대규모 투자…'전력반도체 초강국' 이끈다 2023-09-21 16:02:41
내구성이 뛰어나며, 대표적으로 실리콘카바이드(탄화규소, SiC) 전력반도체가 있다. 2030년까지 연평균 7%의 성장이 전망되는 화합물 전력반도체 분야 시장 선점을 위해 글로벌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다. 우리나라는 KERI가 세계 3번째로 SiC 전력반도체의 국산화에 성공했지만, 고도화 기술 및 특허를 선점하고 있는 유럽과...
갈륨 98% 틀어쥔 中, 수출 조이자…세계 반도체社 비상 걸렸다 2023-09-19 18:19:24
GaN과 쌍벽을 이루는 SiC 웨이퍼의 소재인 탄화규소 역시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50%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석학교수는 “GaN 전력반도체는 저전력·고주파가 특징으로 인공지능(AI) 서버와 전기차 등에 많이 들어간다”며 “‘GaN 웨이퍼’ 원료를 중국이 통제하기 시작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