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서막오른 관세전쟁…다시 1470원 찍은 원·달러 환율 2025-02-03 17:44:03
2기의 관세부과는 예견된 일이었으나 향후 금융시장은 이에 민감하게 반영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유정 하나은행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 이후 그간 금융시장이 관세 부과 등 가능성에 사전적으로 반영해왔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민감하에 반응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주...
'관세 전쟁'에도 빨간불…증시 피난처는 [박해린의 마켓톡톡] 2025-02-03 17:36:43
기의 '관세 폭탄'에 1월 2,600선에 육박했던 코스피는 열달 만에 2천선을 내어줬습니다. 변동성이 커지는 현 시기, 시장을 이겨낼 수 있는 방안은 없을까요. 증권가에선 단기적으로는 조선, 기계 등 경기민감주와 에너지, 디스플레이 업종이 유리하며, 환율과 금리 변화에 따라 바이오, 내수 소비재, 보험 등의...
산업부, '트럼프 관세' 점검 TF 회의…"민관 시나리오별 대비" 2025-02-03 15:00:01
2기의 보호무역주의 조치가 1기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으로 혼란을 겪고 있다. 산업부는 대미 통상 대응의 컨트롤타워로서 미국의 관세 정책 등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고 초기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우선 미국 관세 조치의 직간접적인 영향에 놓인 관련...
우주 교통사고 막는 앙상블 AI, 플라즈마와 만났다 [이해성의 퀀텀 솔러스] 2025-02-03 10:59:13
사망하는 참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우주 쓰레기의 속도는 관성의 법칙에 따라 위성 공전 속도인 초속 7~8km의 어마어마한 속도로 돌기 때문이다. 홀 추력기는 혜성이나 화성 등 심우주 탐사에서도 필수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여러 임무에 최적화된 고효율 홀추력기를 적시에 신속하게 개발하기 위해선 설계 단계부...
美서 잇따라 거론되는 한미연합훈련 중단 가능성…향배는 2025-02-03 09:38:00
2기의 달라진 여건을 미국이 보다 신중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사실상 '핵무력 보유국가'가 된 북한의 핵위협을 억제할 연합훈련이 중단된다는 것은 한국의 핵 억제정책에 심대한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 군 관계자는 올 상반기에 연합연습인 '자유의방패(FS)' 훈련이...
글로벌 관세 전쟁 속 '금(안전자산)' 주목 [원자재 & ETF 뉴스] 2025-02-03 08:18:22
2기의 강압적인 공약들이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미국 뿐 아니라 전세계 경제가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이에 안전자산의 가치가 다시 한번 부각되며 금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재차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관련해 금 ETF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SPDR 골드 ETF’, 티커명 GLD입니다. 미국 금 ETF를 대표하는...
삼성의 ‘반도체 트릴레마’… 사상 초유 위기, 해법은?[퇴색하는 K반도체 신화①] 2025-02-03 07:24:53
기의 1만 2000분의 1 정도다. 10나노급 D램 공정 기술은 1x(1세대)-1y(2세대)-1z(3세대)-1a(4세대)-1b(5세대) 순으로 개발됐다. 다음 기술은 6세대인 ‘1c’인데 마이크론은 아직 양산되지 않은 10나노급 6세대 D램부터 EUV 장비를 처음 적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병서 중국경제연구소장은 “마이크론은...
[팩트체크] 연이은 사고…여객기 타도 정말 안전할까? 2025-02-03 07:20:00
각각 6.2%였고, 시설관리(4.6%), 엔진 결함(3.1%) 순이었다. 비행기의 운항단계별로 보면 착륙단계(43.1%), 순항단계(23.1%), 접근단계(10.8%), 지상활주 단계(9.2%), 이륙단계 7.7% 순으로 사고가 잦았다. 가장 붐비는 국제노선이나 블랙리스트에 오른 항공사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글로벌 항공 정보 제공업체 OAG는...
NYT "머스크 측근들, 미 재무부 결제시스템 접근 권한 확보" 2025-02-02 21:33:48
2기의 실세로 떠오른 일론 머스크의 측근들이 미 재무부 결제시스템에 접근할 권한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간 5조달러(약 7300조원)에 달하는 미 연방 예산 지출을 통제하는 데 참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지난달 31일 머스크가 수장을 맡고...
최태원, 워싱턴 간다…트럼프 2기 출범 후 첫 미국행 2025-02-02 15:07:35
특히 AI와 반도체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도 협력 방안을 구체화할 전망이다. 다만 최 회장이 이번 미국 방문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직접 만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SK그룹은 북미 대관 콘트롤타워인 'SK 아메리카스'를 통해 트럼프 2기의 주요 인맥 네트워크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