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HD현대, 조선부문 호조에 작년 영업익 46.8%↑…엔진·전력 선방(종합) 2025-02-06 14:22:19
건설기계 부문의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2023년 호황에 따른 기저효과와 글로벌 경기 침체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1.1%, 40.3% 감소한 7조7천731억원과 4천324억원을 기록했다. 에너지 부문의 HD현대오일뱅크는 친환경 연료 공급 확대, 공장 가동 효율화를 통해 매출은 전년 대비 8.4% 증가한 30조4천686억 원을...
SK이노 4분기 흑자전환…트럼프 관세 조치로 수혜 기대(종합2보) 2025-02-06 12:17:42
분기 기저 효과와 재고평가손실 등 일회성 비용의 영향으로 3천594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4분기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수혜 규모는 전 분기 대비 약 34% 증가한 813억원을 기록했다. 배터리사업의 지난해 연간 매출은 6조2천666억원, 영업손실은 1조1천270억원을 기록했다....
SK온, 美테네시 공장 상업 가동 연기…"IRA 등 영향 제한적" 2025-02-06 11:58:54
전 분기 기저 효과와 재고자산평가손실 등 일회성 비용의 영향으로 영업 적자를 기록했다. IRA에 따른 생산 세액공제(AMPC) 수혜 규모는 전 분기(608억) 대비 약 34% 증가한 813억원이었다. 회사는 올해 AMPC 수령액이 지속해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 업계에 따르면 SK온 미국법인 SK배터리아메리카(SKBA)는 작년 10월부터...
SK이노베이션, 지난해 4분기 영업익 1,599억…흑자 전환 2025-02-06 10:10:50
분기 기저 효과와 재고평가손실 등 일회성 비용의 영향으로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4분기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수혜 규모는 전 분기 대비 약 34% 증가한 813억원을 기록했다. 소재사업은 판매 물량 증가에도 재고 관련 등 일회성 비용 발생 등의 영향으로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SK이노, E&S 합병 효과·정제마진 개선에 4분기 흑자전환(종합) 2025-02-06 09:53:28
분기 기저 효과와 재고평가손실 등 일회성 비용의 영향으로 3천594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4분기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수혜 규모는 전 분기 대비 약 34% 증가한 813억원을 기록했다. 배터리사업의 지난해 연간 매출은 6조2천666억원, 영업손실은 1조1천270억원을 기록했다....
'악성 미분양' 11년來 최대…"이대로면 다 죽어" 건설업계 줄도산 공포 2025-02-05 17:44:09
개선된 것처럼 보이지만 기저효과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23년(42만8744가구)과 비슷한 42만8244가구였지만 2021년 54만5000가구, 2022년 52만1000가구를 크게 밑돌았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더 늦기 전에 건설산업 생태계를 회복하는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대표적으로...
"KB금융, 사상 최대 순이익 기대..배당 매력 UP" 2025-02-05 16:06:50
기준으로는 45%, 환율 기저효과를 감안하면 50%까지 기대 할 수 있음. - 이로 인해 배당 매력도와 자사주 소각 관련 이슈가 점진적인 주가 상승요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봄. - 정책 리스크에 대한 우려로 수급지표가 완화되지 못했으나 기회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 함.● 파이널콜 : KB금융, 사상 최대 순이익 기대..배당...
"환율이 1월 소비자물가 0.1%p 높여" 2025-02-05 11:56:26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의 기저효과, 낮은 수요압력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둔화 흐름을 보일 것"이라며 "이후에는 목표 수준(2%) 근방에서 안정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통계청은 1월 소비자물가 지수가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장바구니 물가' 다시 들썩…연초부터 팍팍해진 살림살이 2025-02-05 11:38:08
"2.2%의 물가 상승률 지표 역시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낮지 않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물가 상승률 확대 추세는 앞으로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환율·고유가 상황이 계속되는 데다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하는 등 외부 환경 변수들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과...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高환율·유가에 석달째 오름세(종합2보) 2025-02-05 10:54:18
"이상기후, 국제유가 상승, 기저효과 등으로 석유류와 일부 농수산물 가격이 오름세를 보인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물가안정이 '민생의 제1과제'라는 인식에 따라 내일 '민생경제점검회의'를 통해 상황을 꼼꼼히 점검하고, 안정적인 관리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