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50% 폭락, 60% 반등…양자처럼 불안정한 양자컴株 2025-01-16 17:39:55
통신 분야여서 양자 암호 기술 일부를 접목한 사례가 부각됐지만 정작 본업은 따로 있는 경우가 많다. 주요 종목으로 떠오른 한국첨단소재의 주력 사업은 네트워크 부품·계측기 판매다. 기술이 상용화 이전 단계인 만큼 서비스를 미리 구체화하기도 어렵다. 매매 역시 개인이 주도하고 있다. 이달 한국첨단소재는 기관이...
경기연구원, 'AI기본법 및 조례 연구 통한 법제도 개선 방안 제시' 2025-01-16 10:25:05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경기연구원은 이를 위해 기본이념, 데이터 저작권 확보, 규제 기준 제시, 교육 지원, 국제 협력 및 글로벌 포용 정책, 지역 AI 진흥, 결과물에 대한 표시 가이드, 안전성 평가 전문기관, AI 리터러시 교육,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과 의무, AI 위험성 모니터링, AI의 사회적 활용, 포상 및...
과기정통부, R&D 정책 설명 '찾아가는 현장간담회' 개최 2025-01-15 10:30:07
주요 추진계획으로 ▲ 핵심 원천기술 분야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 ▲ 연구자 중심 연구생태계 구축 ▲ 임무중심 기술지원 및 연구성과 확산 등 중점 투자방향을 안내한다. 올해는 기초연구에서 창의·도전 연구기회를 확대하고 개척연구, 국가아젠다 기초연구 등 신규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또 씨앗연구, 신진연구자 인프라...
"울산의 스탠퍼드 UNIST, 교육·연구 개척자 될 것" 2025-01-14 18:13:04
유수 대학·연구기관과 협력을 확대하고,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확장해 세계 명문대학으로 나아갈 기틀을 다지기로 했다. 첨단기술 분야에서 국제 공동 연구를 선도하고, UNIST 연구 성과로 인류가 직면한 난제 해결에도 기여하겠다는 의지다. 박 총장이 밝힌 UNIST의 연구 지향점은 ‘마당은 좁게, 담장은 높게’(Small...
제4회 임성기연구자상 대상에 서울대 최형진 교수 2025-01-14 10:54:27
45세 미만 연구자 대상의 '젊은연구자상'은 성균관대 의과대학 임세진 교수와 화학과 이원화 교수가 받는다. 한미약품[128940] 창업주 고(故) 임성기 회장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임성기재단은 생명공학·의약학 분야에서 의미 있는 업적을 남긴 연구자를 선정해 임성기 연구자상과 젊은 연구자상을 수여하고 있다....
과기정책 전문가 "인재양성 국정과제 우선순위 둬야" 2025-01-14 10:51:55
= 올해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우선순위를 둘 과학기술 분야 국정과제로 기초연구 지원과 인재양성을 우선해야 한다는 일반인과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이런 내용을 담은 'STEPI 아웃룩 2025'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아웃룩은 과학기술 혁신정책에 대해 과기정책...
ETRI, 6세대 이동통신(6G) 국제 표준 정립한다 2025-01-14 09:5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4일 차세대 통신(NEXT G)의 출발점인 6G의 기초 기술을 국제표준화단체에 제안해 승인받았다고 발표했다. ETRI는 삼성전자와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외 기업과 기관 10곳과 함께 개방형 무선 접속 네트워크 협의체인 '오픈 랜 (O-RAN) 얼라이언스'에 비지상...
과기부, 상반기 R&D 17조원 푼다…AI 개발 땐 50% 세액공제 2025-01-13 17:32:13
연구개발(R&D) 성과가 대학이나 연구소에 머물지 않고 산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범부처 기술사업화 민·관 협의체를 곧 발족한다.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유관 부처를 모아 기업과 연결 통로를 만드는 게 골자다. 연구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적극행정...
AI R&D 세액공제 50%로 높인다…과기부, 예산 76% 상반기 집행 2025-01-13 16:01:13
76.3%인 17.4조원을 상반기 내 집행하기로 했다. 신진연구, 세종과학펠로십 등 개인 기초연구 R&D 예산 4963억원은 1분기 내 전액 집행한다. 과기정통부 예산 포함 정부는 올해 역대 최대 규모에 근접한 약 30조원의 R&D 예산을 편성했다. 개인 기초연구 지원 규모 역시 약 3조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저렴한 요금의...
바이오·양자 주도권 확보 나선다…범부처 기술사업화생태계 조성 2025-01-13 16:00:30
◇ 기초연구 더 많은 연구기회 준다…연구생활장려금 첫 도입 기초연구는 역대 최대 규모 예산인 2조9천300억원을 올해 투입하고 집행에 속도를 내며 다양한 학문 분야와 젊은 연구자에게 더 많은 연구 기회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전환한다. 묶음예산 등을 통해 안정적 선정률을 확보하고 대학 부설연구소에 패키지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