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에너지ETF 랠리..."관세·딥시크 우려로 M7 고평가" 2025-02-12 07:05:14
공급 우려와 무역관세 확대에 따른 세계 경제 성장 침체 우려로 상승했다. WTI는 73달러 초반, 브렌트유는 77달러 초반에 거래를 마쳤다. 천연가스는 겨울철 한파의 영향으로 2% 상승세를 보였고, 곡물 선물은 미국과 흑해 지역의 기상 악화로 수확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로 하락세를 보였다. 금속 선물은 전일 상승...
디킨스 후손이 한국서 변호사 "아프리카를 보라" 2025-02-12 07:00:02
관세 철폐를 목적으로 2021년 발효된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는 시범운영 단계다. 그는 특히 AfCFTA 전망에 대해 "비관적으로 보지 않는다"며 "아프리카 대륙은 철도, 도로, 항구가 부족하지만 앞으로 인프라에 대한 투자·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뤄질 것이고 한국 기업들에 새로운 시장이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EU수장, 美부통령에 "협력 기대"…철강관세 협상 의지(종합2보) 2025-02-12 02:02:10
것"이라며 "하지만 관세와 보복관세라는 잘못된 길은 피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EU 상반기 순회의장국인 폴란드는 오는 12일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회원국 무역장관들을 소집해 긴급 영상회의를 열 계획이다. EU 회원국이 아닌 영국은 한층 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의 대변인은 이날 "우리는...
EU수장 "美 철강관세에 비례 대응"…협상 가능성도(종합) 2025-02-11 21:43:59
대응할 것"이라며 "하지만 관세와 보복관세라는 잘못된 길은 피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슈테펜 헤베슈트라이트 독일 정부 대변인은 '1시간 안에 대응할 수 있다'는 숄츠 총리의 이틀 전 발언에 대해 "계획된 조치를 지금 말하는 건 현명하지 못한 것 같다. EU는 만일의 사태에도 대비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런 ...
트럼프, 국제법 무시한채 경제동맹에도 일괄 관세…한·미 FTA 무력화 우려 2025-02-11 18:24:07
예고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무력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이 ‘관세 0%’를 적용하기로 합의한 FTA 체결국에도 일괄 관세를 매길 수 있다는 게 확인되면서다. 미국이 예고한 대로 자동차·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하면 2009년 발효된 한·미 FTA와 반도체 관세율을 0%로 정한 정보기술협정(ITA)...
한국 대미수출 '톱2' 자동차·반도체, 트럼프 관세 직격탄에 '신음' [글로벌 관세전쟁] 2025-02-11 16:08:46
82억달러로 전년 대비 116.8% 증가했다. 무역협회는 미국 내에서 인공지능(AI) 투자가 늘어나면서 D램 모듈 수요가 늘어난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 반도체, 철강이 잇달아 트럼프 정부의 관세 대상으로 지목되면서 산업 현장은 큰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애초 예고됐던 부분이라고는...
흔들리는 금리인하 기대감..."올해 한차례가 최선" 2025-02-11 14:02:36
결국 돌아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무역전쟁 긴장감이 장기화 될 경우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이 지연될 것이라며 금리인하 경로에도 대대적인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밝혔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 관계자들은 연준이 올해 두 차례가 아닌 한 차례 금리인하에 나설 것으로 전망 중이다....
“벌어간 만큼 내놔” 더 강력해진 트럼프의 ‘기브 앤드 테이크’ 외교, 다음 타깃은?[트럼프 관세①] 2025-02-11 08:09:27
무역적자 중 5%를 웃돌았다. 적자 규모로만 보면 여전히 중국 비중이 압도적이지만 상대국 입장은 다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캐나다와 멕시코의 대미 수출 비중은 각각 78%, 80%로 국가 전체 수출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중국의 대미 수출 비중은 15%에 불과하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의...
탄력받은 트럼프, 관세 부메랑 효과까지 차단! 닉슨 쇼크 우려되는 中, 日 전철 밟나?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5-02-11 07:59:14
- “small yard high fence”, 미·중 공멸의 길 - 트럼프 진영, 왜 실제로는 맞보복을 택하나? - 中 표적관세에 트럼프, 2차 대응 어떻게? - 1988년 종합무역법에 의한 환율조작국 지정 - 트럼프 보편적 일반관세, 이 법에 근거 발동 - 환율 조작국 지정 땐 행정명령 ‘슈퍼 301조’ - 트럼프발 관세, 결국 화폐전쟁으로...
트럼프 폭주에 '우려하던 일 터졌다'…1위 한국, 심각한 상황 2025-02-10 17:53:36
‘무역확장법 제232조’를 꺼내 들며 관세 부과 움직임을 보이자 협상을 통해 2015~2018년 연평균 수출량(약 383만t)의 70%인 263만t만 무관세로 수출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무관세 쿼터를 초과한 수출량 13만t은 미국에서 생산하기 어려운 제품으로 인정받은 예외 품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2기를 시작하자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