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제성 없다" 지적에도…지역 민심 눈치에 너도나도 "신공항" 2025-01-08 17:36:25
적지 않다. 총사업비가 13조원 넘는 부산 가덕도신공항이 대표적이다. 이명박 정부에서 “경제성이 없다”고 판단을 내렸는데도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와 특별법 제정을 통해 추진되고 있는 사업이다. 당초 2035년 개항이 목표였는데, 2030년 부산 엑스포 유치를 감안해 2029년 12월로 대폭 당겼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
제주항공, 1∼3월 총 1천878편 감편…국내 838편·국제 1천40편 2025-01-08 14:51:17
국제선과 국내선 노선에서 총 1천878편의 운항을 줄인다고 8일 밝혔다. 국제선에서는 총 1천40편을 감편한다. 일본 노선에서는 인천∼나리타·오사카·후쿠오카·삿포로, 부산∼나리타 등 노선에서 344편을, 동남아 노선은 인천∼다낭, 방콕, 보홀 등 노선에서 326편을 감축한다. 대양주 노선은 인천∼괌, 부산∼사이판 등...
이천 안흥동에 조성되는 ‘이천 롯데캐슬 센트럴 페라즈 스카이’ 잔여세대 선착순 분양 중 2025-01-08 09:43:15
대한 기대감이 상승 중이다. GTX-D노선은 김포 장기·검단·계양과 영종도(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해 부천종합운동장에서 만나 광명, 시흥, 가산, 신림을 지난다. 이어 삼성역에서 수서·모란·경기 광주~이천~부발~여주~강원도 원주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으로 개통 시 이천에서 서울 도심까지 30분 만에 진출이 가능하다...
말 그대로 '설상가상'…위기의 제주 2025-01-06 14:33:23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여행 심리가 더욱 위축되면서 내국인 관광객 감소세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튿날인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5일까지 일주일간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잠정 20만8천516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4만11명보다 3만1천495명(13.1%) 감소했다. 이...
제주항공 참사...무너진 20년 ‘LCC 안전 신화’ 2025-01-04 09:15:22
무안공항의 위치 및 활주로 설계 방식이다. 제주항공 참사 피해 규모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것은 무안국제공항에 설치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과 이를 지지하기 위해 지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만들어진 콘크리트 구조물(둔덕)이다. 무안공항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여객기의 착륙을 돕는 역할을 하는 안테나인...
무안공항, 보강공사 때 둔덕 30㎝ 더 높여…국토부 "전국 전수조사" 2025-01-01 17:48:52
활주로 끝단 이후에 무안공항보다 거대한 4m 높이 구조물로 돼 있어 더 위험하다는 지적이다.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공항 등은 둔덕 없이 로컬라이저 안테나를 바로 설치했다. 제주국제공항은 구조물 위에 로컬라이저를 설치했지만, 콘크리트 둔덕이 아니라 철제구조물(H빔) 위에 세웠다. 불시착한 비행기가 밀고 나아갈 수...
제주항공 "동계편 10~15% 축소 등 안전관리 만전…긴급지원준비" 2024-12-31 17:55:36
= 제주항공은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자사 7C2216편 참사와 관련, 항공기 점검과 정비인력 확충, 동절기 운항 축소 등으로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유가족 지원을 위해 긴급 지원금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는 31일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에서 열린 참사 브리핑에서 "항공기 점검을...
국토부 "무안 안전구역 기준 준수…한미 합동조사팀 19명 현장"(종합) 2024-12-31 11:55:29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외곽에 있는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지목되는 가운데 정부가 이 구조물이 최소 기준보다는 길고 권고 기준보다는 짧은 거리에 설치됐다고 밝혔다. 항공 안전을 총괄하는 주무 부처인 국토부는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진행한 브리핑에서 "(종단안전구역은)...
美교통안전위·보잉 조사팀 무안 현장서 합동조사 시작 2024-12-31 09:05:31
=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을 조사하기 위한 미국 정부 및 기체 제조사 조사팀이 사고 현장에 도착해 조사를 시작했다. 31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소속 전문가 2명과 미국 보잉 관계자 2명은 이날 오전 사고 현장에서 조사에 착수했다. 이들은 전날...
참사기 충돌 구조물이 피해 키웠나…국토부 "사고 관련성 조사"(종합3보) 2024-12-30 22:45:58
해석도 제기된다. 인천과 김포 등 다른 국제공항은 이 거리가 대부분 300m 이상이다. 사고 당시 제주항공 여객기는 동체 착륙 후 활주로 1천600m 정도를 질주한 후 로컬라이저·둔덕과 외벽을 연이어 충돌했다. 외국 항공 전문가와 전직 비행사들은 유튜브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여객기가 이러한 구조물과 충돌해 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