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산화질소 실시간 분석'…대전대·KAIST '웨어러블 센서' 개발 2017-04-06 15:37:14
은 나노선으로 이뤄진 발열체를 유연한 플라스픽 센서 기판에 적용, 기판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이산화질소의 반응을 높이는데 성공했다. 센서 기판 온도를 80도로 유지하면 5ppm의 이산화질소 가스를 상온보다 쉽게 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옷에 부착해 웨어러블 센서로 쓸 수 있으며, 저온 구동 시에도 신속한...
차세대 전지용 고성능 촉매 개발…전기차에 활용 기대 2017-04-04 12:00:08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촉매로 망간 몰리브덴 산화물 나노선을 사용해 전지의 수명을 크게 늘리고 고속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내용을 학술지 '어드밴스트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 최근호에 실었다. 리튬-공기 이차전지는 스마트폰 등에 흔히 쓰이는...
치아 '에나멜'에서 답을 찾다…단단하고 진동에 강한 신소재 2017-03-02 03:00:01
생각했다. 실제로 기둥 모양의 산화아연 나노선을 기판에 수직으로 배열한 뒤 이 사이를 고분자로 채워 에나멜과 유사한 형태의 '나노복합체'를 제작한 결과 강한 힘과 진동에 견디는 능력이 실제 사람 치아의 에나멜 수준임이 확인됐다. 염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나노복합체는 비행기나 차체의 재료, 내진...
포스텍 휴대기기 전력소비 줄이는 차세대 트랜지스터 개발 2017-01-31 14:23:01
소자다. 연구팀은 코어-셸 구조를 나노선에 도입한 터널링 트랜지스터로 에너지 장벽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터널링 면적을 더 넓게 해 전자기기 대기 전력을 줄이면서 성능을 향상했다. 이 기술은 국내 실리콘 반도체 공정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낮은 제작 단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백창기 교수는 "기존...
그래핀 등 저차원 물질 전기물성 고정밀 측정기술 개발 2017-01-31 13:35:49
연구진 "그래핀·양자점·나노선 등 전기물성 측정 가능" (대전=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그래핀(graphene)이나 양자점(quantum dot), 나노선(Nanowire) 등 저차원 신물질의 전기물성을 정확히 측정하는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양자측정센터 정수용 박사와 기초과학연구원(IBS)...
GIST, 차세대 초전류 트랜지스터 개발…"활용성 높여" 2017-01-22 14:00:27
물리·광과학과 도용주 교수팀이 반도체 나노선을 이용해 작동 온도와 최고 임계 전류를 향상한 초전류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초전류 트랜지스터는 양자 물리학 원리를 응용해 저항이 '0'이 되는 상태에서 흐르는 전류의 개폐를 제어하는 양자 소자다. 기존 초전류 트랜지스터는 최대 임계...
'물 전기분해 귀금속 촉매 대체' 친환경 화합물 촉매 개발 2017-01-19 10:04:29
복합체 사이의 전하 전달 능력을 극대화한 이중 나노선 형태의 촉매를 제작했다. 이중나노선 형태 촉매는 단일 니켈-코발트 금속 촉매보다 30% 낮은 전압과 2.7배 높은 단위면적당 촉매 활성도를 보였다. 오 교수는 "니켈-코발트 금속 화합물 촉매는 생산 과정이 간단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성능도 기존 귀금속 촉매에...
열을 전기로 바꾸는 유연한 실리콘 열전소자 개발 2016-12-21 12:00:39
실리콘 나노선을 이용해 효율이 높은 열전소자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열전소자는 소자 양 끝의 온도 차를 이용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소자다. 자동차 엔진이나 배기가스, 산업현장, 체온, 태양열 등 일상생활 등에서 버려지는 열을 재활용할 수 있어,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초미세 나노선의 힘에 따른 특성 변화 측정 2016-12-06 12:00:31
단일 나노선의 구조적 변화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투과전자현미경은 높은 에너지로 가속된 전자를 시료에 쪼여 투과된 전자를 렌즈로 수십만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이다. 측정 결과 InAsP 나노선이 많이 늘어날수록 저항이 비선형적(급격하게 감소하다가 점차 일정해지는 형태)으로 감소하는...
실리콘보다 100배 빠른 광전자 소자 개발 2016-11-28 16:09:51
은 나노선을 연결, 초소형 복합소자를 개발했다. 2차원 반도체는 두께가 원자 한 층 수준으로 얇고 밴드갭(band gap·전자의 에너지 차이)이 있어 전기·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황화몰리브덴(MoS2)이 대표적이다. 2차원 반도체가 빛을 받으면 발생하는 엑시톤(전자-정공 쌍)에 의해 광자가 방출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