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수 나노미터 크기 그래핀 나노리본 최초 개발 2014-10-29 14:32:11
사용됐으나 에칭은20나노미터 이하의 나노리본을 제작할 수 없고, 합성은 테두리 모양을 자유자재로만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공동연구팀은 주사터널링 식각 기술(STL·물질의 표면과 탐침 사이에 전압을 가해 전류를 측정하는 주사터널링현미경을 응용한 방식)을 이용해 그래핀 나노리본의크기와 테두리 모양을...
"뇌 신경신호 1000배 높게 잡아냈다" KAIST 금나노탐침 기술 첫 개발 2014-08-27 11:08:56
나노선을 이용해 만든 나노탐침으로 쥐의 신경신호를 측정하는데 성공했다고 8월 27일 밝혔습니다.연구팀이 이번에 새로 고안한 금나노탐침은 굵기가 100nm [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로 불과해 1mm이하의 정밀한 간격으로 뇌신경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게 특징입니다. 때문에 위 그림에서 비교 대상으로 나타난 기존의...
'뇌신호 측정' 가장 얇은 금 나노탐침 개발< KAIST> 2014-08-27 10:24:17
전기적 감도가 뛰어나야 한다. 연구팀은 탐침의 재료인 금에 열을 가해 증기상태로 만든 뒤 온도가 낮은 기판으로 옮겨 기판 위에서 응결시키는 방법으로 단결정 금 나노선을 개발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금 나노선 탐침은 전기전도성이 높으면서도 강하고유연한 특성을 보였다. 특히 굵기가...
눈·비 맞아도 물방울 안맺히게 '초친수성' 원리 찾아냈다 2014-04-20 21:48:08
흡착물층을 발견했다. 원자힘현미경은 미세탐침과 시료 표면 사이에 생기는 원자 간 상호작용력을 측정해 시료 표면의 구조적, 전자기적 특성을 형상화할 수 있는 장치다. 연구팀은 이산화티타늄 표면의 전자들이 공기중 물분자와 상호 작용하면서 얇은 막처럼 물이 흡착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물층은 빛의 세기에 따라...
'섭씨 27도서 세계 처음 물결치는 전자구름을 보다'…KAIST 새 전자현미경기술 개발 2014-04-02 12:55:33
나노미터, 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 이 가설은 그 뒤 많은 실험을 거쳐 1920년대에 ‘전자는 파동’이라는 양자역학으로 확립 됩니다. 즉, 원자는 모든 무게를 가진 원자핵과 주변을 구름모양으로 둘러싼 상대적으로 매우 가벼운 전자로 구성됐다는 게 핵심입니다. 1981년 비니히와 로러 박사는 스위스 ibm이 발명한...
"전자구름 상온에서 세계 최초 관찰"< KAIST> 2014-04-02 10:18:02
샘플을 37∼57도로 가열해 상온(27도)의 탐침에 있도록한 뒤 샘플과 탐침 간 온도 차이로 발생한 전압을 이용해 상온에서 전자구름이 물결치는 모양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한 현미경은 그래핀, 반도체의 결함을 원자 단위까지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어 제품 품질과 가격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단백질칩 쉽게 제조하는 기술 개발 2013-12-25 22:46:47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국 나노잉크사와 공동으로 단백질 변성 가능성이 작고 공정도 간소화한 바이오칩 제조 기법을 개발했다고 25일 발표했다. 바이오칩은 단백질을 기판에 배열해 만든 소자다. 특정 단백질과 관계된 질병을 진단하거나 생화학물질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유리 기판에 단백질을 점·선·모양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