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주식회사 타이드풀, '2023 해양수산 창업 콘테스트' 사업화 부문 우수상 수상 2023-10-25 09:51:41
협력을 통해 '넙치 3D 형질측정시스템'과 '뱀장어 급이활성 분석 시스템'을 공급하는 등 국내 양식산업의 주요 파트너로써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주식회사 타이드풀은 "미래 양식산업의 선두주자로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 도전할 계획이며, 한국 양식산업의 첨단화와 대형화 추세에 따라 이...
"1주일에 회만 세 번 먹은 적도"…공무원 단골 메뉴 된 수산물 [관가 포커스] 2023-09-14 10:00:03
데 이어 이달 제주 한림수협 위판장과 넙치 어류양식장, 서울 강서수산시장을 방문했다. 각 부처 간부들도 수산물 소비에 앞장서고 있다. 중앙부처의 한 간부급 공무원은 “웬만하면 외부 식사 장소를 잡을 때 횟집을 주로 고른다”며 “장·차관이 도시락을 먹을 때도 회 도시락을 먹는 분위기라 아무래도 신경 쓰지 않을...
[천자칼럼] 우리 수산물 빠진 단체급식 2023-09-07 17:40:09
대구, 넙치 같은 한정된 어종만 소비하는 다른 나라와 달리 어류, 패류, 해조류 등 식용 가능한 모든 수산물을 다양하게 섭취한다. 2021년 기준 182종에 달한다고 한다. 그중 연간 소비량 톱10 수산물은 오징어(5.4㎏) 새우(4.5㎏) 멸치(4.2㎏) 굴(2.2㎏) 명태(2.1㎏) 고등어(1.5㎏) 다랑어(1.5㎏) 넙치(1.1㎏) 갈치(1.0㎏)...
양식장 고수온 피해 50억…수협, 요청시 추정보험금 50% 선지급 2023-08-28 10:44:05
사고는 117건으로, 주요 어종은 강도다리, 넙치, 조피볼락 등이다. 추정 손해액은 50억원에 달한다. 수협중앙회는 고수온 피해 비상대책본부를 구성해 피해 복구를 돕고, 양식어업인을 대상으로 피해 예방 활동을 전개한다. 특히 어업인이 요청할 경우 추정 보험금의 50%를 선지급해 빠른 피해 복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자갈치시장서 붕장어 잡은 尹 "아이고 이게 막 붙네" 2023-07-27 21:56:53
뒤 넙치·붕장어·해삼·가리비·전복 등 수산물을 구입했다. 한 상인으로부터 펄떡거리는 붕장어를 건네받은 윤 대통령은 웃으면서 “이게 미끌거리네. 아이고 이게 막 붙네”라고 말했다. 생새우룰 먹을 것을 제안한 상인에게는 “이것을 포로 떠 가지고 잘게 해서 싸먹기도 하고, 포로 해서 따로 구워먹을 수 있게도...
[한경에세이] 세계가 인정하는 韓수산물 2023-07-24 17:49:30
불신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고 모처럼 얻은 한국 수산물의 세계화 기회도 사라지게 될 것이다. 한국에는 김 외에도 세계화할 수 있는 우수한 수산물이 많다. 이 가운데 정부는 굴 넙치 전복을 수출 유망 품목으로 지정해 집중 육성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여기에 우리 국민의 변치 않는 신뢰와 사랑이 더해진다면 차세대...
해수차관 "방사능검사 게시판 통한 수산물 검사 모두 '적합'" 2023-07-17 11:00:01
넙치 5건 등이었다"고 덧붙였다. 해수부는 게시판에서 한 주간 검사가 많이 신청된 품목 10개를 선정하고,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이 직접 시료를 수거해 방사능 검사를 진행한다. 검사 결과는 게시판에 모두 공개한다. 해수부는 검사 결과를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검사 결과 메일링 서비스도 함께 시행 중이며, 현재...
제주 국제크루즈포럼 개막…해수장관 "모항 크루즈에 인센티브" 2023-07-12 11:00:06
참석에 앞서 새벽 제주시 수협 위판장을 방문해 수산물 위판 현황 등을 점검했다. 오후에는 수산물 안전 정책 간담회에 참석해 어업인 단체 등을 대상으로 수산물 안전관리 대책 등을 설명할 계획이다. 구좌읍 넙치 양식장을 찾아 방사능 검사를 위한 시료 채취 과정을 살핀 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에서 검사...
"후쿠시마산 생선만 1년 내내 먹어도 피폭 영향 미미" 2023-07-06 17:45:48
방류와 관련해 과학적 근거 보다 정치적 구호가 난무하는 상황을 우려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세슘, 플루토늄 등 방사성 핵종이 무거워서 가라앉기 때문에 넙치, 조개를 조심해야 한다는 말이 퍼지고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가라앉은 것을 처리하면 되는데 ALPS가 왜 필요하겠냐"고 반문하면서 "가짜...
정부 "'기준치 180배' 日 세슘 우럭, 한국 올 가능성 없다" 2023-07-04 12:37:46
광어(넙치), 쥐노래미, 참돔 등과 같이 연안의 일정한 구역에서 평생 사는 어종을 연안 정착성 어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안 정착성 어종은 어체 구조상 일본산이 국내에 건너올 수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회유성 어종의 경우에도 우리 어선이 잡아서 국내에 공급하는 어종과 일본의 태평양산 어종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