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CES 2025] SKT, 'K-AI 얼라이언스' 스타트업 투자유치 지원 2025-01-09 09:00:01
K-AI 얼라이언스 멤버사들과 실리콘 밸리에 투자 유치를 제안하는 피칭 데이를 열었다. 출범 2년을 맞은 K-AI 얼라이언스에 새로 합류한 기업은 AI 영상 분석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한 트웰브랩스와 AI 검색 서비스 개발 기업 라이너,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이모코그다. CES 2025 개막 이틀째인 8일(현지시간) SK...
중기부, 고환율 수출입 피해 중소기업에 1조5천억원 지원한다 2025-01-08 16:00:11
또 미국 실리콘밸리에 한인 창업을 돕는 민·관 허브인 'K-스타트업 실리콘밸리 타운'(가칭)을 조성하고, 해외 우수 인재가 국내에서 창업할 수 있도록 스타트업 코리아 특별비자 발급 요건을 개선한다. 중소기업의 AI 활용 촉진과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AI 확산법'(가칭),...
[CES 2025] 과기정통부, 디지털 청년 인재 토크콘서트 2025-01-08 10:00:02
사업 등의 우수자를 포함한 디지털 청년 인재 200여 명이 참여했다. 우수자 수기 발표는 지원사업 특성에 따라 고급·글로벌·창의인재로 나눠 혁신적인 연구개발 성과 창출 도전기, 글로벌 선도대학 파견 교육과 협업을 통한 성장기, 창업 기업의 세계 시장 공략과 생존기로 구성됐다. '개발자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차상균 교수 "생존법? 美서 AI두뇌 모아 韓 '몸통' 변화시키는게 최선" 2025-01-07 17:54:22
‘디지털 노마드’를 자처하는 차 교수는 “미국은 고사하고 한국은 AI산업에서 중국 일본 대만보다도 몇 발짝 뒤에 있다”고 지적했다. ▷정말 일본이 한국보다 앞서 있나요? “일본에는 손정의(소프트뱅크그룹 회장)라는 ‘아웃라이어’가 있잖아요. 일본 기업 문화에서 비주류였던 그가 2016년 비전펀드를 조성해 세계...
외국인 관광객 픽, 한국에서 가장 매력적인 도시는? 2025-01-06 10:41:09
오크밸리 스키 리조트가 있다. 아고다 데이터에 따르면 해외여행을 떠나는 한국인에게는 상하이가 꾸준히 사랑받는 여행지로 꼽혔다. 지난해보다 21계단 상승한 27위를 기록했다. 상하이는 가성비 좋은 5성급 호텔과 깨끗하고 화려한 분위기, 디지털 환경, 도시 전역의 현금 없는 결제 시스템으로 사랑받고 있다. 아시아...
[차장 칼럼] 작은 거인들과 회복 탄력성 2025-01-02 17:38:27
빠르게 소셜미디어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독창적 마케팅과 현지화 전략으로 세계 시장을 뚫었다. 과거 전성기 때 조용히 경쟁력을 키워온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업체인 한국콜마와 코스맥스가 이들의 제품을 생산해 제품력을 뒷받침했다. 젊은 창업자들이 뷰티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 산업의 진화를 이끌어냈다....
‘변방에서 주류로’…비트코인 결정적 순간들 2025-01-02 08:04:33
돌파했다. 그야말로 ‘디지털 금’이라 불릴 만하다. 과연 이 거대한 21세기 금괴는 어떻게 발굴됐을까. 금융위기 속 탄생한 비트코인 1990년대 초부터 정부나 중앙기관으로부터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려는 ‘사이버펑크(cypherpunk) 운동’에 가담한 암호학자들이 있었다. 유대인인 데이비드 차움,...
[우분투 신년특집] ② 아프리카 미래를 바꾸는 디지털 혁신 2025-01-02 07:00:05
몇몇 국가를 중심으로 디지털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케냐는 동아프리카의 선두 주자다. 2013년부터 수도 나이로비 외곽에 건설 중인 '콘자 기술도시'를 미국 실리콘밸리에 빗대 '실리콘 사바나'로 명명하며 ICT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핀테크 서비스 엠페사(M-Pesa)는 ICT의 잠재력을 이미...
소프트웨어정책연 "해외 AI 인재 유치 위한 특화 비자 검토를" 2025-01-01 07:00:04
스타트업 관계자, 디지털 분야 프리랜서 등을 포괄하는 비자 제도가 필요하다면서 싱가포르의 '테크 패스 프로그램'을 모범 사례로 들었다. 이 프로그램은 디지털·AI 분야 스타트업 창업자뿐 아니라 혁신 경영가, 기술 리더, 첨단 기술 전문가까지 포괄하도록 설계됐다. 보고서는 "디지털 인재들은 해외 이주를...
트럼프, SNS '자체검열' 금지 나선다…머스크 입김 작용했나 2024-12-31 12:14:37
관리하지 않는다며 규제를 강화해왔다. 2022년 제정된 디지털서비스법은 SNS 기업이 불법 콘텐츠를 신속하게 제거하지 않으면 연간 전체 매출의 최대 6%에 달하는 벌금을 내도록 규정하고 있다. 영국 역시 지난해 온라인상의 발언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법을 제정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