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I의 스푸트니크 순간'을 가져온 딥시크 량원평은 누구? 2025-01-28 19:15:07
이 헤지펀드는 알고리즘에 딥러닝 기법을 접목한 AI 트레이딩으로 자금을 급속히 끌어 모아 중국 시장에서 운영되는 최대 규모의 퀀트 펀드중 하나로 커졌다. 현재 80억달러(11조5,700 억원)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량은 2019년부터 거대언어모델(LLM)을 훈련하기 위한 엔비디아 칩 10,000 개를 확보해 클러스터를...
‘중국판 샘 올트먼’…딥시크 창업자 85년생 펀드매니저 2025-01-28 10:38:53
헤지펀드를 설립했다. 그는 딥러닝 기반의 컴퓨터 트레이딩으로 자산을 80억 달러(약 11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시켰다. 이후 그는 소규모 AI 연구소를 운영하다 딥시크를 창업했다. CNN은 량원펑을 오픈AI 창업자 샘 올트먼에 비유하며 “중국의 샘 올트먼”이라고 평가했다. 딥시크는 설립 이후 비용 효율성과...
"겨우 78억 썼다고?"…충격의 '中 딥시크' 창업자 정체 2025-01-28 08:03:45
따르면 딥시크는 2023년 5월 중국 항저우에서 설립됐다. 1985년생인 량원펑이라는 인물이 회사를 설립했다. 그는 중국 광둥성 출신으로 공학 분야 명문대인 저장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대학을 졸업하고 2015년 대학 친구 2명과 함께 '하이-플라이어'(High-Flyer)라는 헤지펀드를 설립,...
딥시크 '돌풍'…배후에는 40세 컴퓨터전공 펀드매니저가 있었다 2025-01-28 07:17:24
설립, 컴퓨터 트레이딩에 딥러닝 기법을 적용해 자금을 끌어모았다. 펀드의 자산은 80억 달러(약 11조5천억 원) 수준으로 불어났고, 량원펑은 소규모 AI 연구소를 운영하다 독립 회사로 분리해 딥시크를 창업했다. 량원펑은 펀드 트레이더보다는 엔지니어로 인식되는 것을 선호한다고 WSJ은 그와 가까운 사람들의 말을...
'AI 지각변동' 中 딥시크 창업자는 40세 컴퓨터전공 펀드매니저 2025-01-28 06:44:32
항저우에서 설립됐다. 딥시크 설립자는 1985년생 량원펑이라는 인물로, 중국 광둥성 출신인 그는 공학 분야에서 특히 손꼽히는 명문대인 저장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대학을 졸업하고 몇 년 후인 2015년 대학 친구 2명과 함께 '하이-플라이어'(High-Flyer)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하고...
에이아이트릭스, 응급실 환자 예측 연구 네이처 자매지 게재 2025-01-24 15:10:12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에이아이트릭스의 응급실 멀티 모달 딥러닝 모델 연구 논문이 네이처(Nature)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해당 연구의 제목은 ‘응급실에서의 임상 악화 실시간 예측을 위한 새로운 딥러닝 알고리즘: 멀티 모달 임상 지원 시스템(A novel deep learning...
메디칼스탠다드, 美 서틀메디컬 MRI 솔루션 국내 공급 2025-01-23 14:07:34
처음이다. 서틀 MR은 딥러닝을 활용한 MRI 영상복원 솔루션이다. MRI 촬영시간을 최대 60%까지 단축시켜줘 환자 편의성을 크게 높이고 병원운영 효율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업체 측은 예상했다. MRI 촬영 시간이 줄면 촬영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응급 환자나 폐소공포증 환자, 소아환자 등도 쉽게 촬영할 수...
루닛, 3년 연속 다보스포럼 참가... 인공지능 시대 네트워킹 확대 2025-01-21 15:25:41
특히 이번 포럼에서는 딥러닝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요슈아 벤지오(Yoshua Bengio) 몬트리올대 교수, 구글, 바이두 등의 AI 연구를 이끌었던 앤드루 응(Andrew Ng) 스탠퍼드대 교수 등 AI 분야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여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깊이 있게 조망하는 세션도 열린다. 루닛은 2020년 코로나19 유행 당시 WEF...
"집냄새 왜 이래"…공기질 알아서 챙기는 '똑쟁이' 나온다 2025-01-21 10:00:04
딥러닝으로 학습한 AI 공기질 센서는 유해가스 3종(포름알데히드·암모니아·휘발성유기화합물)과 유증기를 감지해 공기청정을 하는 기능을 검증받았다. 가스 종류, 오염도에 따라 알아서 공기청정을 진행한 것. 'AI 맞춤 운전 기능'은 시간마다 실내 공기질을 학습·분석한다. 누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공기질이...
LG전자, AI 공기질 센서 탑재한 공기청정기 신제품 출시 2025-01-21 10:00:00
공기 청정을 한다. 한국표준협회 테스트에서 딥러닝으로 학습한 AI 공기질 센서는 폼알데하이드, 암모니아, 휘발성유기화합물(TVOCs) 등 유해가스 3종과 유증기를 감지하고 공기를 관리하는 성능을 검증받았다. 신제품은 기존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극초미세먼지, 유해가스인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을 감지하는 센서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