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테무 한국시장 직진출하나…인력 채용·배송 계약 검토 2025-02-10 10:04:42
개설 이래 무서운 속도로 한국 고객을 유인하고 있다.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테무 애플리케이션(앱)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823만명으로 쿠팡(3302만명), 알리익스프레스(912만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한국 시장에 처음 발을 들인 2023년 8월(52만명)과 비교하면 이용자 수가...
스파크플러스, '오피스B' 3호점 열고 소형 오피스 빌딩 공략 속도 2025-02-10 10:00:14
2호점을 선보였다. 오피스B 3호점 1층에는 리테일 브랜드가 입점한다. 2층부터 9층까지는 단독 층 오피스로 구성된다. 지하철 2호선 선릉역과 가깝다. 포스코사거리인근에 있어 강남 주요 업무 지구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오피스B는 중소형 빌딩에 프라임 오피스 수준의 업무 환경을 제공하는 오피스 브랜드다. 사물인터넷...
테무 배송 빨라질까...한국 직진출 조짐 2025-02-10 07:12:32
파악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는 것도 테무에 긍정적이다.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테무 애플리케이션(앱)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823만명으로 쿠팡(3천302만명), 알리익스프레스(912만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한국 시장에 첫 진출한 2023년 8월(52만명)과 비교하면 이용자...
테무도 한국시장 직진출하나…인력 채용·배송 계약 검토 2025-02-10 06:01:00
한국 고객을 유인하고 있다.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테무 애플리케이션(앱)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823만명으로 쿠팡(3천302만명), 알리익스프레스(912만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한국 시장에 처음 발을 들인 2023년 8월(52만명)과 비교하면 이용자 수가 17.5배로 폭증했다....
'식권대장'으로 첫 흑자 달성한 현대벤디스 2025-02-09 18:47:16
리테일 등 프랜차이즈 업체 20여 곳과 제휴 계약을 맺었다. 현대벤디스의 모회사인 현대이지웰도 호실적을 거뒀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1310억원, 영업이익 202억원을 달성했다. 전년보다 각각 11.1%, 10.4% 늘어난 수치다. 회사 측은 “연결 대상 종속법인인 현대벤디스의 영업권 손상차손 반영 금액이 전년보다 줄어...
"150만원짜리 몽클레르, 떨이로 샀어요"…인기 폭발 2025-02-09 18:33:00
상품을 최대 90% 할인 판매하는 매장이다. 이랜드리테일의 뉴코아아울렛 광명점은 2023년 팩토리아울렛으로 전환해 수익성이 개선됐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세 배 넘게 늘었다. 이랜드리테일 관계자는 “팩토리아울렛 전환 후 가성비를 중시하는 2030세대 신규 회원이 400% 넘게...
최대이익에도 영업점 줄이는 은행…KB·신한 28개씩 무더기 폐쇄(종합) 2025-02-09 14:33:41
한 건물에 분리돼있던 기업영업점과 리테일(소매)영업점을 통합한 경우"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총 영업점 수는 2023년 말 3천927개에서 9일 현재 3천790개로 약 1년 1개월 사이 137개나 줄었다. 다음 달 KB 영업점 통폐합이 마무리되고, 다른 은행들에 변동이 없다면 무려...
GS더프레시, 핫도그·피자 등 소포장 냉동 간편식 5종 출시 2025-02-09 08:14:35
크기로 줄이고 두 개를 개별 포장했다. 윤여춘 GS리테일 냉장냉동팀 MD(상품기획자)는 "기존 대용량 패키지나 원플러스원(1+1) 상품이 부담스러웠던 소비자를 위해 실속 있는 소포장 냉동 상품을 기획했다"며 "소포장 냉동간편식이 1∼2인 가구 등에 실용적인 카테고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개인정보 걱정"…中 딥시크, 전방위 주의령에 사용 급감 2025-02-09 08:06:51
딥시크(2만452건)를 다시 앞섰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딥시크의 지난달 4주차 주간 사용자수는 121만명으로 챗GPT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한편 한국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딥시크에 대해 각국의 봉쇄령이 잇따르고 있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은 애플스토어 등에서 딥시크를 내려받는...
정부·공공기관·기업 전방위 주의령에 딥시크 앱 사용 급감 2025-02-09 07:31:02
딥시크(2만452건)를 다시 앞섰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딥시크의 지난달 4주차 주간 사용자수는 121만명으로 챗GPT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약진한 바 있다. 그러나 행정안전부가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내고,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