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엔 인권 전문가들, 한국의 낙태 처벌 관련 개정안에 우려 2021-01-01 21:58:38
낙태죄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리면서 현행 형법은 지난해 말까지 개정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지난해 10월 임신 14주 이내에서는 낙태를 허용하는 내용의 형법·모자보건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나 아직 국회에 계류 중이다. 대체 법률 미비로 낙태에 대한 형사 처벌을 규정한 형법 조항은 지난해...
내년도 `규제 공화국`…中企 생존 기로 2020-12-29 17:18:40
발생 예방을 위한 사항은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을 통해 보강하는 방식이 보다 효율적인 입법체계를 갖추는 방식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굳이 법을 제정해야 한다면 사업장 규모에 따라 시차를 두고 단계별로 적용하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중소기업 현장에 제대로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을...
"강간 외 낙태 반대" vs "낙태도 건강보험 적용해야"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020-12-28 15:38:59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내용의 형법 및 모자보건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는 낙태하는 여성과 의료진을 처벌하도록 한 형법상 낙태죄 조항이 헌법에 합치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른 것이다. 헌재는 지난해 4월 낙태죄가 "임신한 여성의 자기 결정권을 제한하고 있어 침해의 최소성을 갖추지 못했고 태아의...
[사설] 與보다 센 중대재해법 발의…野도 표만 보고 경제는 안 보나 2020-12-20 18:36:38
테러를 벌이는 거대 여당을 견제해도 모자랄 제1야당이 더 센 법안을 내놓은 것은 포퓰리즘 말고는 설명할 길이 없다. 세계 최고 수준의 처벌을 명시한 ‘김용균법’(산업안전보건법) 시행 1년도 안 돼 이를 대체할 비상식적 대체법안을 밀어붙이는 것은 ‘법치’를 강조해온 자유민주 정당으로서의 본분을 망각한 처사다....
국민의힘 "육아휴직 급여 2배 올리자…월 최대 287만원" 2020-11-27 10:47:36
보지 못한 채 보험료 부담 의무만 지는 ‘역차별’ 문제도 제기될 수 있다. 부모보험은 연 4조원가량의 재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계됐다. 국민의힘은 난임치료를 위한 시술비 지원 시 연령 또는 소득에 따라 차등을 두거나 지원 횟수에 제한을 두지 못하도록 하는 모자보건법 개정안도 발의한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임신 14주 내 낙태 조건부 허용…형법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2020-11-24 11:02:46
이에 정부는 지난달 형법과 모자보건법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다. 약물을 통한 낙태를 허용하는 내용의 모자보건법 개정안은 지난 17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하지만 여성단체에서는 정부의 개정안은 낙태 처벌 '폐지'가 아닌 '완화'에 불과하다는 이유를 들며 시대적으로 후퇴한 법안이라고 비판하고 있어...
[윤성근의 법과 법정] 존엄사, 낙태 그리고 생명에 대한 선택권 2020-11-22 18:19:07
어렵다. 형법은 낙태죄를 처벌하며, 모자보건법은 임신 24주 이내 낙태를 일정한 조건하에 허용한다. 낙태죄의 위헌성은 오랫동안 다퉈져 왔는데 지난해 헌법재판소는 자기낙태와 의사의 촉탁승낙 낙태에 대해 처벌하는 형법 규정이 헌법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한편 이 결정은 세계보건기구 의견을 반영해 임신...
한정애 "비혼모 출산 불법 아냐...복지부, 병원 지침 수정하라" 2020-11-19 11:28:48
것은 모자보건법에서 인공수정과 같은 보조생식술을 받을 수 있는 ‘난임’ 상태를 사실혼을 포함한 부부인 경우에만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의장은 "모자보건법은 모성 및 영유아 생명건강 보호하고 건전 자녀출산 양육 보호하기 위한 지원법이지 자발적 비혼모 규제 처벌하는 법이 아니다"며 "심지어 난임 치료...
한정애 "비혼모 출산 불법 아냐…불필요한 지침은 수정해야" 2020-11-19 11:10:17
"모자보건법도 자발적 비혼모를 규제하거나 처벌하지 않는 만큼 복지부는 불필요한 지침 수정을 위한 협의에 들어가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사유리는 지난 16일 일본에서 정자를 기증받아 아들을 출산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한국에서는 결혼한 사람만이 시험관이 가능하고 모든 게 불법이었다”고 밝힌 바 있다. 채선희...
한정애 "비혼모 출산 국내서도 불법 아니다" 2020-11-19 11:05:04
서명동의가 필요 없고, 모자보건법도 자발적 비혼모를 규제하거나 처벌하지 않는다"면서 "복지부는 불필요한 지침 수정을 위한 협의에 들어가 달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한 의장은 "법상 세부 규정이 없어 혼선이 있는 것도 문제"라며 "제도 개선이 필요한 사항은 국회에서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