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매년 10가구 중 1가구는 중산층 이상 '계층 상승'…1가구는 하락 2019-12-04 06:00:01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가구주가 무직인 경우보다 상용직인 경우에 중산층에 속할 가능성이 40%포인트 증가하고, 임시직인 경우는 20%포인트, 자영업자인 경우 14%포인트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구주 외에 취업자가 있는 가구는 그렇지 않은 가구보다 중산층에 속할 확률이 20∼21%포인트 높은...
소득 하위 10% 공적 이전소득, 근로소득 3배 상회(종합) 2019-11-24 11:32:32
"1인 가구 포함 전체 소득하위 10% 가구 기준 60∼65세 미만 가구주는 무직비율이 대략 50%중반이지만, 65∼69세 미만 가구주는 60%후반대, 70세를 넘어서면 70%후반대로 급등한다"면서 "더이상 일해서 돈을 버는 게 절대적으로 어려워지는 연령"이라고 덧붙였다. 3분기 소득 하위 10% 가구의 근로소득은 전년 동기보다 9.8...
내수 불황에 자영업 '빈곤의 나락'…사업소득 고작 월 89만원 2019-11-21 17:29:16
무직 55.4% △근로자 28.1% △자영업 16.5%로 바뀌었다. 창업자금이 충분치 않은 기존 1분위 가구가 새로 자영업에 뛰어들었다기보다 소득이 줄어든 2분위 자영업 가구가 한 계단 미끄러진 모양새란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비슷한 그림은 2분위에서도 나타났다. 근로자 가구 비중은 작년 3분기 58.5%에서 올 3분기 56.7%로...
소득격차 4년만에 줄었다…가계사업소득 역대 최대폭 감소(종합) 2019-11-21 15:00:21
고소득 가구의 소득은 증가폭이 저소득 가구에 못 미치면서 소득 격차가 개선됐다"고 말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정부가 일관성 있게 추진해온 소득주도성장, 포용성장의 효과가 3분기에는 본격화되고 있다"면서 "소득분배여건 개선에는 최근 고용회복과 함께 정부 정책효...
가계 소득격차 4년만에 줄어…하위소득 늘고 상위소득 제자리 2019-11-21 13:42:41
가구의 명목소득(2인 이상)은 월평균 487만6900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7% 늘었다. 명목소득이 늘면서 3분기 실질소득도 2.7% 늘어 8분기 연속 증가 행진을 이어갔다. 유형별로 보면 3분기 명목소득에서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 336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4.8% 늘었지만, 사업소득은 87만9800원으로 4.9% 감소했다....
홍남기 "소득주도성장·포용성장 효과 본격화됐다" 2019-11-21 13:27:21
확대, 일하는 저소득가구 근로장려금(EITC) 요건 완화, 최대지급액 인상 등의 정책을 통한 분배개선 효과가 3분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주장이다. 홍 부총리는 "1분위 내 고령 가구와 무직 가구가 이번에도 크게 증가했고, 온라인쇼핑 확대 등 생산·유통구조 변화로 자영업 등의 어려움도 계속돼 우리를...
홍남기 "3분기 소득주도성장·포용성장 효과 본격화" 2019-11-21 12:51:25
확대, 일하는 저소득가구에 대한 근로장려금(EITC) 요건 완화, 최대지급액 인상 등의 정책을 통한 분배개선 효과가 1∼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홍 부총리는 "1분위 내 고령 가구와 무직 가구가 이번에도 크게 증가했고, 온라인쇼핑 확대 등 생산·유통구조 변화로 자영업 등의...
하위 20% 증가에 소득격차 다소 개선…정부가 저소득가구 지탱 2019-11-21 12:17:18
최대였다. 고소득가구인 5분위(-12.6%)와 4분위(-10.0%)도 사업소득이 큰 폭으로 줄었다. 이러한 사업소득의 감소가 1분위 소득 증가를 제약한다는 게 통계청 분석이다. 박 과장은 "소비도 둔화하고 건설투자, 설비투자 등 전반적인 내수 여건이 어려운 상황이다 보니 자영 업황이 부진하고 전반적으로 자영업자들이 아래...
소득격차 4년만에 줄었다…가계사업소득 역대 최대폭 감소 2019-11-21 12:00:35
부진해 전반적으로 자영업자가 아래 분위로 이동하거나 무직 가구로 전환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산소득은 2만100원으로 2.5% 감소했고, 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가 무상으로 보조하는 공적이전소득을 포함한 이전소득은 60만300원으로 8.6% 늘었다. 비경상소득은 63.4% 줄어든 1만5천700원이었다....
[김동욱의 일본경제 워치] 지갑 닫은 日중·노년층 동향에 촉각 곤두세운 일본 정부 2019-09-04 10:51:56
악화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 40세 이상 중장년층 가구로 나타났습니다. 8월 통계에서 40~59세가 2.6포인트, 60세 이상이 3.7포인트 가량을 갉아먹었다는 설명입니다. 구체적으로 60세 이상의 심리악화가 심각했습니다. 일본 총무성의 가계조사에 따르면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무직 가구에선 매달 수입의 40%를 예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