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왕이 직접 쟁기 잡고 밭갈이…백성들 농사일 독려 2022-05-09 10:00:13
이때 마련됐다. 성종은 “먹는 것은 백성의 하늘이 되고, 농사는 정치의 근본이 된다. 그러나 추울 때에 갈고 더울 때에 김매어, 땀에 젖은 몸으로 해가 다하도록 부지런히 노동하니 농사가 가장 간고하다. 위에 있는 사람이 진실로 몸으로써 권하지 않으면, 누가 즐겨서 밭에서 일하고 힘써 거두겠는가”라는 내용의...
[테샛 공부합시다] 세금은 나라의 흥망성쇠에 큰 영향을 미쳤죠 2022-05-02 10:00:57
백성의 재산을 빼앗고 소작한 곡물을 수탈하는 등 권문세족의 횡포는 눈 뜨고 볼 수 없었습니다. 농민은 가혹한 부담에 스스로 노비가 됐습니다. 노비가 늘어나자 국가의 세금 수입은 줄어들고, 토지는 권문세족의 개인 재산이 되면서 고려는 점점 힘을 잃었습니다. 이를 개혁하기 위한 과정에서 이성계의 신흥 무인세력과...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나라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통하지 않으니…애민군주 세종, 독창성·탁월함 갖춘 한글 만들다 2022-04-18 10:00:38
근간은 백성의 생활 편의와 풍족함을 실현하는 일이었다. 《농사직설》을 편찬하고 측우기를 만들어 농사에 도움을 준 점, 조세를 감면해 ‘공평화’를 도모한 점에서 드러난다. 그뿐 아니라 의창, 혜민서, 활인서 등을 설치해 백성의 굶주림과 질병을 치료했다. 당시 이미 공노비에게 출산휴가를 주는 법까지 제정했다....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소금상인들이 화가 후원…학문과 예술의 전성시대 열려 2022-04-11 10:00:30
백성의 고통에 찬 울음소리 같구나. 나 비록 일개 하급관리에 지나지 않지만, 가지 하나 잎 하나에 모두 감정이 서려 있네”라는 비장한 시구가 적힌 묵죽도(墨竹圖)를 그린 관료였다. 하지만 흉년에 백성을 살리기 위해 상부의 허가 없이 관가의 창고를 열었다 쫓겨난 뒤론 전업화가가 됐다. 호구지책으로 사대부의 위엄을...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가렴주구 (苛斂誅求) 2022-04-04 10:00:13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의 재물을 억지로 빼앗는 것을 뜻한다.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도 가렴주구와 뜻이 같다. 민생도탄(民生塗炭) 도탄지고(塗炭之苦)도 가혹한 정치를 이르는 말이다. 공자는 “정(政)의 의미는 곧 정(正)”이라고 풀이했다. 자신을 바로잡는 일이 남을...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조선시대 마을마다 글 읽는 소리 낭자하고…양반 문중마을로 숨는 사람 늘어난 까닭은 2022-04-04 10:00:10
백성의 관계는 계급적 관계가 아니라 부모와 자식 관계로 상정돼 조세가 최대한 공정하고 가벼워야 한다는 ‘겉치레’마저 사라져버렸다. 인조는 이 같은 세금 면제 정책을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1626년 일반인과 양반층을 구별하는 새로운 호적을 마련했고, 이에 따른 호패를 발급했다. 후금과의 전운이 감도는 시기에...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정치의 근본은 '백성의 유복한 생활'임을 안 세종…농업 기술개발에 힘쓰고 세금 공평하게 내게 했죠 2022-03-28 10:00:53
세종은 전쟁을 치르면서 군사장비를 만들고, 무기를 개량했다. 1448년 신기전이 발명됐는데, 한 번에 15발씩 연속으로 100발을 발사할 수 있고 사거리가 1000m 이상인 신병기였다. 수레 등으로 운반이 가능한 조립식 대포(총통 완구)를 만들고 화포 주조와 화약 사용 방법, 규격 등을 그린 《총통등록》도 발간했다. 해전을...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집현전 설치해 젊고 뛰어난 학자들 등용, 건국세력 대체…정치의 세대교체 추진했죠 2022-03-21 10:00:05
추진했으나 실패로 끝나 일부 백성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 또한 13세기 말부터 시작된 왜구가 근절되지 않자, 비록 상왕인 태종의 정책이었지만, 즉위 해인 1419년엔 이종무를 파병해 대마도를 정벌했다. 이어 1426년 삼포(부산, 창원, 울산)를 개항했고, 1443년에는 왜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정책으로 선회하는 등 강온양면...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북한산, 인왕산, 북악산에 둘러 쌓인 한양…무역·개방적 국제도시로 발돋움엔 한계 있어 2022-03-14 10:00:01
중건하느라 국가 재정을 파탄 내고, 백성의 원성으로 자신이 몰락했을 정도였다. 그렇다면 신수도 건설은 엄청난 경제력을 투자하고, 수많은 노동력을 동원한 대역사였음이 분명하다. 수도는 실용성·국제 질서·국가 미래 고려해야조선 건국 당시는 정변한 직후라 민심이 불안했고, 생활도 불안정했다. 왜구는 수도를 한창...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혁명세력들, 천연 요새인 한양으로 천도 단행…성리학 이상 실현할 공간의 재구성 필요했죠 2022-03-07 10:00:33
선택은 국가의 흥망성쇠와 직결된다. 백성의 생존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다. 세계 역사에는 수도를 잘못 선택해 멸망한 나라들이 많다. 우리 역사에서도 이러한 예들이 있다. 이성계, 정도전, 승려 무학 등 조선을 건설한 이들의 천도 결정은 조선의 백성과 역사, 현재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신세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