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빨대·동전 등 '깨알지시' 맛들인 트럼프…'민생엔 손놔' 지적도 2025-02-15 19:59:24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조류인플루엔자 등 요인으로 미국의 계란 가격은 최근 1개월 사이에 15.2% 올랐으며, 1년 전과 비교하면 53% 치솟았다. 올해 1월의 계란 가격 상승률은 2015년 6월 이래 거의 10년만에 최고치였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에너지 및 식품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
여캠 '한갱' 인기 이 정도였어?…악재에도 돈 쓸어담았다 [한경우의 케이스스터디] 2025-02-15 15:11:44
최근 분식회계 의혹이 불거져 상승분의 상당 부분을 반납했는데도, 증권가에선 잇따라 목표주가를 상향하며 ‘K-여캠’의 글로벌 흥행을 점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4일 SOOP는 10만7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달 들어 33.87% 상승했다. 이 기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69억5900만원어치와 148억2700만원어치 SOOP...
"지금 사두면 돈 번다"…뜨거운 투자 열기에 '초유의 사태' 2025-02-15 12:42:02
금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박태형 우리은행 TCE시그니처센터 PB는 “중국·러시아·인도 등 중앙은행이 미국 국채 보유량을 줄이고 금 보유량을 늘린 게 금값을 끌어올린 요인”이라며 “글로벌 투자은행(IB)들도 금값이 조만간 트로이온스당 30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최혜숙 하나은행...
"신입은 안 뽑나요?"…4년만 최대폭 하락한 청년 고용률 2025-02-15 08:00:02
1월 대비 0.1%p 상승했으니까 나쁘지 않게 보이죠. 하지만 핵심은 그 밑줄입니다. 전체 고용률은 늘었는데 청년층 고용률은 오히려 빠졌습니다. 하락폭은 1.5%p입니다. 그것도 2021년 1월 이후 4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빠졌습니다. 2021년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시절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지난 1월 청년 고용시장 불안이...
뉴욕증시, 관세·경기 불확실성 지속에 혼조…다우 0.4%↓(종합) 2025-02-15 06:54:39
지수는 이날 신고점 경신을 코앞에 두고 상승 동력을 잃은 채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이 지속된 가운데 이날 발표된 1월 미국의 소매판매 지표가 예상 밖으로 저조하게 나타나면서 경기 관련 불확실성을 키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
신상 슈퍼카에 24K 도금…독기 품은 샤오미 '대박' [조아라의 차이나스톡] 2025-02-15 06:00:05
년 사이 샤오미의 주가 상승률은 256%에 육박해 같은 기간 엔비디아(81.81%), 테슬라(82.87%)를 큰 폭으로 앞섰다. 이날 시가총액은 1조1200억홍콩달러(약 208조원)를 돌파했다. 전날 진행된 한 라이브 방송에서 레이 회장은 주주들에게 "(주식으로)돈을 벌었다면 투자에 대한 당연한 보답"이라며 "다만 주가는 거시경제 등...
美 1월 소매판매 0.9% 하락 2025-02-14 23:25:15
0.3%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소매판매지수는 전체 소비 중 상품 판매 실적을 주로 집계하는 속보치 통계로, 미국 경제의 중추인 소비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여겨진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기준금리 인하 또는 동결 등 통화 신용 정책을 펼 때 물가 고용과 함께 소매판매지수도 고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외 플랫폼 수익 개선" 키다리스튜디오, 5분기 연속 흑자 2025-02-14 17:53:34
호실적의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또한 온·오프라인 굿즈 사업도 매출 상승에 기여했다. 오프라인 팝업 스토어와 한정판 굿즈의 성공으로 2024년 굿즈 매출은 전년 대비 약 300% 증가했으며, 해외 판매 채널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IP(지식재산, Intellectual Property)...
[임태형의 EU를 향한 시선] 유럽 경제와 독일 총선 2025-02-14 17:48:15
있다. 독일 경제 둔화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에너지 가격 상승과 생산 비용 증가, 제조업 경쟁력 약화, 글로벌 수요 감소와 중국과의 경쟁 심화 등의 원인이 독일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정치적 요인도 빠지지 않는다. 사회민주당(SPD), 녹색당(GRUNE), 자유민주당(FDP)의 ‘신호등 연정’(각 당의 색상이 빨강, 노랑,...
반도체 소부장주, CXL 관련주와 유리기판주 주목 2025-02-14 16:22:49
- 낸드 가격 상승 반전 및 DDR4, 5 가격 하락 멈춤 현상이 삼성전자와 레거시 반도체 소부장 종목들의 밸류에이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삼성전자 12개월 선행 PBR이 0.89배로 역사적 하단에 위치해 있어 목표가 최하단인 7만 원 회복 무난할 것으로 전망.● 반도체 소부장주, CXL 관련주와 유리기판주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