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5월호 웹용] [과학에서 산업찾기=커지는 암 예방 백신 시장, 주목할 임상시험은?] 2022-05-04 16:25:34
구성돼 있는데요, 프라이밍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를, 부스팅 백신은 변형된 백시니아바이러스를 이용합니다. 누스-209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209개의 종양 신생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한다는 점입니다. 엘리사 스카셀리 누스컴 최고과학책임자(CSO)는 “사람마다 각 신생 항원에 반응하는 정도가 다르다”며 “이...
"美서 코로나19 새로운 확산 이끄는 변이는 'BA.2.12.1'" 2022-05-04 10:15:22
은 16.7%에서 36.5%로 확대됐다. BA.2.12.1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코로나19의 재확산을 이끄는 신종 변이 BA.4, BA.5와 함께 과학자들이 눈여겨 보고 있는 변이다. 이들 변이 3종은 모두 BA.2보다 전파력에서 우월성을 갖고 있다. 특히 BA.4와 BA.5는 최근 남아공에서 이뤄진 연구에서 백신은 물론 오미크론 변이(BA.1)에...
"새봄 이기는 겨울은 없어…이젠 '코로나 패러독스' 이뤄야죠" 2022-04-10 17:24:27
문제가 생긴다고 강조했다. 경영 대가 짐 콜린스의 말을 인용해 “위대함의 가장 큰 적은 좋음이라고 했는데, 이대로가 좋다고 여기니 위대함으로 못 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3년째 이어지는 코로나 팬데믹이 인류에게 어떤 점을 시사할까요. “인간의 오만을 깨닫게 하려는 시그널이 아닌가 조심스럽게 생각합니다....
잘 낫지 않는 세균 감염, 다 이유가 있었다 2022-03-24 18:07:08
발견은 끈질긴 세균도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는 새로운 항균제나 백신 개발의 표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매슈 멀비 병리학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출판부가 발행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 '핵산 연구'(Nucleic Acids Research)에 논문으로 실렸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인제대, 약물 나오는 콘택트렌즈…전남대, 친환경 소금 제조기술 개발 2022-03-23 15:27:15
탈피해 고부가가치 친환경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지역 내 고용창출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김두운 전남대 교수 연구팀은 항바이러스 소재 기술기업 바이오쓰리에스와 코로나 바이러스 중화항체 대체용 단백질 상품화에 나섰다. 연구팀은 바이오쓰리에스와 2억원 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주니어 생글 기자가 간다]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우리 일상 생글 기자가 취재했어요! 2022-03-21 00:29:43
못 가는 생활, 언제까지 계속될까 차시현 주니어 생글 기자 아산 신창초 6학년 2020년 초 코로나로 개학이 미뤄지면서 거의 두 달 동안 학교에 가지 못했다. 5월이 돼서야 학교에 갈 수 있었다. 그사이 학교생활은 많이 달라졌다. 친구들과 맘 놓고 얘기할 수 없었고, 밥도 혼자서 조용히 먹어야 했다. 단체로 모이는...
식초에 발을 담궈라? 난무하는 `백신 해독법` [김수진의 5분 건강투자] 2022-03-12 10:37:00
있을까? 효과를 따지기 전 짚고 넘어갈 전제가 있다. 백신은 해독의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다. 물론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은 기타 다른 백신에 비해 이상반응(근육통 등 가벼운 이상반응 모두 포함)을 겪는 사람이 많은 편이다. 백신을 접종한 사람 253명 중 79%에 달하는 200명에게서 근육통, 피로감, 발열, 식욕부진, 구토...
SK바사, 영유아 장티푸스백신 임상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2022-02-28 09:28:02
역할을 할 것이란 설명이다. NBP618은 SK바이오사이언스와 IVI가 개발하고 있는 장티푸스 백신이다. 접합백신 생산기술을 적용했다. 이 기술은 장티푸스균의 다당류를 디프테리아 독소와 같은 운반단백질에 접합한 형태다. 지금까지 폐렴구균백신 등에 활용된 플랫폼 기술이다. 만 5세 미만에서는 효과가 없는 기존...
오미크론이 정말 '코로나 팬데믹' 끝낼 수 있을까 2022-02-17 17:46:59
삼아 진화할 거로 나타났다. 하지만 백신을 여러 차례 맞은 접종자 그룹에선, 백신의 효능을 회피하는 돌연변이가 더 큰 영향을 미칠 거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특정 돌연변이 조합이 대규모로 확산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고 연구팀은 전망했다. 웨이 교수팀은 오미크론 변이만 집중적으로 분석한 별도의 연구 결과를 저널...
코로나19는 계절독감일까 [김수진의 5분 건강투자] 2022-02-12 09:00:00
대한백신학회 부회장은 "30대 이하 건강한 사람에게는 독감이 아닌 감기 수준이지만, 60대 이상에서는 `죽음의 천사`가 될 수 있다"며 역설했다. 참고로 감기는 인플루엔자인 독감보다 증상이 가볍고, 치명률도 낮다. 60대 이상은 각종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크고, 면역력이 낮은 편이라 젊은층은 감기로 가볍게 넘어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