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내 첫 자궁이식 성공…불임 환자 '희망' 2023-11-17 15:51:09
이식받으면 임신·출산이 가능하다. 자궁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는 임신을 위해 지난 2021년 삼성서울병원을 찾았다. 환자의 적극적인 의지에 이식팀은 보건복지부 검토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사를 받아 임상연구 형태로 수술을 시도하게 됐다. 막대한 재원이 필요했는데, 뜻 있는 후원자들이 기부로 힘을 더했다....
엔케이맥스, SITC서 ‘HER2 CAR-SNK02’ 비임상 결과 발표 2023-11-06 10:06:13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사람의 위암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서 항종양 활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해 생체내에서도 장신간 생존능력과 항암효과를 확인했다. 김용만 엔케이맥스 연구소장은 “HER2 CAR-SNK02의 치료효과와 배양, 냉동보존에 대한 기술력 모두에서 잠재력을 확인했다”며 “트라스트주맙의 효과가 제한적...
엔케이맥스, 'HER2 CAR-SNK02' 비임상 결과 발표…기존 치료제 한계 극복 2023-11-06 09:46:08
사람의 위암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서 항종양 활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해 생체내에서도 장신간 생존능력과 항암효과를 확인했다. 김용만 엔케이맥스 연구소장은 "HER2 CAR-SNK02의 치료효과와 배양·냉동보존에 대한 기술력 모두에서 잠재력을 확인했다"며 "특히 트라스트주맙의 효과가 제한적인 HER2 발현이 낮은...
두산연강외과학술상 수상자에 김종만 교수 등 2명 2023-11-05 11:37:41
시상식에서 삼성서울병원 이식외과 김종만 교수에게 상금 3천만원과 상패를 수여했다고 5일 밝혔다. 김 교수는 생체 간이식 이후 기증자의 안정성과 지속적인 추적 관찰 필요성을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두산연강재단은 또 외과학 발전에 기여한 단국대병원 권역외상센터 외상외과 조정래 조교수에게도 상금 1천만원과...
테라펙스, 비소세포폐암 항암제 유럽종양학회 포스터 발표 2023-10-24 15:36:36
암이식 생쥐(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생체 내(In vivo) 선택성, 뇌 투과율 등에 대한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테라펙스에 따르면 EGFR 야생형 종양 이식 마우스 모델은 EGFR 돌연변이 종양 이식 마우스 모델과 달리 약물의 종양 생장 억제 효능이 약할수록 EGFR 정상 세포 대비 돌연변이 종양에 대한 선택성을 가진다. EGFR...
中, '기업 벌금' 또 완화…"경영환경 개선·경영비용 저감" 2023-10-21 13:10:11
이식을 하는 기관의 자격 인증 심사·관리와 등록 체계, 생체 이식 관리 강화, '무자격 이식'이나 지역을 넘나드는 장기 조달, 이식 데이터 위조 등 위법 행위에 대한 처벌 규정 등이 담겼다. 국무원은 "이번 개정을 계기로 전 과정에 걸친 추적·관리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며 "장기 조달에 관한 윤리적 심사를...
생체 간이식, 개복 안해도 가능…"복강경, 성공적" [건강팁스터] 2023-10-18 16:11:20
차이가 없습니다(8~10시간). 과거의 생체 간이식 수술에서는 복강경을 사용한다고 해도 기증자에게만 가능했는데, 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기증자와 수혜자 모두가 가능한 수준이 됐습니다. 생체 복강경 간이식은 외과 수술에서도 가장 고난도로 꼽혀 선진국에서도 시행하는 병원이 많지 않습니다. 간이식 수준이 세계적...
[사이테크+] 촉각 느끼는 '감각신경 의족' 개발…"자연스러운 보행 가능" 2023-10-12 03:00:01
다중 접촉 신경 커프 전극 센서(C-FINE)를 이식, 의족을 착용하고 걸을 때 발바닥에 가해지는 촉각과 압력 정보가 블루투스를 통해 이식된 전극 센서를 거쳐 뇌로 전달되도록 한 감각신경 의족을 개발했다. 이어 감각신경 의족 시스템을 정강이뼈 아래가 절단된 환자 3명에게 적용한 결과, 환자들은 허벅지에 삽입된 센서...
테라펙스, 유럽종양학회서 비소세포폐암藥 전임상 연구 발표 2023-10-10 09:31:58
TRX-221의 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타그리소 내성 폐암 환자유래 종양을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서 확인된 TRX-221의 용량 의존적 항암 효능과 뇌혈관장벽(BBB) 투과성을 입증했다. 테라펙스는 이번 AACR2023에서 TRX-221의 전임상 후속 연구 결과를 공유할 계획이다. TRX-221의 약동학(PK) 및 약력학(PD) 모델링, EGFR...
3D 바이오 프린팅 놀랍네 !…이젠 뇌·심장까지 만들어요 2023-10-06 18:07:34
세포 등 생체물질을 재료로 사용해 뇌, 심장 등의 장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주 먼 미래 이야기는 아닙니다. 쥐의 머리에 이식한 3D 프린팅 뇌가 신호를 주고받는 데 성공하고, 인공 심장이 3개월간 쉬지 않고 뛰는 연구 결과가 속속 보고되고 있습니다. 지난 4일 세계 저명한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