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해외 고립 원양어선원 태운 아라온호 내일 광양항 입항 2020-04-28 11:00:05
서남극 스웨이트 빙하에 접근해 관측망을 설치하고, 과거 빙하의 움직임 복원 연구를 위한 퇴적물과 바닷물을 채집했다. 질란디아-남극 맨틀의 경계 확인을 위한 해저 시료를 채취하고, 로스해 해양보호구역의 크릴 분포와 이를 먹이로 하는 아델리펭귄에 대한 연구도 했다. 특히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일부 연구자의 경우...
얼음 덮인 남극, 9천만년 전 공룡시대 땐 울창한 숲이었다 2020-04-02 13:13:47
2017년 서남극 파인섬 빙하 인근 해저에 시추공을 박아 뽑아올린 퇴적물에서 색깔부터 다른 것들과 확연히 차이가 나는 숲 토양층을 발견했으며,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 토양 전체로 뻐어나간 나무 뿌리와 꽃가루, 포자, 현화(顯花)식물 잔해 등을 확인했다. 이 화석들은 보존 상태가 아주 양호해 개별 세포구조까지...
극지연구소, 남극의 빙붕 역할 세계 최초 규명 2020-03-24 15:05:58
스웨덴 국제공동연구팀은 서남극 아문젠해 겟츠(Getz) 빙붕에서 바다에 잠겨 있는 두께 300~400m의 부분이 외부의 바닷물을 차단하는 현상을 관측했다. 남극대륙 주변의 심해는 지구의 기온을 400℃ 높일 수 있는 열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활용해 겟츠 빙붕...
동남극 덴먼 빙하 22년간 5㎞ 후퇴…해수면 상승 실질적 위협 2020-03-24 11:38:01
서남극에 비해 덜 위협을 받는 것으로 생각돼 왔다. 그러나 덴먼 빙하 등에 대한 정밀조사가 이뤄지면서 동남극 역시 지구 온난화의 위협을 받고 있다는 증거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UCI에 따르면 덴먼 빙하는 1979년부터 2017년 사이 누적 얼음 손실량이 총 2천680억t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CI 지구시스템과학과...
극지연구소, 남극 빙하 지키는 빙붕 역할 밝혀내 2020-03-24 10:50:50
국제공동연구팀은 서남극 아문젠해 겟츠 빙붕에서 바다에 잠긴 두께 300∼400m의 빙붕이 외부 바닷물을 차단하는 현상을 관측했다. 연구팀은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활용해 겟츠 빙붕 주변 바다에서 2년여에 걸쳐 수심에 따른 유속과 염분 변화 등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빙붕에 가까워질수록 남극대륙으로 흐르는 따뜻한...
극지연구소, 남극 지형도 제작…"빙하 아래까지 고해상도로" 2019-12-13 01:00:01
침투할 수 있게 되고 빙하 후퇴 속도가 빨라져 서남극 빙하의 붕괴를 막을 수 없게 된다고 연구팀은 경고했다. 국내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는 다음 달 스웨이트 빙하와 인근 바다를 탐사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해수부 '서남극 스웨이트 빙하 돌발붕괴의 기작규명 및 해수면 상승 영향 연구'의 하나로 수행됐으며,...
극지연구소 "적도 라니냐 남극 동물플랑크톤 겨울잠 깨운다" 2019-07-23 14:44:01
서남극 아문젠해 동물플랑크톤의 수직 이동을 분석해 이상기후 현상 등과의 연관성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고 밝혔다. 연구원들은 크릴과 같은 남극의 동물플랑크톤이 여름철에 바다 표층에서 식물플랑크톤을 먹고 영양분을 축적한 다음 수백 m 아래로 내려가 겨울을 보내는데, 저위도 이상기후 현상과 남극 기압의 세기에...
남극빙하 녹으면 해수면 얼마나 오르나…해수부, 국제 연구 참여 2019-05-30 11:00:07
"서남극 빙상을 지탱하는 스웨이츠 빙하의 얼음이 빠르게 녹게 되면 둑이 무너지듯 상류의 대륙빙하 붕괴가 가속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해마다 남극 전체에서 사라지는 1천300억t의 얼음 가운데 절반 이상이 서남극에서 나온 것으로 관측됐다. 서남극의 빙상이 전부 녹으면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5.2m 상승할 것으로...
남극 빙붕서 뉴욕시 2배 크기 빙산 붕괴 직전…"온난화와 무관" 2019-04-08 11:01:45
서남극의 파인 아일랜드 빙붕에서는 최근 몇 년간 거대한 빙산이 떨어져 나가는 것이 관측됐으며 브런트 빙붕 서쪽의 라슨C 빙붕도 상당한 얼음이 빙산으로 분리됐다. 연구팀은 이와함께 브런트 빙붕에서 이전에도 대규모 빙산 분리가 이뤄진 것으로 추정했다. 탐험가 어니스트 섀클턴이 1915년 브런트 빙붕을 탐험할 때...
남극 여름 바다 탄소순환 원리 규명…아라온호 덕분 2019-02-27 12:00:37
서남극 해 아문센해역에선 지구상의 다른 바다에선 보기 드문 현상이 일어난다. 플랑크톤이 사라지면서 탄소가 대부분 대기로 방출하는데, 이는 탄소가 심해로 흘러 들어가는 일반 해양과 비교된다. 탄소를 대기로 보내는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2010∼2014년 사이 우리나라 쇄빙선 아라온호를 이용해 3차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