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태양계 끝 뉴허라이즌스호, 지구~태양 50배 '이정표' 통과 2021-04-20 16:44:33
찍어 지구로 전송했다. 성간우주에 있는 보이저1호는 태양에서 229억㎞(152 AU), 뉴허라이즌스호에서는 180억㎞ 떨어져 있어 뉴허라이즌스호가 있는 곳에서는 당연히 보이지 않지만 전파 신호로 방향을 정확히 계산해 촬영했다. 이처럼 먼 곳에서 더 먼 곳의 우주 이미지를 촬영해 전송한 것도 처음이라고 한다. 주변의...
외계 혜성 '보리소프' 태양 이외 다른 별에는 접근 않은 듯 2021-03-31 16:39:47
두 번째로 확인된 성간(星間) 천체인 '보리소프'(2I/Borisov)가 지금까지 관측된 혜성 중 가장 원시적인 상태의 물질을 간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2019년 말 태양을 스쳐 지나가기 전까지 어떤 별에도 근접하지 않아 혜성을 형성한 가스와 먼지 구름이 변형되지 않은 채 원대 그대로인 것으로 추정됐다....
정체성 논란 오우무아무아 "질소 얼음으로 된 행성 파편" 2021-03-18 11:42:14
태양계에서 처음으로 관측된 성간(星間·interstella) 천체 '오우무아무아'(Oumuamua)는 명왕성 표면처럼 질소 얼음으로 된 외계 행성의 잔해일 가능성이 높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천체 형태도 당초 알려졌던 길쭉한 시가 모양이 아니라 납작한 쿠키에 가깝다고 했다. 오우무아무아는 혜성처럼 태양...
'너무 멀어 힘들었나'…태양 향해 오다 목성서 쉬는 혜성 2021-02-26 15:02:30
안쪽으로 들어온 뒤에는 태양에 너무 가까이 접근해 완전히 해체되거나 안쪽에 행성과 충돌할 수 있으며, 목성에 다시 가까이 다가갔다가 태양계 밖으로 튕겨 나갈 수 있다. LD2는 시뮬레이션에서 약 50만 년 내에 태양계 밖으로 쫓겨나 성간 혜성이 될 가능성이 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omns@yna.co.kr (끝)...
'오우무아무아는 지적생명체 인공물' 가설 안 접는다 2021-01-04 16:39:28
지난 2017년 태양계를 스쳐 지나간 성간 천체 '오우무아무아(Oumuamua)'에 대해 외계 고등생명체가 만들어 보낸 인공물이라는 주장을 폈던 하버드대 교수가 곧 출간될 새 저서를 통해 외계 고등생명체의 우주 폐기물일 가능성을 다시 제기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와 '뉴욕 포스트' 등에 따르면...
"지구, 고대 초신성 폭발이 남긴 대형 구름 속 지나는 중" 2020-08-25 16:03:27
전 초신성 폭발로 만들어진 성간물질에 남아있는 잔해와 겹쳤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했다. LIC가 오래 전에 이뤄진 희미한 초신성 잔해는 아니라는 것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먼지 입자에 붙잡힌 철-60 동위원소가 성간물질 사이에 떠돈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는데, "(그럴 경우) 철-60 동위원소가 훨씬 더 오래된...
첫 외계 인터스텔라 천체 오우무아무아 "수소 얼음 아니다" 2020-08-18 11:03:18
인류가 태양계에서 발견한 최초의 외계 성간(인터스텔라) 천체 '오우무아무아(Oumuamua)'가 사실 수소 얼음이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존 학설을 뒤집는 주장이다. 오우무아무아는 2017년 미국 하와이대 팬스타즈 연구팀이 발견한 첫 외계(태양계 바깥에서 온) 성간 천체다. 오우무아무아는 하와이어로...
우주 생명체 '씨앗' 탄소 뿌리고 스러지는 백색왜성 2020-07-07 09:18:21
합성해 표면층으로 보내면 항성풍을 통해 성간 매질로 확산하게 된다면서 탄소가 풍부한 표면층 물질이 아주 서서히 날아가 나중에 백색왜성이 될 핵의 질량이 눈에 띄게 늘어났을 것으로 분석했다. 시종 질량 관계에서 벗어나는 백색왜성의 큰 질량이 별의 탄소 합성을 나타내는 증거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별의 질량이...
'초신성 폭발 임박설' 베텔게우스 광도 급감은 항성흑점 영향 2020-06-29 17:01:00
있어 성간 먼지를 연구하는 데 이용돼 왔다. 약 500광년 밖의 베텔게우스는 항성의 진화에서 마지막 단계에 있는 적색 초거성으로, 질량은 태양의 약 20배이지만 크기는 무려 1천배에 달한다. 태양계로 따지면 항성의 반경이 목성이 있는 곳에 달할 정도 크지만, 질량은 상대적으로 적어 중력이 약하다. 이 때문에 별이...
'초신성' 잔해에서 훼손되지 않은 물질 세계 첫 발견 2020-06-19 12:22:10
일반 성간물질에서 철 원자의 기체상태가 통상 1% 미만이라는 점과 상이하다. 구본철 교수는 "순수 성변물질을 발견한 것은 선조성(초신성 이전의 상태)에서 방출된 물질 본연의 상태, 특히 기체의 화학 조성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구 교수는 또 "이번 연구 결과는 성변물질 덩어리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