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면역세포도 강화 훈련 하면 공격력 세질 수 있다" 2021-07-01 17:14:38
세포만 해도 전장(全長) 1.8m가 넘는 DNA가 작은 세포핵 내에 저장되려면 염색체에 단단히 싸여야 한다. DNA에선 선택된 영역만 외부에 노출되고, 접근이 가능한 이 영역의 유전자만 감염에 맞서 싸울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설명한다. 그런데 대식세포에 외부 자극을 가하면 굳게 닫혔던 DNA 영역이 다시 열렸다. 바이러스...
[CEO가 만난 CEO] “임상 실패 두 번은 없다”… 혁신신약 성공스토리 쓰는 올리패스 2021-06-24 09:28:02
ASO가 핀셋처럼 특정 유전자를 표적화하는 방식이죠. ASO는 세포핵 속에 있는 ‘전구체 mRNA’(pre-mRNA)나 세포질에 있는 mRNA와 결합합니다. 이 과정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못 만들도록 하는 것이죠. 이 같은 업계에서 정 대표를 높게 평가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전혀 보지 못한 기술...
獨 연구진 "혈전은 AZ 백신구조 탓" vs "가설에 불과" 2021-05-27 18:00:19
싼 세포막, DNA를 담은 가장 안쪽의 세포핵, 핵과 막 사이의 세포질로 구성된다. 코로나19 백신은 각각 이들 세포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 다르다. mRNA 백신은 세포질까지만 들어가 단백질을 만든다. 핵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반면 바이러스 벡터 백신은 DNA를 활용하기 때문에 세포 핵까지 들어간다. 핵에서 단백질을...
독일 연구진 "AZ·얀센 백신 혈전 연관성 찾았다" 2021-05-27 11:31:41
아닌 세포핵(nucleus)으로 보내진다. 세포핵으로 주입되면 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부분이 떨어져나와 돌연변이 버전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돌연변이 단백질들은 세포막에 결합하지 못하고 대신 세포에 의해 신체에 분비되는데, 이것이 약 10만명당 1명꼴로 혈전을 유발한다는 설명이다. 반면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독일 연구진 "AZ·얀센 백신, 혈전 발생 원인 찾았다" 2021-05-27 09:44:57
아닌 세포핵(nucleus)으로 보내진다. 세포핵으로 주입되면 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부분이 떨어져나와 돌연변이 버전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돌연변이 단백질들은 세포막에 결합하지 못하고 대신 세포에 의해 신체에 분비되는데, 이것이 약 10만 명당 1명꼴로 혈전을 유발한다는 설명이다. 반면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독일 연구진 "AZ·얀센 백신, 혈전 유발 연관성 찾았다" 2021-05-27 09:23:45
아닌 세포핵(nucleus)으로 보내진다. 세포핵으로 주입되면 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부분이 떨어져나와 돌연변이 버전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돌연변이 단백질들은 세포막에 결합하지 못하고 대신 세포에 의해 신체에 분비되는데, 이것이 약 10만명당 1명꼴로 혈전을 유발한다는 설명이다. 반면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 키와 수명에도 영향 미친다 2021-05-21 17:26:03
= 인간 유전체를 구성하는 DNA의 99.9%는 세포핵에 들어 있다. 세포핵 DNA엔 우리 몸 안에서 여러 가지 생리 기능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생성 코드뿐 아니라 사람마다 자신만의 특징을 만드는 유전자 코드도 포함된다. 그런가 하면 인간의 세포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도 별도의 DNA를 갖고 있다. 전체 유전체의...
'면역세포 언어' 풀어 보니, 병이 왜 생기는지도 알겠네 2021-05-13 17:26:09
병원성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침입자에 맞서 어떤 유전자를 켤지를 세포핵에 알린다. 여기에 단어처럼 쓰이는 게 바로 면역세포의 '신호 코돈(signaling codons)'이다. 코돈은 유전정보의 최소 단위를 말한다. 각각의 신호 코돈은 DNA 결합 단백질의 연속 작용으로 구성되고, 이 단백질은 DNA와 짝을 지어 적절한...
MIT 연구진, 암세포 전이 과정 최초 규명…스스로 물렁해져 혈관벽 뚫고 다른 장기 침투 2021-04-30 17:18:20
20%, 20%가량 부드러워지는 것을 확인했다. 세포핵은 32%, 21%, 25% 정도 물렁해졌다. 또 암세포가 원래 있던 조직에서 이동을 시작한 지 2~3시간 후부터 물렁해지기 시작했으며, 이 상태는 24시간 정도 유지됐다. 연구에 참여한 안야 로버츠 MIT 연구원은 “이렇게 물렁해진 세포는 하루 이상 멀리 있는 조직까지 이동할...
"비타민D 결핍, 근육 기능 떨어질 수도" 2021-04-19 10:12:38
부분으로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소' 역할을 수행하며 세포핵과는 별도로 독자적인 DNA를 지니고 있다. 비타민D는 태양의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통해 체내에서 합성되기 때문에 '햇볕 비타민'(sunshine vitamin)이라는 별명이 붙어있다. 이를 통해 우리 몸에 필요한 비타민D의 90%가 공급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