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김희선 효과' 1200억 대박 나더니…판 뒤집혔다 2025-02-10 16:28:17
업체 에이피알이 작년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다.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 제품 모두가 잘 팔린 덕분이다. 에이피알이 스타트업에서 시가총액 2조가 훌쩍 넘는 글로벌 뷰티테크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 3위 자리가 바뀔 것으로 보인다. 기존 국내 3위 뷰티 업체 애경산업 매출을 넘어서면서다. 에이피알은...
세계 뒤흔든 딥시크 쇼크, 한국형 AI 모델에 '힌트' 주다 2025-02-10 16:17:45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전 세계를 뒤흔들었다. 짧은 시간에 저비용으로 오픈AI의 GPT-4o, o1에 맞먹는 AI 모델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중국 무역 제재로 엔비디아의 H100과 같은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쓸 수 없는 상황에서 알고리즘 개선, 모델 최적화 등을 통해 성능을 끌어올렸다....
오픈AI 손잡은 카카오…AI 에이전트 '카나나' 올해 내놓는다 2025-02-10 15:59:05
업 확대는 업계 영향력을 키울 지름길로 평가받는다. 최근 올트먼 CEO가 한국 일본 인도 등을 잇달아 방문한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오픈AI는 4일 국내 기업과 스타트업 개발자 100명을 대상으로 비공개 워크숍 ‘빌더 랩’도 열었다. 오픈AI는 최근 소프트뱅크와 생성형 AI 합작사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일본 내 자사 LLM...
"14만원에 한 편 제작"…AI, 영화판 흔든다 2025-02-10 15:56:47
분석이 나온다.◇AI 영상 솔루션 시나몬, 110억 투자 유치10일 업계에 따르면 3차원(3D) 기반 AI 영상 솔루션 ‘시네브이(CINEV)’를 개발한 시나몬은 11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시나몬은 AI와 3D 기술을 하이브리드로 활용하는 영상 제작 스타트업이다. 2022년 네이버웹툰, 스노우, 네이버 제트 등 네이버 계...
'SI 빅3' 삼성SDS·LG CNS·SK C&C…이젠 AI 서비스 전쟁 2025-02-10 15:53:25
부분으로 지적된다. 삼성SDS의 지난 3분기 누적 매출 중 삼성전자 및 관계사 비중은 68%에 이른다. 같은 기간 LG CNS의 매출 중 LG전자·화학·유플러스 3개사 비중만 52.5%다. 스타트업 업계 관계자는 “SI기업은 AI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대형 소프트웨어(SW) 기업”이라며 “그룹사 의존도를 줄이고...
'가이아 아시아 로드쇼' 오늘 개최… AI와 크립토 융합 조명 2025-02-10 11:25:39
가이아 최고운영책임(COO), 프레스토 랩스의 해리슨 박, 블레이크 정 IOST CEO, 제이슨 박 TEB 파트너십 총괄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에서 심도 있는 논의가 펼쳐질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AI 및 블록체인 개발자, 스타트업 창업자, 투자자, 기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선착순 100명에게 기념품이 증정된다....
채용시장 '한파'…"핵심인재, 알음알음 추천받아 뽑는다" [김대영의 노무스쿨] 2025-02-10 11:19:17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중소기업·스타트업, 신규 채용으로 활로 모색반면 중소기업·스타트업에선 채용을 축소한다는 응답이 304명 가운데 21.4%에 그쳤다. 대기업의 경우 불확실성이 큰 경제 상황을 고려해 기존 인력을 활용해 안정성을 확보·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비해 중소기업·스타트업은...
"택배비 수준으로 1시간 내 배송"…패닉 빠진 퀵서비스 업계 2025-02-10 10:23:15
업계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배송 시간은 획기적으로 줄이는 대신, 비용은 택배비 수준으로 저렴하게 받는 서비스가 도입되면서다. 배송 테크 스타트업 체인로지스는 자사 서비스 두발히어로의 누적 배송 건수가 1000만 건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체인로지스는 두발히어로의 성장에 힘입어 2024년 연간 매출 123억...
제2의 스푸트니크 쇼크, 중국 AI[테크트렌드] 2025-02-10 09:44:41
바이촨즈넝, 링이완우, 제웨싱천 등의 스타트업과 4대 천왕으로 불리는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틱톡(바이트댄스)의 저력은 딥시크보다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딥시크 사례는 소수의 미국 빅테크 독주 일변도인 글로벌 AI 시장의 구도가 붕괴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중국 AI...
AI 가격 혁명의 방아쇠인가 vs 버블론 점화할 기폭제인가 [딥시크, 딥쇼크⑤] 2025-02-10 09:10:44
산업 전방위에서 ‘제2 딥시크 쇼크’가 계속될 수 있음을 우려한다. “그럼 그렇지”라고 안심하는 순간, ‘made in china’의 공습이 시작된다. “미국 기술 산업에 경종을 울릴 만한 일이다.” 미국이 이름조차 생소했던 중국 스타트업에 한 방 먹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